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viation emission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7초

The Study on EU ETS (欧盟航空减排交易体制评析)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

  • Qin, Huaping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7-145
    • /
    • 2011
  • European Union unilaterally included the emissions from aviation activities into EU ETS on 19 November 2008 by amending Directive 2003/87/EC. According to the Directive all the emissions(mainly against the CO2) from aviation activities shall be subject to the regulation of EU ETS from 2012. For the period from 1 January 2012 to 31 December 2012, the total quantity of allowances to be allocated to aircraft operators shall be equivalent to 97% of the historical aviation emission s. From 1 January 2013, the allowances will be reduced to 95%. The allocation of allowances which may be applied by each operator with free of charge will be reduced from 85% to 82% from 1 January 2012 to 1 January 2013. Since the Directive will affect every country's airline industry more or less, the nation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espond variously. The controversial focus is that whether EU has the right to unilaterally include the emissions from international aviation activities into EU ETS. This article firstly analyzes the effect caused by EU ETS to China's airline industry, and then studies the legality of the action of EU subject to current positive international law, and finally draws the conclusion that EU enjoys no such right to unilaterally include the emissions from international aviation activities.

  • PDF

항공기 비행단계별 연료소비 분석 및 Tier 3 배출량 산정 (An Analysis of the Jet Fuel Consumption and the GHG Emission by the Flight Phase)

  • 이주형;김용석;신홍철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1-70
    • /
    • 2014
  • 최근 3년간 항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연평균 5.7%씩 증가하고 있으며, 국민 소득수준 향상과 국제선 노선 확장 등 저비용 항공사의 성장가속화로 인해 운항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항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적 A항공사의 2011년도 비행 데이터(FOQA)를 활용하여 비행단계별 연료소비 패턴과 Tier 3a급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였으며, Tier 2 산정 방법 결과와 비교하였다. 대상 항공기는 보잉계열의 B737-600, B737-700, B737-800이었으며, 국내 노선은 김포-제주, 국제 노선은 인천-나리타를 주요 노선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1회당 총 연료소비량은 김포-제주는 2,298~2,405 kg이고, 비행단계별로는 순항 78% 차지하였으며, 인천-나리타는 4,763~6,291 kg으로 순항 시 87% 차지하였다. 또한, B737-700의 경우, 1회당 평균 분당 연료소비량은 이륙단계에서 순항단계보다 2.6~3.0배 더 많이 소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Tier 3a급 배출량은 김포-제주는 1회당 평균 7톤, 인천-나리타 1회당 평균 16톤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ier 3a 방법이 Tier 2보다 2.7% 더 작게 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통계는 항공기 운항절차별 감축 수단 이행 시 연료절감량과 감축량을 산출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판단된다.

실리콘 산화막에 대한 Ta-Mo 금속 게이트의 열적 안정성 (Thermal Stability of Ta-Mo Alloy Metal on Silicon Oxide)

  • 노영진;이충근;김재영;홍신남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6
    • /
    • pp.3-6
    • /
    • 2003
  • This paper describes the interface stability of Ta-Mo alloy metal on $SiO_2$ Alloy was formed by co-sputtering method, and the alloy composition was varied by controlling Ta and Mo sputtering power. When the atomic composition of Ta was about 91%, the measured work function was 4.2eV that is suitable for NMOS gate. To identify interface stability between Ta-Mo alloy metal and $SiO_2$, C-V, FE-SEM(Field Emission-SEM), and XRD(X-ray diffraction) were performed on the samples annealed with rapid thermal processor between $600^{\circ}C$ and $900^{\circ}C$. Even after $900^{\circ}C$ rapid thermal annealing, excellent interface stability and electrical properties were observed. Also, thermodynamic analysis was studied to compare with experimental results.

  • PDF

EU-ETS로 인한 항공사의 탄소비용증가가 항공여객에게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_2$ constraints to airlines by EU-ETS on passenger behavior)

  • 김백재;유광의;최연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61-68
    • /
    • 2011
  • 유럽연합(EU)은 2012년부터 항공산업에 대해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를 적용할 예정이다. 따라서 유럽공항에서 출발 및 도착하는 모든 국제선과 국내선 항공편에 대해 탄소세가 부과될 것이며 이는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또한 유럽을 운항하는 경우 장거리에 해당되어 중단거리를 운항하는 항공기들에 비해 총 탄소배출량이 더 많으므로 비용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EU-ETS로 인한 탄소세가 항공요금에 반영된다면 항공여객들이 어느 정도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며 이러한 점들이 궁극적으로 한국의 항공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파악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국제공항에서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을 대상으로 직항노선과 중동지역 경유노선을 비교하여 EU-ETS 가격이 반영된 항공요금에 대한 반응을 Revealed Preference (RP)와 Stated Preference (SP) 설문자료와 Logit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의 항공산업은 물론 2012년부터 부과될 EU-ETS에 대한 항공사들의 전략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EDMS를 이용한 인천국제공항의 대기오염 배출량 산정과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 평가 (Assessment of Air Pollution and Estimation of Emission from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by EDMS)

