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Intelligence (AI)

검색결과 2,070건 처리시간 0.024초

The Application of Delphi-AHP Method in the Priority of Policies for Expanding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 Han, Eunyoung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99-110
    • /
    • 2021
  •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are actively establishing strategies and initiatives to spread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AI is not a mere new technology, but is an innovative technology that brings about extensive changes in industrial and social structures and is a core engine that will lea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also been paying attention to AI as a technology and tool for innovative growth, but its application to the industries is still rather sluggish. The government has prepared multifarious AI-related policies with the aim of constructing South Korea as an AI powerhouse, but there is no clear strategy on which detailed policies to implement first and which industries to apply AI preferentially. With these limitations of South Korea's AI policies in mind, this paper analyzed the priorities of industries in AI adoption and the priorities of AI-related national policies, using Delphi-AHP method for 30 top-level AI experts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AI application is urgent and necessary in the fields of medical/healthcare, public and safety, and manufacturing, which seems to reflect the peak of the COVID-19 crisis in the second half of 2020 at the time of the investigation. And it turns out that policies related to AI talent cultivation, data, and R&D investment are important and urgent above all in order for organizations to apply AI. This suggests that strategies are required to focus limited national resources on these industries and policies first.

디자인 씽킹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I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 이재호;이승훈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31-36
    • /
    • 2021
  • AI 기술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AI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AI 교육은 단발적인 프로젝트 교육 혹은 교사 중심의 교육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학생 중심, 현장 중심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디자인 씽킹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디자인 씽킹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은 생활 속 문제를 AI로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AI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이 향상될 것이며, AI에 대한 이해를 넘어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능력을 길러줄 것이다. 디자인 씽킹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등으로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AI 교육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PDF

Exploring the Trends and Challeng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Newspapers in Korea, 1991-2020: A topic-modeling approach

  • Kim, Sung-ae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8권4호
    • /
    • pp.216-221
    • /
    • 2020
  •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 essential skill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being actively taught in higher education; however, AI education is only in the preparatory stage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vestigating various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AI education to date can aid in basic data collection, which is an important process in the preparatory stage. Accordingly, 13,378 newspaper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21 newspapers, and five topics were extracted using 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based topic model along with frequency analysis. Newspaper articles from the early 2000s expanded to technologi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education in AI fields should be linked with education in AI-based technology.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secure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AI education in cooperation with related higher institutions and companies.

의료 영상 분석을 위한 설명 가능하고 안전한 인공지능 (Explainable & Safe Artificial Intelligence in Radiology)

  • 도신호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5호
    • /
    • pp.834-847
    • /
    • 2024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은 진단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여 영상의학 분야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지만, 예측 불확실성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본 리뷰에서는 주요 불확실성의 원인인 분포 외(out-of-distribution) 불확실성, 데이터 내재적 불확실성(aleatoric uncertainty), 모델 불확실성을 다루며, 안전한 AI 통합을 위해 독립적인 신뢰성 지표와 설명 가능한 AI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독립적인 신뢰성 지표는 AI 예측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데 기여하며, 설명 가능한 AI는 투명성을 제공하여 AI와 영상의학 전문의 간의 협업을 강화한다. 오류 무관용(zero error tolerance) 모델의 개발은 오류를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어, 안전성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AI는 영상의학에서 신뢰할 수 있는 동반자로 자리 잡아, 환자 진료 수준과 결과를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A Study on Measuring AI Literacy of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 So Hee Yoon;Bong Seok Jang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5_spc호
    • /
    • pp.725-731
    • /
    • 2024
  • With the emergence and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world is rapidly changing. As artificial intelligence is applied across various fields of society, individuals must develop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ffectively utilize it. Consequently, interest in AI literacy has been grow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AI literacy among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05 students enrolled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t A University.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mean differences in AI literacy sub-factors and overall scores by gender revealed that female pre-service teachers scored higher than males in AI understanding, AI usage, AI application, and AI literacy overall, with these differences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based on the number of courses completed related to teaching method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I creation and AI identification. Specifically, pre-service teachers who had not completed any relevant courses scored lower in AI creation and AI identification compared to those who had completed at least one course. Third, the overall level of AI literacy among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was found to be relatively low.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re discussed.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hatbot Using Generative AI to Provide Diets for Diabetic Patients

  • Ha-eun LEE;Jun Woo CHOI;Sung Lyul PARK;Min Soo KANG
    • 한국인공지능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31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ophisticated web-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system designed to provide personalized dietary service for diabetic patients. According to a 2022 study, the prevalence of diabetes among individuals over 30 years old was 15.6% in 2020, identifying it as a significant societal issue with an increasing patient population. This study uses generative AI algorithms to tailor dietary recommendations for the elderly and various social classes, contributing to the maintenance of healthy eating habits and disease prevention. Through meticulous fine-tuning, the learning loss of the AI model was significantly reduced, nearing zero, demonstrating the chatbot's potential to offer precise dietary suggestions based on calorie intake and seasonal variations. As this technology adapts to diverse health conditions, ongoing research is crucial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of dietary information for the elderly, thereby promoting healthy eating practices and supporting disease prevention.

