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megaterium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7초

Monitoring the Ecology of Bacillus During Daqu Incubation, a Fermentation Starter, Using Culture-Dependent and Culture-Independent Methods

  • Yan, Zheng;Zheng, Xiao-Wei;Han, Bei-Zhong;Han, Jian-Shu;Nout, M.J. Robert;Chen, Jing-Y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5호
    • /
    • pp.614-622
    • /
    • 2013
  • Daqu, a traditional fermentation starter, has been used to produce attractively flavored foods such as vinegar and Chinese liquor for thousands of years. Although Bacillus spp. are one of the dominant microorganisms in Daqu, more precise information is needed to reveal why and how Bacillus became dominant in Daqu, and next, to assess the impact of Bacillus sp. on Daqu and its derived products. We combined culture-dependent and culture-independent methods to study the ecology of Bacillus during Daqu incubation. Throughout the incubation, 67 presumptive Bacillus spp. isolates were obtained, 52 of which were confirmed by 16S rDNA sequencing. The identified organisms belonged to 8 Bacillus species: B. licheniformis, B. subtilis, B. amyloliquefaciens, B. cereus, B. circulans, B. megaterium, B. pumilus, and B. anthracis. A primer set specific for Bacillus and related genera was used in a selective PCR study, followed by a nested DGGE PCR targeting the V9 region of the 16S rDNA. Species identified from the PCR-DGGE fingerprints were related to B. licheniformis, B. subtilis, B. amyloliquefaciens, B. pumilus, B. benzoevorans, and B. foraminis. The predominant species was found to be B. licheniformis. Certain B. licheniformis strains exhibited potent antimicrobial activities. The greatest species diversity occurred at the Liangmei stage of Daqu incubation. To date, we lack sufficient knowledge of Bacillus distribution in Daqu. Elucidating the ecology of Bacillus during Daqu incubation would enable the impact of Bacillus on Daqu to be accessed, and the quality and stabilization of Daqu-derived products to be optimized.

Bacillus spp. 및 Serratia marcescens에 의한 사과 푸른곰팡이병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Blue Mold of Apples by Bacillus spp. and Serratia marcescens)

  • 김용기;이승돈;류재기;류재당
    • 식물병연구
    • /
    • 제9권4호
    • /
    • pp.229-236
    • /
    • 2003
  • 사과 푸른곰팡이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사과, 배, 복숭아 등 370점의 과일을 채취하여 과일표면으로부터 세균 1,080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1,080균주를 공시 하여 사과 저장병을 일으키는 Penicillium expansum, Alternaria alternata 그리고 Botrytis cinerea을 대상으로 항균활성 및 병 진전억제효과를 검정하여 8종의 길항세균을 선발하였다. 이 들 길항세균에 대한 세균학적 특성과 Biolog system에 의한 영양원 이용성을 조사한 결과 Bacillus amyloliquefaciens가 2균주, B. megaterium, B. subtilis var. gladioli, B. licheniformis, B. pumilus 및 Serratia marcescens로 동정하였다. Glucose, mannose, starch 등 8종의 탄소원을 공시하여 병원균의 생장 및 길항균의 중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길항균의 증식을 촉진하는 영양원으로 glucose가 선발되었다. 길항균의 처리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길항균 현탁액에 glucose를 1% 첨가하여 사과에 처리한 다음 푸른곰팡이 병균을 $10^5$포자/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병 진전억제효과가 S. marsecens P76-9처리에서 48%, B. amyloliquefaciens P43-2 처리에서 46% 그리고 B. licheniformis P94-1 처리에서 14% 증가되었다. 사과표면의 상처부위에서 처리한 길항균의 밀도변동에 있어서는 Bacillus 속 세균인 B. amyloliquefaciens P43-2과 B. licheniformis P94-1는 처리 후 7일까지 밀도가 증가하다가 처리 후 10일부터는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S. marsecens P76-9는 초기(처리 후 4일)에는 밀도가 감소되다가 처리 후 7일부터 증가되어 처리 후 7일까지도 일정한 수준으로 밀도가 유지되었다.

