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rtemisia annua L.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3초

개똥쑥 분말을 첨가한 전병의 특성 (Properties of jeonbyeong prepared with Artemisia annua L. powder)

  • 문은우;박헌조;박정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44-649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Artemisia annua L. powder in jeonbyeong. Contents of crude ash increased as the amount of Artemisia annua L. powder increased, whereas crude fat contents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contents of Artemisia annua L. powder, total amino acid contents significantly increased. Hunter's L value increased as contents of Artemisia annua L. powder increased, whereas total free sugar contents decreased. Addition of Artemisia annua L. powder to jeonbyeong increased dietary fiber contents. The sensory score of jeonbyeong containing 100 g of Artemisia annua L. powder was the highest of all jeonbyeong te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addition of Artemisia annua L. powder could improve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eonbyeong.

개똥쑥(Artemisia annua) 열탕추출물의 Di-caffeoylquinic Acid 및 Coumarin 성분 (Five Di-caffeoylquinic Acid Derivatives and a Coumarin from the Hot-water Extract of Artemisia annua)

  • 노태웅;박찬영;김선희;윤기동
    • 생약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19-224
    • /
    • 2018
  • Artemisia annua L. (Compositae) is an annual herb,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n antipyretic and hemostatic agent with the herbal medicine name of Cheong Ho (菁蒿) in Korea and China. In this study, five di-caffeoylquinic acid derivatives and a coumarin were determined from the hot-water extract of aerial parts of A. annua. The structures of isolates were elucidated to be 1,3-di-O-caffeoylqunic acid (1), 3,4-di-O-caffeoylquinic acid (2), 3,5-di-O-caffeoylqiunic acid (3), 1,5-di-O-caffeoylquinic acid (4) and 4,5-di-O-caffeoylquinic acid (5) and scopoletin (6). The presence of 1,5-di-O-caffeoylquinic acid (4) is firstly reported from A. annua in the current study.

Enhancement of artemisinin content by constitutive expression of the HMG-CoA reductase gene in high-yielding strain of Artemisia annua L.

  • Nafis, Tazyeen;Akmal, Mohd.;Ram, Mauji;Alam, Pravej;Ahlawat, Seema;Mohd, Anis;Abdin, Malik Zainul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5권1호
    • /
    • pp.53-60
    • /
    • 2011
  • Artemisinin is effective against both chloroquine-resistant and -sensitive strains of Plasmodium species. However, the low yield of artemisinin from cultivated and wild plants is a serious limitation to the commercialization of this drug. Optimization of artemisinin yield either in vivo or in vitro is therefore highly desirable. To this end, we have overexpressed the 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reductase (HMGR) gene (hmgr) from Catharanthus roseus L. in Artemisia annua L. and analyzed its influence on artemisinin content. PCR and Southern blot analyses revealed that the transgenic plants showed stable integration of the foreign hmgr gene. The reverse transcriptase-PCR results suggested that the hmgr was expressed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in transgenic lines of Artemisia annua L., while th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showed that artemisinin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number of the transgenic lines. Artemisinin content in one of the A. annua transgenic lines was 38.9% higher than that in non-transgenic plants, and HMGR enzyme activity in transgenic A. annua L. was also higher than that in the non-transgenic lines.

개똥쑥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과 기능성 물질의 탐색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Artemisia annua L. and Determination of Functional Compounds)

  • 류지현;이수정;김미주;신정혜;강신권;조계만;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09-516
    • /
    • 2011
  • 개똥쑥(Artemisia annua L.)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로써 개똥쑥 잎과 줄기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들의 활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페놀 화합물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 동정하였다. 개똥쑥 잎과 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농도에 의존적이었으며, 대부분 줄기보다 잎에서 더 높은 경향이었다. 인체 자궁경부 상피암 세포인 HeLa 및 위암세포인 AGS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은 줄기보다 잎 추출물에서 더 높았는데 특히, 잎 에탄올 추출물의 HeLa 및 AGS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은 $500\;{\mu}g$/mL 농도에서 각각 61.07% 및 57.24%로 추출물 중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HPLC를 이용하여 페놀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phenolic acid 및 catechin류는 줄기에 비해 잎 추출물에서 월등히 높게 정량되었다. Flavonol류는 잎에서만 동정되었으며, rutin 및 kaempferol은 잎 에탄올 추출물에서만 동정되었다. 개똥쑥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은 페놀 화합물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나, 미지의 활성 물질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개똥쑥 용매추출 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rtemisia annua L. According to Extract Methods )

