• 제목/요약/키워드: B13

검색결과 7,821건 처리시간 0.035초

Chlorella ellipsoidea 엽록체막과 틸라코이드막의당지질 대사에 미치는 식품보존제의 효과 (The effect of Antiseptics on the Galactolipid Metabolism of Chlorella ellipsoidea Chloroplast and Thylakoid Envelope)

  • 최은아;장재선;이종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1-231
    • /
    • 1998
  • Chlorella ellipsoidea의 엽록체막 및 틸라코이드 막의 당지질 생합성과 그의 지방산 조성에 식품 보전제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potassium sorbate(0.3 mM, P.S) , sodium bensoate(0.4mM, S.b), calcium propionate(2 mM, C.P)를 처리한 배지에서 세포를 배양한 후 배양초와 배양 중간기에 세포를 수확하여 막을 분리하고, 이들 막을 구성하고 있는 당지질 중 MGDG, DGDG의 함량 및 그의 지방산 조성을 대조구와 비교 분석하였다. Total lipid와 MGDG, DGDG 함량은 대조구와 비교해 볼 때 처리구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염록체막의 BGDG를 구성하는 지방산은 대조구에서는 palmitoleic acid 15.55% , oleic acid 15.09%가 이용되었으며, P.S 처리구는 linolenic acid 14.36%, oleic acid 14.71%, S.B 처리구는 palmitoleic acid 18.26%, oleic acid 17.26%, C.P 처리구는 palmitoleic acid 16.31%, oleic acid 16.88%를 당지할 합성에 주로 이용하였다. DGDG 형성에 이용된 지방산은 대조구의 경우 linolenic acid 17.74%, oleic acid 15.75%, P.S처리구는 palmitoleic acid 15.97%, oleic acid 14.90%, S.B 처리구는 oleic acid 15.74%, palmitoleic acid 13.29% C.P 처리구에서는 oleic acid 14.52%, palmitoleic acid 14.03%가 당지질 합성에 도입되었다. 틸라코이ㅡ막에서의 당지질 중 MGDG 생합성에 이용되는 지방산은 대조구에서는 linolenic acid 가 14.76%, oleic acid가 12.90% 사용되었으며 P.S 처리구에서는 palmitic acid와 palmitoleic acid가 각각 13.00%씩 이용되었다. S.B 처리구는 palmitoleic acid 12.94%, oleic acid 12.44% , C.P 처리구는 oleic acid 13.27 %, palmitoleic acid 9.66%를 당지질 생합성에 이용하였다. DGDG 합성에 이용되는 지방산은 대조구의 경우 linolenic acid 18.01% , oleic acid 15.53%로 나타났으며, P.S 처리구는 linolenic acid 19.20%, linoleic acid 14.14%, S.B 처리구는 oleic acid 14.85%, palmitoleic acid 9.03%, C.P 처리구는 linolenic acid 12.66%, olei acid 13.90%를 주로 이용하였다.

  • PDF

항헬리코박터 IgY 항체의 위염(위궤양)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Chicken Egg Containing Ig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 배만종;김수정;김병기;박창호;서정일;김욱년;장태정;권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57-1363
    • /
    • 2003
  • 면역 물질인 IgY가 함유된 다기능성 계란 섭취로 인체에서 H. priori제균 치료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H. pylori 양성인 위염 환자 63명을 대상으로 임의로 IgY 함유 계란 투여군(17명), 항생제 투여군(17명) 및 항생제와 IgY 함유 계란 병합투여군(16명)으로 나누고 2주간 치료하였고 IgY 정제 투여군(13명)은 1개월간 치료하였다. 치료후 H. pylori 박멸률, $^{13}$$CO_2$ 변화율($\Delta$$^{13}$$CO_2$) 및 updated sydney system에 따른 H. pylori 균체 밀도, 급만성 염증 활성도, 장상피화생을 비롯한 위축도등의 조직학적 변화에 대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IgY 함유 계란 투여군, 항생제 투여군, 항생제와 IgY 함유 계란 병합투여군 및 IgY 정제 투여군에서 H. pylori 박멸률은 각각 0%, 88%, 94% 및 0%로 IgY 함유 계란을 항생제와 병합투여 했을 때 항생제만 투여할 때 보다 H. pylori 박멸률이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IgY함유 계란 투여군 17명중 1명이 $\Delta$$^{13}$$CO_2$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나머지는 변함이 없었다. 항생제와 IgY 함유 계란 병합투여군 16명중 15명에서 치료 1주째 $\Delta$$^{13}$$CO_2$이 모두 4이하로 치료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p<0.05), 나머지 1명도 치료 1주와 2주째 $\Delta$$^{13}$$CO_2$이 치료 전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IgY 함유 계란 투여군과 IgY 정제 투여군에서 위전정부의 급성 염증 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1). IgY 함유 계란 투여군과 IgY 정제 투여군에서 위전정부의 H pylori 균체 밀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IgY정제 투여군에서 위체부의 만성 염증 활성도가 감소하는 경항을 보였다. IgY 함유 계란 투여군에서 위전정부 및 위체부의 장상피화생과 위축도는 치료전후 변화가 없었다. IgY정제 투여군의 1예에서만 치료전 위전정부에 경도의 장상피화생이 관찰되었으며 치료후 정상으로 호전되었다. 위점막 위축은 대상환자 모두에서 치료전후 변화가 없었다.