엽연초(葉煙草) 인공(人工) 숙성중(熟成中)의 미생물(微生物)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microorganisms during the tobacco fermentation)

  • 양차범;전재근;김재훈;배효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7권
    • /
    • pp.53-58
    • /
    • 1966
  • 엽연초인공숙성(葉煙草人工熟成)에 관여(關與)하는 미생물(微生物)들을 분리(分離)하고 분리균주(分離菌株)에 대(對)하여 배양(培養), 형태(形態), 생리(生理) 및 회수화물(灰水化物) 발효시험(醱酵試驗)을 행(行)하고 이 결과(結果)들로부터 이들 미생물군(微生物群)을 각각(各各) Asperfillus gavus, A. restrictus, A. nidulans, A. awamori, Oidium sp. Edmundmasonia Sp. spicaria Sp.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var aterrimus, B. licheniformis Flaavobacterium harrisonii, Aerobacter aerogenes으로 동정(同定)하였다. 그리고 이들 균주중(菌株中)에서 발효전기간(醱酵全期間)에 걸쳐, 관여(關與)한 것으는 Aspergillus flavus, A. restriclus.,와 Bacillus subtilis, B. licheniformis이었고 이 곰팡과, 세균(細菌)은 각각(各各) 14, 7 일간(日間)에 최고분포(最高分布)를 이루었으며 기후(其後)에는 뚜렷한 분포(分布)의 변화(變化)를 보이지 않았다.

  • PDF

황사 발생 기간 낙하먼지에 포함된 미생물의 분포 및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Settled Particles During Asian Dust Events)

  • 고지윤;장찬국;차민주;박교남;김민규;김종설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34-140
    • /
    • 2012
  • 황사는 중국과 몽골의 사막지역과 중국 황하 중 상류의 황토지대에서 바람에 의해 대기 중에 부유한 미세먼지가 상층 바람을 타고 멀리까지 날아가는 기상 현상을 말한다. 황사 먼지는 bioaerosol을 포함하며 미생물의 운반체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사 발생 기간과 황사가 없는 기간 동안 각각 포집한 낙하먼지에서 미생물의 농도와 종 조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2008년 2월부터 4월까지 울산 지역의 한 지점에서 직경 200 mm의 강수량계를 사용하여 낙하먼지를 포집하였으며, 조사 기간 동안 울산 지역에서 황사 현상은 3월 2일과 3일에 걸쳐 한번 발생하였다. 낙하먼지에 포함된 세균의 농도는, 황사 기간 동안 포집한 시료에서 황사가 없는 기간의 시료에 비해 크게 높았다. 하지만, 낙하먼지의 진균 농도는 비 황사 기간에 비해 황사 기간 동안 유의성 있게 증가하지 않았으며, 조사 기간 동안 세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낙하먼지 시료로부터 분리한 45개 세균의 16S rRNA 유전자 염기 서열을 분석하였으며, 이들 세균은 Bacillus 속의 B. amyloliquefaciens, B. aryabhattai, B. atrophaeus, B. licheniformis, B. megaterium, B. methylotrophicus, B. pumilus, B. sonorensis, B. subtlis, B. vallismortis와 Staphylococcus 속의 S. epidermidis, S. succinus로 확인되었다. 진균의 경우 Mucor 속, Alternaria 속, Cladosporium 속, Aspergillus 속 등을 황사 기간 및 비 황사 기간의 시료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Bacillus 속과 같은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세균이 진균(포자)에 비해 황사 먼지에의 부착 및 이동과 더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Biochem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High Population Density Bacteria Isolated from Sunflower

  • Goes, Kelly Campos Guerra Pinheiro De;Fisher, Maria Luisa De Castro;Cattelan, Alexandre Jose;Nogueira, Marco Antonio;Carvalho, Claudio Guilherme Portela De;Oliveira, Andre Luiz Martinez D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4호
    • /
    • pp.437-447
    • /
    • 2012
  • Natural and beneficial associations between plants and bacteria have demonstrated potential commercial application for several agricultural crops. The sunflower has acquired increasing importance in Brazilian agribusiness owing to its agr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tolerance to edaphoclimatic variations, resistance to pests and diseases, and adaptation to the implements commonly used for maize and soybean, as well as the versatility of the products and by-products obtained from its cultivation. A study of the cultivable bacteria associated with two sunflower cultivars, using classical microbiological methods, successfully obtained isolates from different plant tissues (roots, stems, florets, and rhizosphere). Out of 57 plant-growth-promoting isolates obtained, 45 were identified at the genus level and phylogenetically positioned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ing: 42 Bacillus (B. subtilis, B. cereus, B. thuringiensis, B. pumilus, B. megaterium, and Bacillus sp.) and 3 Methylobacterium komagatae.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showed a broad diversity among the Bacillus isolates, which clustered into 2 groups with 75% similarity and 13 subgroups with 85% similarity, suggesting that the genetic distance correlated with the source of isolation. The isolates were also analyzed for certain growth-promoting activities. Auxin synthesis was widely distributed among the isolates, with values ranging from 93.34 to 1653.37 ${\mu}M$ auxin per ${\mu}g$ of protein. The phosphate solubilization index ranged from 1.25 to 3.89, and siderophore index varied from 1.15 to 5.25. From a total of 57 isolates, 3 showed an ability to biologically fix atmospheric nitrogen, and 7 showed antagonism against the pathogen Sclerotinia sclerotiorum. The results of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allowed identification of potential candidates for the development of biofertilizers targeted to the sunflower crop.

