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nomy Perception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7초

북한 핵위협 극복을 위한 한미동맹 효용성: 평가와 대책 (The Efficiency of ROK-U.S. Alliance in Order to Overcome North Korea's Nuclear Threats: Evaluations & Measures)

  • 김연준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89-100
    • /
    • 2017
  • 지난 2017년 1월, 트럼프가 미국의 제 45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그는 대선기간 중에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적극적으로 표방하였다. 그의 이런 주장이 대외정책에 있어서 '고립주의'(Isolationism)를 표방하는 것으로 비취지고 있다. 북한의 핵위협에 대하여 미국의 '확장억제'(Extended Deterrenc)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한국에 있어서 이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즉 미국이 고립주의로 회귀하여 한미동맹 공약이행 의지가 약화되는 것으로 인식될 경우 북한의 오판 가능성은 그만큼 높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한국사회에서는 미국으로부터 안보를 지원받고 정책적 공조를 제공하는 전형적인 '비대칭 동맹'(Asymmetry Alliance)인 한미동맹의 가치를 재평가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이에 북한의 고도화된 핵도발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신장된 한국의 국력수준에 부합된 한미동맹의 효용성을 동맹이론에 입각하여 평가해보고 대책을 강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미동맹을 '자율성-안보 교환 모델'에 기초하여, 위협인식, 정책공조와, 동맹국으로서 가치 측면으로 구체화하여 평가해보고, 향후 한미동맹의 전략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청소년 운동선수의 성별과 경력에 따른 지각된 코칭행동과 사회적 행동의 차이 (Differences in Adolescent Athletes' Perceived Autonomy-Support Coaching Behaviors and Social Behaviors by Gender and Sport Career)

  • 이경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18-428
    • /
    • 2013
  • 이 연구는 고교 운동선수의 성별과 운동경력에 따라 지각된 코칭행동과 사회적 행동에 대한 차이와 이들 변인 간의 관계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고교 선수 740명(남자선수=516명, 여자선수=224명)이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2(성별)${\times}3$(운동경력) 다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통해 처리되었다. 다변량분석의 결과 운동경력이 낮은 여자선수가 상대팀 선수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선수가 여자선수보다 코치의 행동을 더 통제적으로 지각하고, 팀동료와 상대팀 선수에 대해 더 높은 반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경력이 3년 이하인 선수가 운동경력이 높은 선수들보다 팀동료에 대한 반사회적 행동 수준이 더 높았다. 자율성 지지 코칭행동은 친사회적 행동과 정적으로 반사회적 행동과는 부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통제적 코칭행동은 반사회적 행동과 정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Effects of Perception of Job Characteristics on Innovation Behavior and Innovation Resistance

  • YANG, Hoe-Chang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1권4호
    • /
    • pp.7-15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ole of decoupling between job characteristics, innovation behavior, and innovation resistance in order to seek ways for companies to survive and grow continuously through innovation activities in various uncertain situat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total of 263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for employees working at the company. For the analysis,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3-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skill variety, task identity, autonomy, and feedback increase decoupling, and decoupling increases innovation resistan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decoupling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innovation resistance excluding task significance. Finally, it was found that task significance and feedback increase innovation behavior, and decoupling and task identity increase innovation resistance, but feedback can alleviate innovation resistance.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 that job characteristics excluding task importa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decoupling means that there are two sides of job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employees.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jobs that the company assigns to its members may not be effective. In addition, decoupling, a phenomenon that seems to be accepting on the outside, but perceives that it is negative on the inside, mean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o reject innovation. Therefore, prior to carrying out innovation activities, companies should give clear job specifications and meanings for the job and give them autonomy when assigning jobs to their members. In order to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the company must design, operate, and provide feedback.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need to review the overall effectiveness. In addition, efforts such as strengthening corporate-level fairness, maintaining psychological contracts, and realizing authentic leadership should be preceded to reduce decoupling.

