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ter Yomena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9초

식물환경복원 소재선발을 위한 국화과 15종의 생육 및 중금속 축적능 분석 (Heavy Metals Uptake Capability and Growth of Fifteen Compositae Plants for Phytoremediation)

  • 권혁준;이철희;김수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19
  • 본 연구는 중금속 오염지역의 토양정화에 적합한 식물을 선발하기 위해 국화과 15종을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8주 동안 재배한 다음 생육반응과 부위별 비소, 카드뮴, 구리, 납, 아연 등의 중금속의 축적능을 분석하였다. 톱풀을 제외한 가새쑥부쟁이, 금계국, 감국, 각시취 등의 생육은 비교적 양호하였다. 비소 축적능은 더위지기 지하부($25.52mg{\cdot}kg^{-1}$)에서 가장 높았고 지상부는 바위구절초($3.35mg{\cdot}kg^{-1}$)가 가장 우수하였다. 카드뮴은 왕갯쑥부쟁이 지상부($2.50mg{\cdot}kg^{-1}$)에서 가장 높았다. 구리 축적능은 지상부와 지하부 모두 각시취(24.29, $99.92mg{\cdot}kg^{-1}$)가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국화과 15종의 지상부는 1.43(왕갯쑥부쟁이)${\sim}5.00mg{\cdot}kg^{-1}$(수리취)의 납이 축적되었다. 눈갯쑥부쟁이($140.09mg{\cdot}kg^{-1}$), 쑥부쟁이($109.07mg{\cdot}kg^{-1}$), 왕갯쑥부쟁이($100.21mg{\cdot}kg^{-1}$) 등의 아연 축적능은 $100mg{\cdot}kg^{-1}$ 이상으로 아연 오염 지역의 식물상 정화 기법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섬쑥부쟁이와 쑥부쟁이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anti-adipocyte differentiation of Aster glehni and Aster yomena)

  • 이지연;박정용;김형돈;이승은;이정훈;이윤지;서경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3호
    • /
    • pp.250-2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섬쑥부쟁이 (Aster glehni)와 쑥부쟁이(Aster yomena)의 항산화 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검정하기 하여 물 (-W)과 에탄올 (-E)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히 하였다. 각 추출물을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량을 분석하고 DPPH와 $ABTS^+$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상관관계도 분석하였다.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섬쑥부쟁이의 70% 주정 추출물에서 각각 45.42 mg/g와 40.32 mg/g으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효과의 경우 또한 $ABTS^+$$IC_{50}$값이 섬쑥부쟁이의 70% 주정 추출물에서 $30.1{\mu}g/mL$로 가장 우수하였다.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상관관계도 유의적으로 통계처리 되어 추출물의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영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섬쑥부쟁이와 쑥부쟁이의 항비만 효능 평가를 위하여 지방세포인 3T3-L1의 분화 억제를 확인하였다.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지방분화를 Oli-Red O 염색약으로 염색하여 비교하여 보았을 때, 섬쑥부쟁이의 물 추출물에서 70.49%의 가장 낮은 지질 축적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섬쑥부쟁이의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량, 항산화 활성과 지방분화 억제 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섬쑥부쟁이가 안정성이 검증된 항비만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치매유발물질인 염화알루미늄으로 손상된 C6 신경교종 세포주에서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Aster yomena (Kitm.) Extract on C6 Glioma Cell Line Damaged by AlCl3, Dementia Inducer)