전통 메주 유래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한 대두단백 분해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oy Protein Hydrolysates with Enzymes Produced by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raditional Meju)

  • 정낙현;신용서;김성호;임무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0-88
    • /
    • 2003
  • 대두단백 가수분해 산물의 맛과 향을 개선하기 위해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system을 확립하기 위하여 단백질 가수분해 패턴이 서로 다른 효소로 생산된 단백 분해산물의 가수분해도와 표면 소수도 등을 측정하였다. 이들 분해물의 pattern을 SDS 전기영동으로 조사하였고, 효소반응에 의한 단백질분해물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균주가 생산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pH 변화에 따른 효소의 활성은 No. 16 효소(Bacillu megarerium Bl6)와 No. 4효소(Aspergillus oryzae M4)는 pH 7.0에서 No. 95효소(Bacillu subtilis YG 95)와 No. 5효소(Mucor circinelloides M5)는 8.0에서 가장 높은 효소반응 활성을 보였다. 또한 반응온도에 따른 효소활성의 크기는 4가지 효소 모두 45$^{\circ}C$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두단백질 분해물의 SDS 전기영동 pattern변화에서, Bacillus megaterium Bl6과 Mucor circinelloides M5의 효소 (No. 16, No. 5)는 반응 후 분자량이 비교적 큰 peptide가 많이 생성되었으며, 효소반응 3시간 경과 후에도 분자량 66KD의 peptide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Bacillus subtilis YG 95와 Aspergillus oryzae M4의 효소(No. 95, No. 4)는 분자량 15KD∼45KD 미만의 작은 분자량의 peptide 물질이 주로 생성되었으며, 반응 2시간 경과후에는 30KD 미만의 저분자 Peptide가 주로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HPLC 분석 결과와 일치하였다. 가수분해가 진행됨에 따라서 SDS 표면소수도가 크게 저하되었으며, Aspergillus oryzae M4 효소의 분해물의 가수분해도가 가장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No. 4(Aspergillus oryzae M4)와 No. 95(Bacillus subtilis YG 95) 가 강한 쓴맛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효소들을 조합해서 분해한 단백분해물을 관능검사한 결과, Aspergillus oryzae M4 효소와 조합된 것의 대두단백질 분해물이 비교적 강한 쓴맛을 나타내었다. 분해물의 단맛은 시료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Bacillu megarerium Bl6과 Aspergillus oryzae M4를 조합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단맛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효소특성을 이용하여 대두단백질을 가수분해를 하였을 때 다양한 단백질 분해물의 제조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Cellular activities and docking studies of eckol isolated from Ecklonia cava (Laminariales, Phaeophyceae) as potential tyrosinase inhibitor

  • Lee, Seung-Hong;Kang, Sung-Myung;Sok, Chang Hyun;Hong, Jin Tae;Oh, Jae-Young;Jeon, You-Jin
    • ALGAE
    • /
    • 제30권2호
    • /
    • pp.163-170
    • /
    • 2015
  • Tyrosinase inhibitors are an important component of cosmetic products. Our previous studies have proposed that eckol isolated from the brown alga Ecklonia cava, can be explored as a tyrosinase inhibitor. However, cellular activities and mechanism of action of eckol remain unknown.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eckol binding modes using the crystal structure of Bacillus megaterium tyrosinase. The effects of eckol on melanin synthesis induced by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in B16F10 melanoma cells were also investigated. We predicted the 3D structure of tyrosinase and used a docking algorithm to simulate binding between tyrosinase and eckol. These molecular modeling studies were successful (calculated binding energy value, $-115.84kcal\;mol^{-1}$) and indicated that eckol interacts with Asn205, His208, and Arg209. Furthermore, eckol markedly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We also found that eckol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 1, and TRP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ckol is a potent inhibitor of melanogenesis, and this finding may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pharmaceutical and cosmetic agents.