방문요양센터 조직특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요양보호사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of Domiciliary Visit Care Center on Job Stress -with Focus 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are Worker-)

  • 서영희;김금환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4호
    • /
    • pp.169-178
    • /
    • 2012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조직특성 직무태도 등에 따라 수급자인 노인들이 인식하게 되는 만족정도는 달라지게 되며, 이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여야 할 필요성이 있음에 따라 요양보호사들이 인식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서울지역 방문요양센터에 소속되어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업무자율성, 보상, 교육과 개발, 구성원 상호관계 등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조직특성 요인이 직무스트레스의 인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방문요양센터에 소속되어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는 근무시간이 짧을수록, 월급여가 많을수록, 업무자율성이 보장될수록, 구성원들과의 상호관계성이 좋을수록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으로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방문요양센터 운영자들은 요양보호사들의 근무조건인 1일 근무시간과 급여수준에 대한 개선 뿐만 아니라 직장에서의 구성원 상호간의 유대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개선 방안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 통제와 규제보다는 요양보호사들이 업무에 대해 책임을 갖고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조직환경을 개선해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전공의들의 전문직인식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terns' and Residents' Professional Job Perception and Its Effect to Their Job Satisfaction)

  • 강윤식;감신;예민해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1호
    • /
    • pp.209-228
    • /
    • 1997
  • In ordo to investigate the professional job perception and job satisfaction of interns and residents and its related factors, the author conducted survey using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for 2 months(August and September, 1996). The study subjects were 562 interns and residents who worked at one university hospital(tertiary hospital) and two general hospitals(secondary hospital) in Taegu, Korea. Among them, 297 (52.8%) responded complet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Respondents thought that people component was most important, science and status components were next among professional value scales which meant the desirable attitudes required to conduct professional works. But, the score of professional value scales was generally high and not affected by other variables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y seemed to have very normative and ideal perceptions about professional values. The score of professionalism scales, which were attitudinal and behavioral traits about professional job, of high grade resi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interns and lower grade residents. The score of reference to professional organization and autonomy factor were increasing significantly as the grade increased. Working conditions and perception for socioeconomic status of doctors influenced the score of professionalism scale significantly. It seemed that professional socialization was made during the training periods of interns and residents. Most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current socioeconomic status of doctors were middle and high strata but they responded tha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doctors would fall in the future. They seemed to have a pessimistic thought about doctor's status. Generally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doctor job and fit to the job, but 51.9% answered that if possible they would get other jobs. It seemed to reflect their critical thinking on doctors' status. Perceptions about socioeconomic status of doctors, professional value and professionalism influenced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The interns and residents had high sense of calling to doctors and thought that doctors were socially important job. Generally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job. Interns and residents had normative thoughts about the trait which compentent doctors must have. During the training period, they seemed to have attitude and perception as a professional and to make professional socializations.

  • PDF

대학생의 성교육 효과측정을 위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program on college students)

  • 장순복;최연순;강희선;박소미
    • 대한간호
    • /
    • 제36권2호
    • /
    • pp.49-63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useful instrument to measure the effect of sex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155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he course "Sexuality and Relationship" at Y university in Seoul. At the end of that course, they were asked to write freely about the change they had experienced on sexuality. All meaningful statements were elicited and classified into 7 categories; "Change of Knowledge", "Enlightenment", "Change of Attitude on Sexuality", "Buildup of Ability", "Buildup of. Identity", "Change of Emotion", "Change of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areas of knowledge(28. 6%), enlightenment(27.4%), and attitudes(20.3%) about sexuality among these 7 categories. The Change of Knowledge category consists of 3 areas: "concretion of knowledge", "increase of information", and "correction of misunderstanding." In the category of Enlightenment, total 12 areas are included: "sex role", "erception of lack of knowledge", "importance of family", "life plan", "parent role", "value of life", "equality", "sexual autonomy", "importance of sexuality", "freedom of sexuality", "perception of sexual problem", and "meaning of love." The Attitude Change category consists of 8 areas. These are "being natural", "being progressive", "being sensitive", "being truthful", "being expressive", "being cautious", "being responsible", and "being confident". The category of Buildup of Ability includes 4 areas: "problem solving", "sex education",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The category of Buildup of Identity includes "sexual identity", and "value of sexuality". The Emotional Change category includes 3 areas: "positive feeling", "negative feeling", and "breaking from negative feeling on sexuality". The Behavior Change category includes "sex-related behavioral change". In conclusion, up to now most researches on sex education effect measures only changes of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But we believe the changes in "Enlightenment", "Buildup of Ability", "Buildup of Identity", "Change of Emotion", should be included in addition to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in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sex education effects. And the effect of sex education should measure the degree of learning of autonomy, enlightenment, and ability of behavior and so on rather than studying the simple changes in sexuality.enment", "Buildup of Ability", "Buildup of Identity", "Change of Emotion", should be included in addition to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in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sex education effects. And the effect of sex education should measure the degree of learning of autonomy, enlightenment, and ability of behavior and so on rather than studying the simple changes in sexuality.ng the simple changes in sexuality.

  • PDF

부당한 상황에서 경험되는 정서의 문화 차이: 한국, 중국,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The difference of cultural emotions in unfair situation in Korea, China, Japan, and the U.S.)