  • 서영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08-416
    • /
    • 2020
  • 본 연구는 치매유발물질의 하나인 염화알루미늄(AlCl3)의 신경독성을 C6 glioma세포를 배양하여 조사하였으며, AlCl3의 독성에 대한 쑥부쟁이[Aster yomena (Kim.), AY]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세포생존율을 비롯하여 항산화능 분석인 XO 저해능과 SAR-소거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AlCl3는 배양 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적으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 과정에서 XTT50값이 130.0 μM로 나타나 Borenfreund와 Puerner의 독성판정기준에 의하여 중간독성(mid-cytotoxic)으로 나타났다. 한편, 항산화제인 QU는 AlCl3의 독성으로 손상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AlCl3의 독성에 대한 AY 추출물의 방어효과에 있어서, AY 추출물은 AlCl3만의 처리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이와 동시에 XO 저해능과 SAR-소거능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lCl3의 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AY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의하여 AlCl3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따라서, AY 추출물과 같은 천연물질은 질환유발제인 AlCl3와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이 있는 중금속화합물의 독성 완화나 질환의 치료적 개선을 위한 대체물질개발에 있어 유용한 소재인 것으로 생각된다.

국화과 꽃의 미백 화장품 기능성 검색 (Evaluation for the flowers of compositae plants as whitening cosmetics functionality)

  • 이영근;이정훈;이나영;김남균;정다원;;김유성;김형근;;박하승;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1호
    • /
    • pp.5-11
    • /
    • 2017
  • 18종의 국화과 식물의 꽃을 MeOH로 추출하였다. 농축한 추출물은 용매의 극성을 이용하여 n-hexane, EtOAc, n-BuOH 및 물 분획으로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하여 총 페놀 양, 총 플라보노이드 양, DPPH radical scavenge 효과 및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쑥부쟁이(Aster yomena)의 n-hexane 및 EtOAc 분획, 하얀 코스모스(Cosmos bipinnatus White)의 n-hexane 분획, 분홍 코스모스(C. bipinnatus Pink)의 n-hexane 및 EtOAc 분획에서 총 페놀양이 높게 나타났으며, 쑥부쟁이(A. yomena)의 EtOAc의 분획,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의 EtOAc 분획, 빨간 코스모스(C. bipinnatus Red)의 EtOAc 분획, 프로기(C. morifolium Froggy)의 EtOAc 분획, 그리고 하이마야(C. morifolium Himaya)의 EtOAc 분획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양이 높게 나타났다. 쑥부쟁이(A. yomena)의 EtOAc 분획,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의 EtOAc 분획, 분홍 코스모스(C. bipinnatus Pink)의 EtOAc 분획, 옐로우마블(C. morifolium Yellowmable)의 EtOAc 분획, 그리고 로사(C. morifolium Rosa)의 MeOH 추출물이 DPPH radical을 효과적으로 포획하였다. 서양들골나무(C. chinensis)의 EtOAc 분획,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의 EtOAc 분획, 빨간 코스모스(C. bipinnatus Red)의 EtOAc 분획, 하이마야(C. morifolium Himaya)의 EtOAc 분획 그리고 홍심(C. morifolium Hongsim)의 EtOAc 분획이 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였다. 수율 및 위의 실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쑥부쟁이(A. yomena),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 분홍 코스모스(C. bipinnatus Pink), 빨간 코스모스(C. bipinnatus Red) 및 하이마야(C. morifolium Himaya) 의 다섯 품종이 미백물질개발을 위한 좋은 자원으로 판단되었다.

Disaccordance of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Randomly Amplyfied Polymorphic DNA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Aster

  • Hong Su-Young;Cho Kwang-Soo;Suh Jong-Taek;Yoo Ki-Oug
    • Plant Resources
    • /
    • 제8권1호
    • /
    • pp.36-43
    • /
    • 2005
  • This study were focused on the genetic relationship using RAPDs a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eleven taxa Aster collected in Korea. Twenty random primers were selected, a total 216 DNA bands were generated and 213 bands were shown polymorphism among species. The collected eleven taxa were clustered into five groups at 0.609 similarity index. The first group was A. glehni, A. ageratoides, A. maackii and A. scaber was clustered at 0.713 of genetic distance. The second group was A. tataricus and A. koraiensis and the third group was A. spathulifolius, the forth group was A. yomena, A. hayatae and A. hispidus and the fifth was A. tripolium.