A Novel Maltopentaose-Producing Amylase as a Bread Antistaling Agent

  • Auh, Joong-Hyuck;Lee, Su-Yong;Yoo, Seung-Seok;Son, Hyun-Ju;Lee, Jae-Woo;Lee, Sung-Joon;Kim, Young-Bae;Park, Kwan-Hw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5호
    • /
    • pp.681-684
    • /
    • 2005
  • A maltopentaose-producing amylase (G5-amylase) from Bacillus megaterium KSM B-404 was applied to retard bread retrogradation. Retrogradation rates were determin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determined changes in maltooligosaccharide composition and the molecular weight profiles of carbohydrate tractions. The baking process produced maltopentaose and maltotriose by the hydrolysis of starch molecules into small units. Amylose and amylopectin degradation as well as maltooligosaccharides produced by the enzyme were likely responsible for retarding starch retrogradation. Overall, addition of G5-amylase reduced the starch retrogradation rate, and was as effective as Novamyl(R), a commercial enzyme.

버섯균사체 및 청국균 발효대두의 항산화능과 암세포 증식억제능 (Antioxidant and Anticarcinogenic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oybean Products Fermented by Some Mycelia of Mushroom and $\textit{Bacillus megaterium}$ SMY-212)

  • 최재훈;양희선;손미예;김진순;박석규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9권3호
    • /
    • pp.34-39
    • /
    • 2004
  • 콩의 배당체 isoflavone류를 생리 활성형 aglycone으로 전환율을 증진시켜 콩 발효식품의 기능성을 증진시키고자, 식용버섯 균사체와 청국장 발효균 B. megateriw SMY-212를 이용하여 단독과 2단계 배양한 발효대두의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능과 인체 전립선암과 자궁암 세포주의 성장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2단 발효대두 추출물의 수소공여능 효과는 1,000 $\mu$g/mL 농도에서 17.8∼26.9%로서 단독 발효대두보다 30∼40% 높았으며, 그 중에 동충하초와 SMY-212를 배양한 것이 가장 높았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단독 발효대두는 동충하초가 가장 높았으며, 2단계 배양한 발효대두는 팽이균사체와 SMY-212가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인체 전립선암 세포주(DU145)와 자궁암 세포주(Hela)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는 단독배양에 서 모두 팽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대두가 가장 높았으며, 2단계 배양에서 DU145에서는 팽이버섯과 아가리쿠스 균사체 배양물에 SMY-212를 이용한 발효대두가 높았고, HeLa에서는 팽이버섯, 동충하초, 새 송이버섯 균사체의 추출물 순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삶은 콩에 버섯 균사체의 단독배양보다는 버섯균사체와 SMY-212를 2단 배양한 발효대두 추출물이 암세포주 성장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 PDF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Cone Volatile oil of Cupressus macrocarpa Hartwig from Nilgiris, India

  • Manimaran, S.;Themozhil, S.;Nanjan, M.J.;Suresh, B.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279-282
    • /
    • 2007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ous chemical components present in the cone volatile oil of Cupressus macrocarpa and also determine its antimicrobial activity. Totally 13 compounds were identified with 99.99% by GC-MS analysis. The major compounds identified were terpinene-4-ol (19.42%), dinopol (15.63%), ${\alpha}$-pinene (13.58%), and ${\beta}$-pinene (12.16%).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carried out for the oil and a 2% cream formulation using cup plate method by measuring the zone of inhibition. The gram positive organisms used were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megaterium, and Bacillus cogulans. The gram negative organisms used were Escherichia coli, Kleibseilla pneumonia, Pseudomonas aeruginosa and Salmonella typhi. In vitro antifungal studies were also carried out by using organisms, Candida albicans, Aspergillus flavus, Trichoderma lignorum and Cryptococcus neoformans. The standard drugs used were penicillin ($100{\mu}g/mL$), gentamycin ($100{\mu}g/mL$) and griseofulvin ($100{\mu}g/mL$) for gram positive bacteria, gram negative bacteria and fungi respectively. Both oil and cream formulation showed good activity against fungi than bacteria. This study is being reported for the first time on cone volatile oil of this p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