초거대 인공지능의 국방 분야 적용방안: 새로운 영역 발굴 및 전투시나리오 모델링을 중심으로 (Application Strategies of Superintelligent AI in the Defense Sector: Emphasizing the Exploration of New Domains and Centralizing Combat Scenario Modeling)

  • 박건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19-24
    • /
    • 2024
  • 미래의 군사 전투 환경은 현재의 군(軍) 인구 감소 및 변화하는 양상에 맞춰 국방 분야에서 인공지능(AI)의 역할과 중요성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특히, 민간에서의 AI(Artificial Intelligence) 개발은 OpenAI의 Chat-GPT 등장 이후 초거대 AI(Super-Giant AI, also known as Hyperscale AI), 즉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새로운 영역에서 부상하고 있다. 미국 국방부는 CDAO(Chief Digital and AI Office) 산하의 Task Force Lima를 조직하여 LLM(Large Language Model)과 생성형 AI의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며, 중국, 이스라엘 등 군사 선진국에서도 초거대 AI를 군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따라서, 우리 군도 무기체계에 초거대 AI 모델의 활용 가능성과 적용분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특화 AI와 초거대 AI(파운데이션 모델, Foundation Model)의 특징 및 장·단점을 비교하고, 무기체계에 적용될 수 있는 초거대 AI의 새로운 적용분야를 발굴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의 적용 분야와 잠재적인 도전과제에 대한 예측과 함께 초거대 인공지능을 국방작전에 효과적으로 통합하기 위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선진화된 인공지능 시대에서의 국방 정책 개발, 국제 안보 전략을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초등학생의 AI 역량 측정을 위한 체크리스트 문항 개발 (Development of checklist questions to measure AI cap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은철;변영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7-12
    • /
    • 2024
  •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사회의 구조와 교육환경을 변화시키며, 인공지능 역량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AI 역량 측정을 위한 체크리스트 문항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문헌 분석과 문항개발 델파이 조사를 사용하였다. 문헌 분석을 위해 검색을 통해 국내 연구 2편, 국외 연구 5편, 교육부의 교육과정 보고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해서 핵심역량 측정 요소를 구성하였다. 핵심역량 측정 요소는 인공지능의 이해(6개 요소), 인공지능 사고(4개 요소), 인공지능 윤리(4개 요소), 인공지능 사회-정서(3개 요소)로 구성하였다. 구성된 측정 요소의 지식과 기능 그리고 태도를 고려하여, 19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은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 검증하였고, 수정의견에 따라 7개의 문항을 수정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 19개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체크리스트 문항은 자기보고식 설문이 아닌 수행 및 행동 관찰을 기반으로 교사의 평가에 의해서 측정된다. 이에 역량의 측정 결과가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높아진다는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4차 산업 기술 기반의 예술 콘텐츠 연구 -인공지능 회화와 NFT 미술을 중심으로- (Research on art contents based on 4th industrial technology -Focus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painting and NFT art-)

  • 방진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613-625
    • /
    • 2024
  • 본 연구는 4차 산업기술의 혁신적인 기술인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예술 콘텐츠인 AI 회화와 NFT 미술의 융복합 사례를 분석하고 그 특성에 대해 탐구하였다. 21세기 삶의 패러다임을 혁신하는 디지털 기술은 창의적인 예술에서 활용되고 있고, 이를 표현 도구로 활용하는 AI 회화와 NFT 미술은 예술에 대한 인식과 수용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빅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는 AI 회화는 대화형 일상 예술로 진화하고 있으며, 블록체인과 NFT 기술을 이용하는 NFT 미술은 경제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를 지닌 메타버스의 예술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디지털 융합 예술의 다양한 양상과 가치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AI 회화와 NFT 미술의 대표적 사례를 인지 창의적 AI 회화와 언어 생성적 AI, 예술 경제적 NFT와 예술 문화적 NFT로 분류하여 각각의 특성과 내용, 의미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디지털 융합 예술인 AI 회화와 NFT 미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도서관서비스 연구 - 북미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ibrary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cused on North American University Libraries)

  • 김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31-247
    • /
    • 2020
  • 인공지능(AI)이 4차 산업혁명 중에서도 미래유망기술로 부각됨에 따라 도서관을 포함한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인공지능기술을 적용하고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이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미치고 있는 영향과 이슈, 그리고 시사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은 북미지역 대학도서관 IT전문가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인터뷰결과와 국내외 관련 문헌들을 통해 결론과 논의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로 북미지역 대학도서관들은 인공지능 시스템을 기반으로 정보 접근과 검색을 효율화하는 인프라구축에 노력하고, 대학내 인공지능 연구소들과도 협업하여 새로운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향후 도서관과 사서의 역할 변화, 프라이버시, 그리고 데이터품질에 대한 이슈들을 제기하였다. 논의를 통해 대학의 사서들이 지식을 보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되기 위한 사서 재교육의 필요성과 대학 도서관의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투자와 도서관에 인공지능 연구소를 세우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환경 변화에 따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도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