  • PDF

수종 초본식물의 중금속 내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vy Metal Tolerance in Several Herbaceous Plants)

  • Cho, Do-Soon;Joon-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1호
    • /
    • pp.147-156
    • /
    • 1995
  • Restoration of ecosystems degraded by heavy metal pollution can be accomplished by soil amendment and selection and utilization of plants tolerant to heavy metals. Two former zinc mine sites, Sambo Mine in Hwasung, Kyonggi-do and the Second Yonhwa Mine in Samchuk, Kangwon-do, were selected for collection of plant samples and for determination of heavy metal tolerant species. Dominant species on mine waste deposits in Hwasung site were Panicum bisulcatum and Echinoch/oa crus-galli, while those in Samchuk site were Aster yomena, Setaria viridis, Artemisia lavandulaefolia and Oenothera odorata. Mean contents of zinc, lead and cadmium in Hwasung soil were 103, 117 and 1 ppm, respectively, while those in Samchuk soil were 23, 6 and 4 ppm, respectively, Zinc contents were higher in Echinochloa crus-galli from Hwasung and in Artemisia lavandulaefolia from Samchuk, while lead contents were higher in Panicum bisulcatum and Echinochloa crus-galli from Hwasung and Lactuca sonchiJolia and Pinus densiJolia from Samchuk. Plant species with higher cadmium contents were Panicum bisulcatum and Lactuca sonchiJolia. Comparison of metal contents between roots and shoots showed that Echinochloa crus-galli was a zinc accumulator, while Panicum bisulcatum, Persicaria hydroPiPer, Pinus densiJlora and Lactuca sonchiJolia were zinc excluders. In addition, Panicum bisulcatum and Persicaria hydroPiPer were proved to be lead excluders. When both heavy metal contents in plant tissues and biomass of individual plants are considered, it can be concluded that Echinochloa crus-galli and Panicum bisulcatum from Hwasung and Artemisia lavandulaefolia and Aster yomena are heavy metal absorbing plants. The effect of heavy metals on seed germination showed that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had higher germination rate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omitant decrease of germination rates among the species investigated were found by increasing heavy metal contents.

  • PDF

The protective effects of Aster yomena (Kitam.) Honda on high-fat diet-induced obese C57BL/6J mice

  • Kim, Min Jeong;Kim, Ji Hyun;Lee, Sanghyun;Kim, Bohkyung;Kim, Hyun 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1호
    • /
    • pp.46-59
    • /
    • 2022
  • BACKGROUND/OBJECTIVES: Aster yomena (Kitam.) Honda (AY) has remarkable bio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anti-cancer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AY against obesity-induced insulin resistance have not been report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potential of AY against obesity-associated insulin resistance in high-fat diet (HFD)-fed mice. MATERIALS/METHODS: An obesity model was established by feeding C57BL/6J mice a 60% HFD for 16 weeks. The C57BL6/When ethyl acetate fraction from AY (EFAY) at doses of 100 and 200 mg/kg/day was administered orally to mice fed a HFD for the last 4 weeks. Normal and control groups were administered water orally. The body weight and fasting blood glucose were measured every week. Dietary intake was measured every other day. After dissection, blood and tissues were collected from the mice. RESULTS: The administration of EFAY reduced body and organ weights significantly compared to HFD-fed control mice. The EFAY-administered groups also improved the serum lipid profile by decreasing the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EFAY ameliorated the insulin resistance-related metabolic dysfunctions, including the fasting blood glucose and serum insulin level, compared to the HFD-fed control mice. The EFAY inhibited lipid synthesis and insulin resistance by down-regulation of hepatic fatty acid synthase and up-regulation of the AMP-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 EFAY also reduced lipid peroxidation in the liver, indicating that EFAY protected hepatic injury induced by obesit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FAY improved obesity-associated insulin resistance by regulating the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suggesting that AY could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to prevent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Vitro Assessment on Biologic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everal Compositae Edible Plants

