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artic acids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2초

유색미의 화학적성분 및 항산화활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olored Rice Cultivars)

  • 김은옥;오지혜;이기택;임정교;김성수;서학수;최상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8-124
    • /
    • 2008
  • 신품종 갈색미를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갈색미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4가지 쌀 품종(백색미, 갈색메벼, 갈색찰벼 및 흑미)의 화학적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고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새로 육종된 갈색메벼 및 갈색찰벼의 일반성분은 대체적으로 백색미와 흑미의 중간 함량을 나타내는 경향이었다. 지방산 중 palmitic, oleic 및 linoleic acids 함량이 거의 96% 이상 차지하고 있었으며, 백색미, 갈색메벼 및 갈색찰벼는 linoleic acid > oleic acid > palmitic acid 순으로, 반면, 흑미는 oleic acid > linoleic acid > palmitic acid순으로 함량이 낮았다. 백색미의 ${\alpah}$-tocopherol 함량은 51.3mg%(건물 중)이었으나 갈색메벼 및 찰벼는 각각 34.5 및 37.2 mg%, 그리고 흑미는 38.6 mg%로서 백색미보다 유색미의 함량이 낯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음, 유리아미노산 중 glutamic 및 aspartic acids와 같은 산성아미노산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흑미는 백색미보다 그 함량이 훨씬 높은 반면, alanine, proline 및 valine은 백색미보다 낮았으며, GABA 함량은 약간 높았다. 한편, 4가지 쌀 품종중 흑미(2.54 %, 건물중)의 수용성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갈색찰벼(1.09%) > 갈색메벼(0.69%) > 백색미(0.49%), 순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흑미는 가장 강한 $DPPH(IC_{50}=90.04{\mu}g/mL)$, superoxide $(IC_{50}=199.92{\mu}g/mL)$ 및 hydroxyl $(IC_{50}=420.73{\mu}g/mL)$ 라디칼 포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갈색메벼 > 갈색찰벼 > 백색미,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새로 육종된 신품종 갈색메벼 및 갈색찰벼는 대체적으로 백색미와 흑미의 중간적 화학적 품질 특성 및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새로 육종된 갈색미는 흑미와 함께 향후 기능성 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재래식과 공장산 고추장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 김영수;권동진;오훈일;강통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17
    • /
    • 1994
  • 6개월 숙성된 재래식 고추장과 시판 중인 공장산 고추장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공시된 고추장은 순창지역의 찹쌀고추장 18종, 보은지역의 10종의 보리고추장, 사천 지역의 밀 고추장 17종 및 공장산 고추장 10종이었다. 재래식 고추장의 유리당 함량은 대체로 공장산 고추장의 1/4 수준이었으며 주요 유리당은 glucose로 나타났고 이밖에 fructose, maltose sucrose가 검출되었다.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을 비교해 보면 공장산이 1,089mg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사천, 순창, 보은 고추장 순으로 각각 554, 498, 266mg이었다. 각 고추장에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유리아미노산은 순창 고추장에서는 serine, 보은 및 사천고추장에서는 aspartic acid, 공장산 고추장에서는 glutamic acid로 나타났다. 재래식 고추장에서 발견되는 휘발성 유기산으로는 acetic aicd, propionic acid, butyric acid 및 3-methyl butanoic acid가 검출되었으나, 공장산 고추장에서는 이 중 3-methyl butano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다. 함량면에서 aceticacid가 가장 많은 유기산으로 나타났으며 재래식 고추장에서 함량상 중요한 비휘발성 유기산은 lartic, oxalic, succinic acid이며 공장산 고추장에서는 이외에 itaconic, malic, malonic, pyroglutamic acid가 미량 검출되었다.

  • PDF

천연 및 양식산 넙치의 함질소엑스분과 아미노산조성 (Comparison of Nitrogenous Extractives, Amino Acids in Wild and Cultured Bastard)

