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itudes toward death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4초

영적간호 교육이 간호학생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piritual Care Nursing Education Towards Death and Dying)

  • 김정남;박경민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4-127
    • /
    • 1999
  • In order to care the persons who are dying a nurse should first solve her / his own conflicts about death. and be aware of their own concepts of death and dying. In order to find out patient's spiritual needs and to give better spiritual nursing care. a nurse should know her / his own spiritual needs and be aware of their own concepts of spiritual nursing problems. To improve nurse's understanding towards death and dying and nurse's knowledge towards spiritual needs and spiritual nursing care. 14 weeks(two hours a week) spiritual nursing care education was given to 3th grade baccalaureate nursing college student. Before and after spiritual nursing care education. 30 items of prepared questionare focused on the attitudes toward death and dying was asked. Pre and post results are as follow ; 1. The dying patient's emotional and physical nee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educated groups. Both of the situations. they agreed upon$(69.64\%)$ that the dying patients have high emotional and physical needs to solve. 2. Telling the truth of dying proc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educated group$(53.33\%)$ and post educated group$(55.95\%)$. 3. Attitudes of medical personne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51.49\%)$ and post educated groups $(53.87\%)$. These responses indicate that nursing college student didn't have enough experiences on dying patients care. 4. General attitudes on death and dying. Number of nursing students who were thinking positively toward death and dying were Increased (pre $39.68\%$. post $45.44\%$) and who were thinking negatively toward death and dying were also decreased (pre $37.30\%$. post $33.93\%$). 5. Attitudes toward mechanical assistance for life-expanding of helpless pati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educated groups. About $34.13\%$ of them approved upon mechanical assistance for life and about $33.14\%$ of them disapproved. 6. Attitudes of family members of dying pati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educated groups. About $45.24\%$ of both groups, agreed upon that the family members feel annoyed with dying patients and about $22.42\%$ of both groups disagreed. Whether they received the spiritual nursing education or not, they were aware of that the family members feel annoyed with dying patients. 7. Special facility and educational preparation for dying pati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82.14\%)$ and post$(90.87\%)$ educated groups. These responses indicated that after they received the education, they felt more about the necessity of special facility and educational preparation for the death and dying patients. 8. Special facility and welfare system for the ol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58.33\%)$ and post$70.64\%$ educated groups. There responses indicated that after they received the education, they felt more about the necessity of special facility and welfare systems for the old.

  • PDF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s toward Death of Terminal Patients)

  • 김영희;유양숙;조옥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1호
    • /
    • pp.1-9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전문대학의 3년제 간호과에 재학 중인 660명이었다. 자료는 2011년 10월부터 11월까지 수집하였다. 생명의료윤리 인식은 본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근거로 개발한 도구로, 죽음에 대한 태도는 Collett와 Lester(1969)의 FODS (Fear of Death Scale)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 Wilcoxon rank sum test와 Kruskall Waills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문제로 갈등 경험이 있고, 심폐소생술 금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종교가 없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죽음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대상자 중 말기환자의 연명치료중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81.2%였고, 말기환자의 심폐소생술 금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76.4%로서, 심폐소생술 금지가 필요한 이유는 '평안하고 품위있는 죽음을 위해서'가 가장 많았다. 결론: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의 형성을 위해 확고한 생명의료윤리 가치관의 확립이 요구되며, 가능하면 임상실습을 시작하기 전에 교육이 실시될 필요가 있다.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종교, 학년, 생명의료윤리 갈등 경험, 심폐소생술 금지 찬성 여부가 포함되어야 하며, 말기환자 간호를 미리 경험할 수 있도록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흥업소 여성종업원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자살충동억제의지에 미치는 영향 -룸살롱과 바 여성종업원 태도 비교조사- (Korean Hostess' Attitudes toward Death and its Effects on Their Capacities to Resist Suicidal Impulses -Comparative study of Korean Hostess Working at the Room Salon and Bar-)