  • 이성용;장영기
    • 환경영향평가
    • /
    • 제11권2호
    • /
    • pp.67-77
    • /
    • 2002
  • Air traffic increased 12% annually in Korea since 1988 after the Olympics, this rate is two times than the rate of the world average. In order to accommodate fast growing aviation deman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operated at Yongjong Island since March, 2001. The Incheon airport project will continue till 2020. After the final phase in 2020,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ill handle 100 million passengers, 530,000 flights and 7 million tons of cargo annually. In this study, air pollution from aircraft and other sources are calculated and assessed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rea by EDMS(Emission and Dispersion Modeling System), which is a combined emission and dispersion model for airport. EDMS could also be considered power plant, incinerator and aircraft support equipment such as ground support equipment, aerospace ground equipment, auxiliary power units. And EDMS is recommended as preferred model for air quality assessment of the airport area by U.S. EP 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NOx emission from aircraft and support utility is estimated as 27,000 - 35,000 ton/yr and Namdong-Gu area in Incheon city is affected as 30-60 ppb by the NOx emission from these sources in 2020, the final phase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nstruction.

항공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한 운영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Operational Improvements for Reducing Carbon Emissions from Aviation)

  • 김성미;김은미;임상훈;황호원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19-125
    • /
    • 2023
  • 항공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항공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이산화탄소)를 줄여야 한다. 운영 개선으로 항공부문의 탄소 감축에 크게 기여할 수는 없지만, 단시간 내에 실질적으로 배출을 감소할 수 있다. ICAO는 글로벌 항공 교통 관리와 운영 절차를 최적화하기 위해 GANP와 ASBU를 개발하였고, 각국은 이를 이행하기 위해 인프라 확충과 기술 개발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운영 개선의 합법적 장벽은 시카고 협약의 영공주권개념으로 국가는 국경에 기반한 비효율적인 관제를 하거나, 자국 영공의 통과를 제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어 항공기 우회경로 운항으로 탄소 배출이 증가한다. 그러나 시카고 협약은 체약국에 영공의 자유를 무제한 부여하지 않으며, 영공 주권개념을 시대 흐름에 맞추어 해석한다면 원활한 항공 운영 개선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비행거리와 적재량 변화에 따른 항공기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연료소모량 산정 (Aircraft Emission and Fuel Burn Estimation Due to Changes of Payload and Range)

  • 주희진;황호연;박병운;임동욱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278-287
    • /
    • 2015
  • 항공기 배기가스가 지구의 현재와 미래의 기후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력은 항공산업계가 당면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환경 이슈 중 하나이다. 온실가스 배출의 잠재적 악영향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항공기의 배기가스 배출을 줄이고 기후에 관한 항공기의 영향을 완화하는 수단 중 하나로 항공기 배기가스를 산정하고 예측하는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국 Lissys사에서 개발한 Piano-X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3가지 항공기 급에 대한 다양한 비행거리와 경로에 대해 유상하중의 변화에 따른 항공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다양한 항속거리와 고도에 따른 경제속도, 장거리 순항속도, 최대 운항거리 속도에 대해 연료소모량도 분석하였다.

강하비행시의 연료소모량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uel consumption during Descent Flight)

  • 신대원;김용석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8-63
    • /
    • 2011
  • A Continuous Descent Approach(CDA) is defined as a simple, cost-effective, noise and emission abatement technique for any powered aircraft on approach. CDA also can be optimised within energy, speed and safety constraints by avoiding unnecessary flap, air brake and engine thrust. This study includes comparison on fuel consumption between Continuous Descent type and Step Down type by using flight data. In particular, we investigated fuel flow per hour, calibrated airspeed and pressure altitude for all flight time. During descent flight, the fuel consumption of Continuous Descent type was less than the fuel consumption of Step Down type.

항공기 지상 활주 연료소모량 예측모델 사례연구 (A380 중심) (A Case Study of Aircraft Taxi Fuel Consumption Prediction Model (A380 Case))

  • 장성우;이영재;유광의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9-35
    • /
    • 2020
  • In this paper, we established a prediction model of fuel consumption at the aircraft's taxi operation. To look for countermeasures to reduce fuel consumption and carbon emissions, Airbus A380's actual ground taxi data was used. As a result, the number of stops or turnings during the taxi operation was not related to fuel consump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fuel consumption in the taxi operation was the taxi time and the thrust change. It can be confirmed that ground control optimization, which is the result of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control organization and the airline, is absolutely necessary to reduce taxi time and minimize the occurrence of thrust change ev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