  • 오광수;이형주;성대환;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73-877
    • /
    • 1988
  • 천연산 및 양식산 어류의 식품성분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서, 횟감으로 즐겨 먹는 고급어종인 넙치를 천연산과 양식산으로 구분하고 아울러 유사어종인 도다리의 함질소엑스분 및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양식산 넙치는 천연산에 비해 수분함량이 다소 않은 반면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은 약간 적었으나 대제로 성분조성이 비슷하였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천연산 넙치가 305.03mg/100g, 양식 산이 253.42mg/100g, 도다리가 340.10mg/100g이었고, taurine의 함량이 월등히 많고 다음이 alanine, glycine, lysine순이었다.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모두 유사하였다. 핵산관련물질 중 IMP 함량은 천연산 넙치가 408.31mg/100g, 양식산이 356.26mg/100g으로 도다리의 178.61mg/100g에 비해 월등히 높았고. TMAO, total creatinine 역시 천연산이 양식산에 비해 함량이 많았다. 시료어의 주요 구성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isoleucine, valine 등으로 서로 비슷하였고 전체함량은 천연산 넙치가 21.94g/100g, 양식산이 20.12g/100g, 도다리가 17.63g/100g이었다. 사료의 아미노산 조성과 양식어의 조성 사이에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 PDF

국균을 달리한 탁주 양조 중 유리아미노산 및 유기산의 소장 (Studies on the Changes in Free Amino Acids and Organic Acids of Takju Prepared with Different Koji Strains)

  • 이원경;김정림;이명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4호
    • /
    • pp.323-327
    • /
    • 1987
  • A. niger, A. shirousamii와 A. kawachii로 제조한 코오지와 누룩을 단용 또는 혼용하여 담금한 탁주 발효 과정 중 무기질, 아미노산 및 유기산의 소장을 검토한 결과 무기질 함량(ppm)은 Ca이 $1.50{\sim}15.20$으로 누룩구보다 코오지 구가 많았으며 Cu, Fe, Mn, Zn은 각각 $0.22{\sim}0.25,\;1.60{\sim}2.10,\;0.17{\sim}0.55,\;0.68{\sim}l.00$으로 모든 구에서 비슷하였고 K, Mg, Na, P는 각각 $3.00{\sim}40.50,\;5.25{\sim}19.50,\;1.43{\sim}2.95,\;3.00{\sim}63.00$으로 코오지구보다 누룩구에서 많았다. 유리 아미노산의 조성은 aspartic acid를 비롯한 16종이 검출되었다. 총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A. niger 누룩구가 811.86mg%로 가장 높았으며 주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leucine, phenylalanine이였고, A.kawachii 코오지구는 106.93m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각 시험구의 유기산은 citric acid와 tartaric acid, pyruric acid, malic acid, acetic acid 등의 함량이 각각 $80.0{\sim}637.5,\;0{\sim}105.0,\;70.4{\sim}135.0,\;592.5{\sim}1425.0,\;32.5{\sim}87.5mg%$이었고 이 중에서 lactic acid, citric acid와 tartaric acid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마늘의 alcohol 침지 중 휘발성 향기성분과 침출유리아미노산 함량 (Elution Profiles of Volatile Compounds and Free Amino Acids during Alcohol Soaking of Garlic(Allum sativum L.))

  • 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86-292
    • /
    • 2007
  • 마늘주의 산업화에 앞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마늘을 소주 등의 술에 침지하였을 때 마늘의 휘발성 기능성분과 유리아미노산이 술로 침출되는 정도 및 형태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생마늘을 20% 주정에 5주간 침지하고 매주 휘발성 향기성분과 유리아미노산들이 침출되는 양적 및 형태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마늘의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L-aspartic acid, L-glutamic acid, L-arginine, L-alanine, L- proline, L-asparagine 및 L-serine이었으며, 유리 아미노산들 모두 침지 기간의경과에 따라 침출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L-threonine, L-proline, L-valine 및 L-leucine 등의 중성아미노산들과 방향족아미노산인 tyrosine과 phenylalanine은 3주 후부터 80% 이상 침출된 반면에, 산성, 염기성 및 함황아미노산들은 5주 후에도 80% 미만이었다. 생마늘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diallyl trisulfide,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disulfide, 2-vinyl-4H-1,3-dithiin, 3-vinyl-3,4-dihydro-1,2-dithiin, 3,5-diethyl-1,24-trithiolane, isobutyl isothiocyanate 및 diallyl sulfide 등의 황화합물들이 주요 성분들이었다. 생마늘로부터 주정으로 침출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allyl alcohol, diallyl disulfide, 3,5-diethyl-1,2,4-trithiolane, diallyl trisulfide, 3,4-dimethoxyfuran의 5종이었으며, 침지기간의 경과에 따라 3,5-diethyl-1,2,4-trithiolane는 계속 침출량이 증가하였지만 그 외 4종은 감소하였다. 침 지기간 중 furfural, 5-methylfurfural, 5-hydroxymethylfurfural, dimethyl pyrazine, furfuryl alcohol, 3-hydroxy-2-bytanone과 2,3-dihydro-3,5-dihydroxy-6-methyl-4H-pyran-4-one이 새로이 생성되었으며, 침지기간의 경과에 따라 침출주에 대부분 축적되는 양상을 보였다.