  • 김유리;한흥식;제민지;천경주;장철훈;김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507-521
    • /
    • 2017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소재 유흥업소 여성종업원(룸살롱/바)을 대상으로 이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관련 요인들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방법: 120명의 유흥업소 여성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죽음에 대한 태도에 관한 총 7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죽음해방인식, 죽음자연현상수용, 죽음공포, 죽음생각회피, 나의 죽음이 가족에게 주는 충격, 죽음생각빈도, 자살충동억제의지로 구분된다. 결과: 룸살롱 여성종업원들은 '월수입 만족도'가 높을수록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빈도가 낮았으며, 자살충동억제의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룸살롱 여성들의 '자살충동억제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나의 죽음이 가족에게 주는 충격'과 '월수입 만족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바 여성종업원들의 경우 '죽음해방인식' 요인만이 '자살충동억제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룸살롱 여성종업원들의 경우 '월수입 만족도'가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에 관한 생각을 정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개인이 가진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에서 자살이라는 최악의 선택을 하지 않게끔 도울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영적 안녕감과 죽음 준비도 그리고 내세관이 죽음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Influence the Attitude of Death of the Old Ages for Afterlife View and Death Prepar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 김혜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92-503
    • /
    • 2016
  • 본 연구는 노년기 영적안녕감과 죽음 준비도 그리고 내세관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형성하여 죽음불안을 경감시키고, 만족스러운 노년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실천적 개입기술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원주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들에게 설문지법으로 조사하여 SPSS 통계프로그램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적안녕감과 죽음준비도 그리고 내세관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p<.001) 차이가 나타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는 내세관, 죽음준비도, 영적 안녕감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상대적 중요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P<.001)로 99.9% 신뢰수준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죽음준비도, 영적 안녕감 순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내세관은 다른 두변수가 영향을 미칠 경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는 인구사회학적 변인 포함 후 죽음준비도, 내세관, 영적 안녕감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경제수준차이에서만 (p<.05)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죽음 준비도, 영적 안녕감은 노인의 삶의 질을 좌우하는 부분으로서 죽음불안을 해소하는 데 큰 영향이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미는 죽음에 대한 불안을 긍정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는 점을 검증할 수 있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청소년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Adolescents)

  • 이인숙;김경자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2-91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LST) in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85 adolescents.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tests,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IBM SPSS 20.0. Statistical package. Result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s toward WLST and respect for life (r=-.188, p=.010). Knowing about life-sustaining treatment (β=-0.30, p<.001), experience of WLST education (β=0.21, p=.003), experience of respect for life education (β=-0.16, p=.021), and experience of death (family or acquaintance) (β=-0.13, p=.039) explained 16.7% (F=8.39, p<.001) of the variance in attitudes toward WLST. The respect for life did not affect attitudes toward WLST (β=-0.07, p=.347).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WLST in adolescents is different from that of adult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strategies for sound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WLST in adolescents.

임종 다빈도 부서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대처정도와 생애 말기환자 간호와의 관계 - 응급실, 중환자실, 종양내과 병동 간호사를 중심으로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Coping with Death and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Regarding EOL Care: Focus on Nurses at ED, ICU and Oncology Department)

  • 서민정;김정연;김상희;이태화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2호
    • /
    • pp.108-117
    • /
    • 201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1) 죽음에 대한 태도와 대처정도,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 및 간호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2) 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3)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방법: 3개 대학병원의 임종 다빈도 부서인 종양내과병동, 중환자실, 응급실에 근무하는 187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다차원 죽음에 대한 태도 척도', '죽음에 대한 대처정도 척도', '생애 말기환자 간호에 대한 인식 척도', '생애 말기환자 간호에 대한 수행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기술 통계, 상관관계,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은 결혼 유무, 종교, 근무 부서, 말기환자 간호에 대한 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은 죽음에 대한 태도(P=0.014), 죽음에 대한 대처(P=0.003),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P<0.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이 근무부서(P<0.001),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P<0.001)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이 근무 부서,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에 영향을 받으므로, 근무 부서에 따라 차별화된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ing Style and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Suicide

