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7.492

Effect on Influence the Attitude of Death of the Old Ages for Afterlife View and Death Prepar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Kim, Hye Suk (상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year to prepare for death, and attitudes afterlife view.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 a correct attitude toward the death to develop the practical skills and interventions to alleviate death anxiety, to live the life of a satisfactory old ag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ense of spiritual well prepared even death afterlife view and the analysis of the impact on attitudes toward death significantly (P<.001) showed that differences appeared unaffected. Second, afterlife view death readiness and spiritual wellbeing i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impact of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death (P<.001) in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relationship in 99.9% confidence level It appeared. That death is also ready, exerts an influence on the sense of spiritual well the attitude of the order of death, afterlife view appeared as a variable tha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ed if the other two variables influence. Third, after the death that included demographic variables readiness, afterlife view and spiritual wellbeing is having an economic level differences only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p<.05)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ttitudes to death It appeared. So that the death readiness, spiritual well influenced to relieve the sense of death anxiety as a part of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t was identified in this study. Thus the meaning of the present study is meant I was able to verify that it can solve the anxiety about the death positively.
Keywords
Afterlife View; Death Preparation; Spiritual Well-being; Attitude on Death;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임동현, 노인의 영적안녕감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실제적 안녕 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남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 최재천,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효형 출판사, 2005.
3 유희옥, 중 노년기의 죽음 불안태도 : 내세관. 죽음 준비도를 중심으로, 성신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 C. Becker, "Death education in america reasons, Levels", contents, 세계의 죽음준비교육에 관한 국제세미나 자료집, pp.20-35, 2004.
5 J. A. Shelly, Spiritual Care; The Nurses Role, 3rd. ed., Downers Grove: InterVasity Press, 1988.
6 김영혜, 권봉숙, 남혜경, 오상은, 이영은, 이지원 등, 아동간호학 총론, 개정중보판, 현문사, 2006.
7 J. E. Thomson, "The Place of Spiritual Well-Being in Hospice Pationt's Overall Quality of Life," Hospice Journal, Vol.15, No.2, pp.13-27, 2002.   DOI
8 김선화, 죽음 준비교육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행정법무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9 윤서희, 노인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국내사례 탐색과 활성화 방안, 서울 지역 노인복지기관을 중심으로, 중부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0 박지선, 노인의 고독감, 영적 안녕과 삶의 질과의 관계, 고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1 임미숙, 노인의 건강상태, 우울 및 삶의 질에 대한 조사연구, 경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2 최은진, 노인의 우울, 자아 존중감, 생활만족도 및 삶의 질 관계 연구, 경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3 오경환,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서울시 마포구를 사례로, 연세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4 이누미야 요시유키, 사생관 척도 개발 및 그 하위요인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내세관.죽음에 대한 태도 및생명존중의지를중심으로,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5 김미순, 내세관과 죽음준비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6 황지원, 노인의 자아 존중감, 죽음준비도, 내세관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7 P. E. Paloutzian and C. W. Ellison, Loneliness, 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New York : John Wiley & Sons, 1982.
18 최상순, 동일지역 성인의 영적 안녕 희망 및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박사학위논문,1990.
19 강정호, 암환자의 영적 안녕상태에 관한 조사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20 J. A. Thorson and F. C. Powell, "Elements of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Deat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44, No.5, pp.691-701, 1988.   DOI
21 권향숙, 서인선, 김현경, "입원 암환자의 죽음준비와 죽음불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9, pp.334-342, 2013.   DOI
22 전영기, 노년기 죽음불안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3 이예종, 노인의 죽음준비인식과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4 R. N. Butler and M. I. Lewis, Aging $ mental health: positive psychosocial and bimedical approaches, St. Louis: Mosby, 1982.
25 남기민, 박현주, "노인의 종교 활동과 사회활동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Vol.49, pp.405-428. 2010.
26 오진탁, 죽음, 삶이 존재하는 방식, 청림출판사, 2010.
27 김나미, "목회자 사모의 정신건강과 영적 안녕감의 관계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2, pp.256-260, 2015.
28 장인순, "일부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영적안녕,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0권, 제2호, pp.91-98, 2004.
29 최순인, 입원노인환자의 영적안녕과 우울,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002.
30 박형규,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