Gas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한 단백질 아미노산의 분석 (Determination of Protein Amino Acids as the N-TFA N-Butyl Esters by Gas Liquid Chromatography)

  • 우강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8-93
    • /
    • 1990
  • GLC를 이용 N-TFA n-butyl ester유도제화에 의한 아미노산 분석시 stainless steel packed column으로 효과적인 분리를 할 수 있는 고정상을 찾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2개의 column을 개발하여 표준 아미노산의 N-TFA n-butyl ester 유도체를 분석하였다. Column 1;3.36% OV-17+3.0% SE-30 on chromosorb W HP 100-120 mesh. Stainless steel column $(2m{\times}3mm\;I.D.)$ Column 2;1% NPGS+0.5% OV-17+0.5% SE-30 on chromosorb W HP 100-120 mesh. Stainless steel column $(2m{\times}3mm\;I.D.)$ Column 1에서 histidine을 제외한 19개의 아미노산 peak가 나타났으나 alanine과 valine peak는 분리되지 않았다. Colume 2에서는 15개의 아미노산이 좋은 분리를 이루었고 column 1에서 분리되지 않은 alanine과 valine.이 잘 분리되었으나 column 1에서 분리된 tryptophan, arginine 및 tyrosine이 나타나지 않았다. 분리된 모든 아미노산은 column 1, 2를 막론하고 아미노산 주입량 $1.25{\times}10^{-3}{\mu}mole-1.0{\times}10^{-2}{\mu}mole$의 범위에서 각 아미노산 peak의 높이와 내부표시제 peak 높이와의 비에 대한 주입량으로 나타낸 검정선이 선형을 나타내었고 모두 원점을 지났다. Glutamine, asparagine 및 cystine은 column 1,2에서 모두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및 cysteine peak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N-TFA n-butyl ester 유도체를 만드는 과정에서 염산에 의해 각각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및 cysteine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인삼 추출물로 발아시킨 콩나물의 식품성분 변화 (Changes in Major Taste Components of Soybean Sprout Germinated with Extract of Korean Panax ginseng)

  • 최상도;김윤희;남상해;손미예;최재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3-279
    • /
    • 2003
  • 인삼추출물(100∼400 ppm)로 콩을 발아시켜 4일간 재배한 콩나물의 생육특성, 아미노산, 유기산 및 유리당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인삼추출물은 콩나물의 길이 및 무게증가에 효과적이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100 ppm에서 3일간 재배하였을 때가 가장 높았고,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 함량이 많아졌다. 또한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aspartic acid 함량은 증가하지만, glutamic acid 함량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유리당은 재배일수가 증가할수록 많아졌으나, 농도별로는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Sucrose는 대조구에서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추출물 처리구는 3일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감소하였으며, 다른 유리당은 4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총 유기산은 인삼추출물 200 ppm으로 발아시켜 3일 동안 재배한 콩나물이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 중에서 phyt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총 유기산의 45∼60% 정도를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인삼 추출물을 콩의 발아액으로 활용하면, 콩나물의 성장촉진, 아미노산, 유기산 및 유리당 함량의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막 및 새고막의 부위별 식품성분 특성 (Characteristics of Food Components in Granular Ark and Ark Shell)