  • Choi, Seo-Hyun;Lee, Sang-Eun;Lee, Chai Won;Maeng, Seri;Son, Jisung;Kim, Won-Hyoung;Bae, Jae Nam;Lee, Jeong Seop;Kim, Hy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1권4호
    • /
    • pp.193-200
    • /
    • 2020
  • Objectives: Adolescent suicide, a major cause of adolescent death,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attitudes toward suicid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style and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suicide and the mediating role of attitude toward suicide between parenting style and suicidal ideation. Methods: We surveyed 1,071 adolescents from eight middle schools in Incheon, Korea. The survey included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attitudes toward suicide, perception of parenting style, depression severity, and suicidality. Results: Students in the authoritarian parenting group had a more permissive attitude toward suicide compared with the democratic and permissive parenting groups. These students considered that suicide is justified in certain situations and that choosing suicide is an individual's right. They also had a negative attitude toward talking about suicide or intervening in others' suicide. This association rem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the impact of confounding factors that could affect attitudes toward suicide, except for suicidal processes and preparedness to prevent suicide. In the mediation analysis, we observed that some factors of the attitudes toward suicide mediated between authoritarian parenting attitudes and suicidal ideation, namely, suicide as a right, preventability, suicide as normal/common, preparedness to prevent suicide, and resignatio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e significant impact of parenting style on children's attitudes toward suicide. Educating parents about the appropriate parenting attitudes-sympathetic and rational-can help prevent youth suicide.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Awareness of Good Death and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among Geriatric Hospital Nurses)

  • 안미숙;이금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3호
    • /
    • pp.122-133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노인요양병원에서 임종간호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10개 노인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3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수집은 2013년 4월 3일부터 4월 22일까지 하였다. 연구 도구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7문항, 죽음 및 임종간호 관련 특성 10문항, Schwartz 등(2003)이 개발한 좋은 죽음인식 척도 17문항, Frommelt(1991)가 개발한 임종간호태도 척도 30문항 등 총 64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대상자의 좋은 죽음인식 정도는 평균 $3.13{\pm}0.33$점(4점 만점), 임종간호태도 정도도 평균 $2.94{\pm}0.27$점(4점 만점)으로 보통 이상이었다. 둘째, 좋은 죽음 인식 정도의 차이는 연령, 직무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임종간호태도 정도의 차이는 학력, 종교, 종교중요성 인지, 임종간호경험, 좋은 죽음 교육경험, 좋은 죽음 생각빈도, 임종간호 교육경험, 직무만족, 삶의 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임종간호태도는 좋은 죽음인식과의 상관관계에서 유의하지 않았으나, 좋은 죽음인식의 하위 요인인 친밀감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태도의 하위 요인인 임종정서와 좋은 죽음인식 간에는 역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임종간호수행과 좋은 죽음인식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임종간호태도를 긍정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좋은 죽음인식의 친밀감을 고취시킬 수 있고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노인요양병원 특성에 맞는 교육과 다양한 중재전략이 개발되어야 한다.

뇌사에 대한 인지와 태도에 관련된 요인 (The Factors of Related towards Cognition and Attitudes to the Brain Death)

  • 황병덕;정웅재;최령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9-170
    • /
    • 2011
  •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basic data on brain death by analyzing factors of influencing toward attitude to brain death subject to citizens of Busan City. The data was collected for 47 days from 14 July to 31 August, 2009. Among a total of 2200 cases of the questionaries, only 2042 ca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PSS 17.0 was used, and for the specific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to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examination on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after analyzing the factors for participants' consciousness on brain death,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understanding of relations between participants' will to brain death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high in those with will to donate their organs than those without in the attitude factors, namely, death recognition, acceptive, exclusive and religious attitude factors. Second, Significant variables for effects of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were gender, patients or their family's chronic or incurable diseases, religion, occupation and death recognition, acceptive, and exclusive attitude factors.

대학생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Death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 현은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220-4228
    • /
    • 2014
  •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대학생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생각,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실험집단 11명과 통제집단 13명이며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4년 3월 4일부터 4월 24일까지 주 1회씩 8회의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여 통제집단과 사전. 사후검사 점수 차이를 비교하여 효과를 파악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모수 통계방법인 $x^2$ test, Mann-Whitney U 검증, Wilcoxon rank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자살생각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