산양유를 섭취한 성인 여성의 분변에서 분리한 Bifidobacteria와 Lactobacilli의 탄수화물 발효특성 (Carbohydrate Fermentation Character of Bifidobacteria and Lactobacilli isolated from Feces of the Adult Women supplied with Goat Milk)

  • 최석호;임영순;함준상;정석근;이승배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103-110
    • /
    • 2015
  • 산양유을 섭취한 성인의 분변 내 bifidobacteria의 증식 효과 및 분변에서 분리된 bifidobacteria와 lactobacilli의 당 발효 능력을 조사하였다. 1. 산양유를 섭취한 처리군이 대조군보다 bifidobacteria 세균수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8주에서 95% 신뢰한계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2. 분변에서 분리한 균주들을 13 균주의 16S rRNA 염기서 열로 동정한 결과, 산양유를 섭취한 처리구는 B. adolescentis, B. longum, B. pseudocatenulatum, B. dentium, L. sakei 순으로 분리되었다. 대조군의 12 균주는 B. adolescentis, B. longum, L. ruminis, L. sakei, B. pseudocatenulatum 순으로 분리되었다. 3. 산양유 올리고당과 lactulose는 모든 bifidobacteria 및 lactobacilli 균주가 발효하였다. Fructooligosaccaride는 B. adolescentis 7 균주 모두 발효하였다. 조사한 B. pseudocatenulatum 4 균주, L. sakei 3 균주, B. longum 7 균주 중에서 각각 3, 2, 1 균주가 fructooligosaccharide를 발효하였다.

  • PDF

EMI shielding effective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WCNTs-reinforced biodegradable epoxy matrix composites

  • Yim, Yoon-Ji;Chung, Dong Chul;Park, Soo-Jin
    • Carbon letters
    • /
    • 제22권
    • /
    • pp.36-41
    • /
    • 2017
  • Biodegradable epoxy (B-epoxy) was prepared from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and epoxidized linseed oil.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epoxy composites reinforced with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s/B-epoxy) were examined by employing dynamic mechanical analysis, critical stress intensity factor ($K_{IC}$) tests, and impact strength tests.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effectiveness (EMI-SE) of the composites was evaluated using reflection and absorption methods. Mechanical properties of MWCNTs/B-epoxy were enhanced with an increase in the MWCNT content, whereas they deteriorated when the MWCNT content was >5 parts per hundred resin (phr). This can likely be attributed to the entanglement of MWCNTs with each other in the B-epoxy due to the presence of an excess amount of MWCNTs. The highest EMI-SE obtained was ~16 dB for the MWCNTs/B-epoxy composites with a MWCNT content of 13 phr at 1.4 GHz. The composites (13 phr) exhibited the minimum EMI-SE (90%) when used as shielding materials at 1.4 GHz. The EMI-SE of the MWCNTs/B-epoxy also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MWCNT content, which is a key factor affecting the EMI-SE.

HAPS와 NGSO 시스템간의 Feeder Link상의 간섭분석 (Analysis on the Interference Effects between HAPS and NGSO Systems in the Feeder Link)

  • 강영흥;문승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82-190
    • /
    • 2000
  • 본 논문은 HAPS와 이동위성 시스템과의 간섭영향 분석으로서, HAPS 고도가 20km와 50km일 때의 C/I 값을 구해 간섭 보호비를 초과하는 시간율 및 초과지속시간에 대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HAPS가 Iridium 시스템에 미치는 간섭의 경우 최저 C/I 값은 HAPS 고도가 50km일 때 20.42dB, 20km일 때는 12.73dB로 낮아지고, 이와 반대인 Iridium 시스템이 HAPS에 미치는 간섭의 경우도 각각 13.94dB에서 10.42dB로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HAPS 고도에 따른 간섭영향을 보면, 고도가 낮아질수록 강한 간섭을 주거나 받게 되며, C/I 최저값 또한 HAPS 고도에 따라 다른 시점에서 나타난다.

  • PDF

HAPS와 NGSO 시스템의 Feeder Link상의 간섭분석 (Analysis on the Interference Effects between HAPS and NGSO Systems in the Feeder Link)

  • 문승영;김봉석;강영흥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0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0 No.1
    • /
    • pp.34-38
    • /
    • 2000
  • 본 논문은 HAPS와 이동위성 시스템과의 간섭영향 분석을 HAPS 고도가 20Km와 50Km 일 때의 C/I 값을 구해 간섭 보호비를 초과하는 시간율 및 초과지속시간에 대한 평가에 대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HAPS가 Iridium 시스템에 미치는 간섭의 경우 최저 C/I 값은 HAPS 고도가 50Km일 때 20.42dB, 20Km일 때는 12.73dB로 낮아지고, 이와 반대로 Iridum 시스템이 HAPS에 미치는 간섭의 경우도 각각 13.94dB에서 10.42dB로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HAPS 고도에 따른 간섭영향을 보면, 고도가 낮아질수록 강한 간섭을 주거나 받게 되며, C/I 최저값 또한 HAPS 고도에 따라 다른 시점에서 나타난다.