  • 한민;류승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2호
    • /
    • pp.251-272
    • /
    • 2018
  • 사람들은 자신의 문화적 맥락에 따라 부당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그 상황에 대한 인식, 감정 및 행동에 다양한 방식을 보인다. 본 연구는 4개국(한국, 중국, 일본, 미국)에서 부당한 상황에 대한 인식, 감정 상태, 및 행동 양상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또한 새로운 자기관 모델인 주체성-대상성-자율성 모델을 이용하여 국가마다 나타나는 자기관과 행동양상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총 317명(한국인 87명, 중국인 71명, 일본인 80명, 미국인 79명)이었다. 4개국 모두에서 부당한 상황은 "자신이 하지 않은 일로 불이익이나 책망을 받는 경우"가 가장 많았지만, 국가별로 그 비율은 다르게 나타났다. 부당한 상황에 대한 감정 상태 중 분노는 한국인이, 불쾌와 관계정서는 중국인들이, 그리고 당혹감은 일본인들이 가장 높은 비울을 보였다. 행동 영역에서는 아시아 3개국은 대부분 어떤 행동도 하지 않는다고 응답했으며, 미국인은 대부분 직접적인 표현을 하였다. 주체성-대상성-자율성 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한국인은 주체성 자기관이 높았고, 중국인은 주체성과 자율성 자기관이 동시에 높았으며, 일본의 경우에는 대상성 자기관이 다른 나라에 비하여 높았고, 미국은 자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억울과 관련한 문화적 정서에 대한 함의와 새로운 자기관 모델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운동/피트니스앱 속성이 앱 활용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적 관점에서의 탐구 (The effect of Attributes of Exercise/Fitness Apps on App Usage: A Convergence Perspective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 최정화;박동진;노기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327-339
    • /
    • 2015
  • 본 연구는 1)개인의 운동/피트니스 앱 속성에 대한 인식과 2) 운동/피트니스 행위에 대한 동기가 앱에 대한 유용성 인식 및 앱 활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운동/피트니스 앱을 이용하는 20-30대 남녀 32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앱의 속성이 이용자들로 하여금 앱의 유용성을 인식하도록 만드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용하고 있는 운동/피트니스 앱이 자율성 및 유능성 관련 속성을 갖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해당 앱을 더욱 유용하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관계성 관련 속성 인식은 앱 유용성 인식에 주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의 운동에 대한 자율적 동기와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이들 기본심리 욕구와 관련된 속성에 대한 인식은 인식된 유용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앱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앱이라는 정보기술을 심리 및 보건학의 융복합적 관점에서 연구한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건강앱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창업의지 결정요인 비교분석 (A Comparison of Determinant Factors of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Korean and Chinese Students)

  • 이지석;속대붕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권2호
    • /
    • pp.65-81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력지향성, 사회문화적 요인, 자기권능감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 간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분석했다. 첫째, 경력지향성에서 기술지향성, 안정지향성, 자율지향성 수준은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사업지향성에서는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 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회 문화적 요인 중 기업이미지 수준은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 보다 낮게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창업의지 수준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한국 대학생이 중국 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경력지향성 변수 중에서 사업지향성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 모두 창업의지에 유의적 정(+)의 영향이 있었고, 안정지향성에서는 한중 대학생 모두 창업의지에 유의적으로 부(-)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권능감과 기업이미지는 한중 대학생 모두 창업의지에 유의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네트워크 환경(가설 2-2)에서는 한국 대학생의 창업의지에는 가설이 기각된 반면에, 중국 대학생의 창업의지에는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청년 취업자의 이직 준비 관련 요인: 청년패널 2007-2013 자료 분석 (Factors Associated with Preparation for Turnover in Youth Employees: a Pooled Analysis of Data from the Youth Panel 2007-2013)

  • 김경범;이주현;노진원;권영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480-49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취업자의 이직 준비 관련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관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의 1-7차 연도인 2007-2013년 자료를 분석하였다. 최종 연구대상은 취업자인 17,037개의 표본이며, 일반화 추정 방정식 방법을 이용한 패널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사회적 특성에서는 연령, 성별, 최종 학력, 월 소득, 고용 형태가 유의하였으며 근무 관련 특성은 교육수준 대비 업무 난이도, 업무의 전공 일치도, 자기발전의 추구, 고용의 안정성, 일의 자율성과 권한, 직장내 인간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환경과 근무조건에 불만족할수록 이직 준비를 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청년 취업자의 이직 준비는 후생을 높이고 자신에게 적합한 일을 찾기 위한 일련의 활동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