  • 김귀식;임정훈;배태진;박춘규;김명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12-518
    • /
    • 2002
  • 전남의 남해안 지방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는 고막과 새고막의 생시료와 자숙 시료를 육과 내장 부위로 나누어 이들의 식품학적 품질을 구명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지질 및 지방산 조성,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및 무기성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분은 새고막이 고막에 비해 많았고, 조단백질은 적었으며, 다른 성분은 비슷하였다. 고막과 새고막의 비극성지질의 주성분은 triglyceride이었고, 두 시료 모두 내장이 육에 비해 그 조성이 높았다. 극성지질의 주성분은 phosphatidyl choline과 phosphatidyl ethanolamine이었고, 각 시료간에는 phosphatidyl choline은 내장에, phosohatidyl ethanolamine은 근육에 함유율이 높았다. 주요지방산은 16:0, 20:5n-3, 18:1n-9, 16:1n-7, 18:0 및 U:6n-3이었다. 핵산관련물질은 AMP와 ADP가 주체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들은 내장보다 근육에 그리고 생시료보다 자숙시료에 다소 많았다. 또한 자숙함에 따라 ATP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그외는 다소 증가하였다. 고막과 새고막의 주요 아미노산은 taurine, glycine, ala-nine, glutamic acid, phenylalanine 및 aspartic acid이었다. 고막생육은 자숙육에 비해 glycine, alanine 및 $\alpha$-amino-iso-butyric acid의 함량은 많았고,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및 phenylala-nine의 함량은 적었다. 새고막 생육은 자숙육에 비해 taurine과 $\alpha$-amino-iso-butyric acid의 함량은 많았고,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함량은 적었다. 무기성분은 인, 나트륨, 마그네슘, 철 및 칼슘이 주체를 이루고 있었고, 고막 자숙육은 생육에 비해 나트륨과 마그네슘의 함량이 많았으며, 인과 철의 함량은 적었다. 새고막 자숙육은 생육에 비해 나트륨, 마그네슘 및 칼슘의 함량이 많았다.

저장방법에 따른 절임 가지(시키부품종)의 성분 변화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Salted Eggplants during Storage)

  • 남학식;김남우;엄영철;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93-298
    • /
    • 2004
  • 본 연구는 일본 수출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시키부 품종의가지에 대하여 반응표면 분석을 통하여 최적조건으로 염절임 한 후 저장기간 및 저장방법에 따른 품질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연구하였다. 시키부 품종의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저장방법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침지저장한 것에 비해 진공포장한 것의 변화가 적었다. 유기산은 acetic acid와 malic acid의 함량이 높았으며, 저장기간이길어질수록 acetic acid의 함량은 증가하는데 반해 mal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주요한 구성아미노산은 valine, leucine,aspartic acid, glutamic acid 이었으며 진공포장한 것의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다가 증가하였으나 침지한 것은 저장기간 동안 계속 증가하여 저장 20일째에는 진공포장한 방법보다 100 mg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acid, alanine, cystine과 Uoline 등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모든 방법에서 증가하였는데 특히, 침지 저장한 가지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는phosphoserine, taurine, Y-aminoisobufric acid 및 hydroxypmline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 중에 phosphoserine의 함량은 감소하였는데반해 Y-aminoisobutric acid는 진공포장하여 20일 동안 저장하였더니 생가지에 비해 5배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한국산(韓國産) Comfrey의 성숙중(成熟中)의 일반성분(一般成分)과 아미노산(酸)의 함량변화(含量變化) (Changes in contents of general components and amino acids of comfrey during growth)

  • 조재흥;최칠남;정오진;김일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13
    • /
    • 1978
  • comfrey의 잎과 뿌리에 함유된 free amino acid의 종류 및 함량은 G.L.C와 T.L.C.로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L.C.에 의해서 검출한 free amino acid는 13종이었으며 alanine, valine, glycine, isoleucine, methio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ysine, arginine, histidine, cystine, tryphtophan, phenylalnine 등 13종이 정량되었으며 이들 중 arginine은 전질소 100%중에서 10.77%로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이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histidine순이었다. (2) T.L.C로 검출한 amino acid는 G.L.C로 검출한 것보다 cysteic acid, leucine를 검출할 수 있었으며, 정량적인 면에서도 G.L.C방법과 일치하였으나 검출감도가 나쁘고 1종은 미확인 되었다. (3) G.L.C의 분석은 T.L.C 분석보다도 검출감도가 높고 정량적이었으나 재현성이 낮았고 실험과정이 복잡하여 비용이 많이 든다. (4) comfrey 중에서 잎과 뿌리에 함유된 amino acid의 함량과 성분을 비교해볼때 잎보다는 뿌리에 amino acids의 함량과 종류가 약간 많았다. (5) 60일후에 채취한 comfrey뿌리의 일반성분은 수분 13.2%, 조지방 2.2%, 조단백질 22.30%, 탄수화물 37.62%, 조섬유 9.38%, 회분 15.06%로 되어 있으며 60일 전후로 하여 조단백질의 함량이 감소되고 60일이 전의 comfrey는 수분의 함량이 많았고 60일이후에 채취한 comfrey는 탄수화물 조섬유, 회분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6) 60일정도 성장한 comfrey가 제일 많은 amino acids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함량도 제일 많았다. (7) comfrey에는 많은 amino acids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동물의 사료용으로 광범위하게 쓰일 수 있으며 comfrey차 이외의 다른 가공 식품을 만들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