  • PDF

무전해 Ni-B 도금을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버스 전극의 확산 방지막 제조 (Fabrication of the Diffusion Barrier for Bus Electrode of Plasma Display by Electroless Ni-B Plating)

  • 최재웅;홍석준;이희열;강성군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1-105
    • /
    • 2003
  •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availability of the electroless Ni-B plating for a diffusion barrier of the bus electrode. The Ni-B layer of 1$\beta$: thick was electroless deposited on the electroplated Cu bus electrode for AC plasma display. The layer was to encapsulate Cu bus electrode to prevent from its oxidation and to serve as a diffusion barrier against Cu contamination of the transparent dielectric layer in AC plasma display. The microstructure of the as-plated barrier layer was made of an amorphous phase and the structure was converted to crystalline at about 30$0^{\circ}C$. The concentration of boron was about 5∼6 wt.% in the electroless Ni-B deposit regardless of DMAB concentration. The electroless Ni-B deposit wa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plated Cu bus electrode uniformly. And the electroless Ni-B plating was found to be an appropriate process to form the diffusion barrier.

새로운 4H-1,3,4-Oxadiazino[5,6-b]quinoxaline 유도체들의 합성 (Synthesis of 4H-1,3,4-Oxadiazino[5,6-b]quinoxaline Derivatives)

  • 김동은;김호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49-453
    • /
    • 1998
  • 6-Chloro-2-hydrazinoquinoxaline 4-oxide(11)와 ethyl chloroglyoxylate를 반응시켜 분자내 고리화반응에 의한 ethyl 8-chloro-4H-1,3,4-oxadiazino[5,6-b]quinoxaline-2-carboxylate(12)를 합성하였다. 화합물 12를 hydrazine hydrate와 반응시켜 $C_2$-hydrazinocarbonyl 유도체 13이 합성되었는데, 이것을 치환 벤즈알데히드류 및 헤테로아릴 알데히드류와 반응시켜 8-chloro-2-(substituted benzylidenehydrazinocarbonyl)-4H-1,3,4-oxadiazino[5,6-b]quinoxaline류(14) 및 8-chloro-2-[(2-substituted methylidene)hydrazinocarbonyl]-4H-1,3,4-oxadiazino[5,6-b]quinoxaline류(15)를 각각 합성하였다.

  • PDF

공핍형 SOI MOSFET를 이용한 5GHz대역 저잡음증폭기 (A 5GHz-Band Low Noise Amplifier Using Depletion-type SOI MOSFET)

  • 김규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2045-2051
    • /
    • 2009
  • SOI MOSFET를 이용하여 5GHz대역 저잡음 증폭기를 설계하였다. 잡음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핍형 SOI-MOSFET를 사용하였고, 저전압에서 동작시키기 위해 소스접지와 게이트접지 증폭기를 연결한 2단형으로 설계 하였다. 제작된 LNA는 5.5GHz에서 이득이 21dB, S11이 -10dB이하, 소비전력 8.3mW의 결과를 얻었으며 잡음지수는 공핍형 저잡음 증폭기가 1.7dB로 일반형보다 0.3dB 개선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로 공핍형 SOI MOSFET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잡음특성이 우수한 CMOS LNA를 설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Histological study on the skin structure in two mudskippers, Periophthalmus waltoni and Boleophthalmus dussumieri in relation to their terrestrial life

  • Mehran Dorostghoal;Ashraf Jazayeri;Sara Ashiri
    • Applied Microscopy
    • /
    • 제52권
    • /
    • pp.13.1-13.6
    • /
    • 2022
  • Microscopic structure of skin in two amphibious mudskipper fish; Boleophthalmus dussumieri Valenciennes, 1837 (B. dussumeri) and Periophthalmus waltoni Koumans, 1941 (P. waltoni)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ir lifestyle. The general structure of skin is the same among the two species. Epidermis in B. dussumeri was thicker significantly than P. waltoni. The dermal bulges were only well developed in the skin of B. dussumeri. Mucous cells were absent in the epidermis of P. waltoni but present in B. dussumeri. Both B. dussumeri and P. waltoni have well-developed swollen middle cells as a shared epidermal feature. The thickness of the middle cell layer of the epidermis in B. dussumeri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in P. waltoni. Capillaries in the dorsal and ventral parts of the body are more closely distributed to the epidermal surface in P. waltoni than in B. dussumeri. The diffusion distance in the dorsal epidermis of P. waltoni was less than that in the ventral epidermis of B. dussumeri.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skin of mudskipper species suggests that, due to the more terrestrial lifestyle adopted by P. waltoni, the skin contributes more to respi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