  • Chon, Sang-Uk;Kim, Tae-Soon;Boo, Hee-Oc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6-203
    • /
    • 2008
  • Phytotoxicity,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the aqueous or methanol extracts from the young sprouts of the six Compositae medicinal plants were determined. Aqueous leachates at 40g dry tissue $L^{-1}$ (g $L^{-1}$) Cirsium japonicum and Aster yomena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on alfalfa (Medicago sativa L.). Total phenolic content showed the highest amount in methanol extracts from Ixeris dentata, and followed by A. yomena, and Cephalonoplos segetum. Methanol extracts of C. segetum and I. dentata at 25${\mu}g$ m$L^{-1}$ exhibit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y 87.2, and 52.8%, respectively. By means of HPLC analysis, MeOH extracts of C. segetum had the highest amount of antioxidant chlorogenic acid. Based on MTT assay, the methanol extracts from Y. sonchifolia ($IC_{50}$ = 65.7${\mu}g$ $mL^{-1}$) showed the highest cytotoxicity against Calu-6. These results suggest that plant extracts had a dose-dependent biological potentials including phytotoxicity,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cancer activity, and that their activities exhibited differently depending on plant species.

옥상녹화용 야생초본류와 적정 파종량에 관한 연구 (Optimal Amount of Seeding and Wild Herbaceous Plants for the Rooftop Revegetation)

  • 이은엽;신병철;조태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12호
    • /
    • pp.1009-101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appropriate wild herbaceous plants on the rooftop. For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s, 14 wild herbaceous plants were chosen. A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wild herbaceous plants growing on the culture soil(perlite) Among the 14 kinds of wild herbaceous plants, such as Chrysanthemum boreale, Taraxacum mongolicum, Aster Koraiensis, Aster yomena, Oenothera odorata, Oenothera lamarckiana, Patrinia scabiosaefolia showed good effects on growth of above ground parts. Therefore, these plants will effective for the rooftop revegetation. Callistephus chinensis and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showed good height growth, wherase covering rate was worst. Chrysanthemum boreale, Platycodon grandiflorum, Patrinia scabiosaefolia were plant height, wherase covering rate was not good . For the expected number of seedings more than 3,000 per square meter, many seedings got withered to death while the survivors were suppressed to grow slow in the early stage due to the densityproblem.

방아풀, 쑥부쟁이 및 씀바귀 나물의 건조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y of Bang-A, Aster and Lettuce Greens by the Different Drying Methods)

  • 김영민;최미승;배종향;유성오;조자용;허북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0-66
    • /
    • 2009
  • 나물로 이용되는 방아풀, 쑥부쟁이 및 씀바귀의 효율적인 건조방법을 구명하고자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건조한 후 메탄올을 용매로 한 추출액 $1,000mg{\cdot}L^{-1}$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방아풀과 쑥부쟁이는 동결건조 한 것에서 각각 65.1 및 $60.2mg{\cdot}L^{-1}$로, 씀바귀는 오븐에서 건조한 것에서 $51.2mg{\cdot}L^{-1}$로 가장 많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방아풀은 오븐건조 처리구에서 $70.6mg{\cdot}L^{-1}$로, 쑥부쟁이와 씀바귀는 동결건조 처리구에서 각각 53.9 및 $35.8mg{\cdot}L^{-1}$로 가장 많았다. 전자 공여능은 방아물의 경우동결건조 한 것에서 78.8%로 가장 높았으며, 쑥부쟁이는 $89.8{\sim}90.9%$로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씀바귀 추출물의 전자 공여능은 오븐으로 건조한 것(91.9%), 자연건조 한 것(91.0%), 동결건조 한 것(90.9%) 순으로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방아풀과 쑥부쟁이는 자연건조 한 것에서 각각 73.3및 78.2%로 높았으며, 씀바귀는 동결건조 한 것에서 75.1%로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