  • 오희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75-883
    • /
    • 2022
  • 개똥쑥(Artemisia annua L.)은 국화과 (Composit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예로부터 진통, 안면마비 등의 신경계 질환과 위염, 호흡기 등의 질병치료 목적으로 이용되는 식물로 알려져 있다. 개똥쑥을 열수 및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용매에 따른 추출물의 농도별로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총 polyphenol의 함량은 개똥쑥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총 flavonoid 함량은 개똥쑥 열수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DPPH radical 소거능력과 ABTS radical 소거능력은은 62.5~500 ㎍/mL 농도에서는 비타민 C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70%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125 ~ 500 ㎍/mL에서 NO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500 ㎍/mL 농도에서 강한 NO 생성 억제를 보이며,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성 억제를 나타났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NO 생성 억제 뿐 아니라 염증성 싸이토카인 발현을 현저히 억제하는 결과를 보이며, 농도의존적인 억제 효과를 나타났다. 개똥쑥은 항산화효과 및 염증성 싸이토카인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이므로 염증성 질환 치료 및 개선에 널리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양어 사료첨가제로서의 유산균 발효 개똥쑥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Lactobacillus-fermented Artemisia annua L. as a Potential Fish Feed Additive)

  • 이아란;우개민;강수경;한성구;이봉주;김수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52-660
    • /
    • 2017
  • 최근 양어에서는 전염병, 환경오염, 어분 가격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쑥에서 분리한 L. plantarum SK3494를 이용하여 전통 약초인 개똥쑥을 발효시켜 in vitro 생리활성을 측정하고 어류용 사료첨가제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개똥쑥의 발효시 유산균수는 9.38 log10 CFU/ml이며, pH는 4.1로 나타났다. 발효개똥쑥의 항산화활성은 DPPH 측정과 MAC-T 세포 내 과산화물 감소 실험에서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 발효개똥쑥은 어류 병원균인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와 Vibrio ichthyoenteri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산균을 이용한 개똥쑥 발효물은 양식용 사료첨가제로써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HepG2 간암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경로를 통한 개똥쑥 추출물의 Apoptosis 유도 효과 (Extract from Artemisia annua Linné Induces Apoptosis through the Mitochondrial Signaling Pathway in HepG2 Cells)

  • 김보민;김근태;김은지;임은경;김상용;김영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708-1716
    • /
    • 2016
  • Akt 및 mTOR는 세포 생존에 필수적인 경로로 세포 성장과 증식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암 및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개똥쑥(Artemisia annua L.)에 의한 HepG2 간암세포의 apoptosis 유도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개똥쑥 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HepG2 세포의 생존율은 억제되었으며, 이는 apoptosis 유도 효과에 의한 것임을 세포의 형태적 변화와 flow cytometry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mitopotential assay와 caspase-3/7 activity assay, western blotting으로 Bcl-2 family 단백질을 확인함으로써 apoptosis 경로 중 내인성 경로(intrinsic pathway)에 의해 apoptosis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효과는 Akt/mTOR의 활성 저해와 연관이 있었으며 Akt/mTOR의 저해제인 LY294002/rapamycin을 개똥쑥 추출물과 병행처리하였을 경우 개똥쑥 추출물에 의한 apoptosis 효과를 더욱 증대시켰다. 따라서 Akt/mTOR의 저해는 개똥쑥 추출물의 apoptosis 효과를 상승시켰으며 이에 따라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손상과 caspase 활성의 증가를 통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Artemisinin Extracts from Artemisia annua L.

  • Kim, Wan-Su;Choi, Woo Jin;Lee, Sunwoo;Kim, Woo Joong;Lee, Dong Chae;Sohn, Uy Dong;Shin, Hyoung-Shik;Kim, Wony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1호
    • /
    • pp.21-27
    • /
    • 2015
  • The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artemisinin derived from water, methanol, ethanol, or acetone extracts of Artemisia annua L. were evaluated. All 4 artemisinin-containing extracts ha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se, the acetone extract had the greatest inhibitory effect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_2$ ($PGE_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IL-1{\beta}$, IL-6, and IL-10) production. Antioxidant activity evaluations revealed that the ethanol extract had the highes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91.0{\pm}3.2%$), similar to ${\alpha}$-tocopherol (99.9%). The extracts ha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periodontopathic microorganisms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Fusobacterium nucleatum subsp. animalis, Fusobacterium nucleatum subsp. polymorphum, and Prevotella intermedia. This study shows that Artemisia annua L. extracts contain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substances and should be considered for use in pharmaceutical products for the treatment of dental diseases.

Artemisia annua L.의 조직배양을 이용한 이차대사 산물의 생산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by tissue culture of Artemisia annua L.)

  • 김남철;김정구;임형준;한태룡;김수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2호
    • /
    • pp.99-105
    • /
    • 1992
  • 국화과의 일종인 개똥쑥(Artemisia annua L., 청호(靑蒿))에는 항말라리아 물질인 artemisinin이 함유되어 이 물질을 조직배양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먼저 식물조직의 유기를 위해 생장조절 물질을 조사한 결과 pcPA와 BAP, 그리고 pcPA와 2iP의 가장 적절하였다. 식물조직의 생장도 역시 pcPA와 BAP가 각각 $1.0\;{\mu}M$$0.5\;{\mu}M$일 때, 그리고 sucrose가 2%일 때 가장 우수하였다. MS배지를 제외한 다른 배지들은 성장을 뒷바침하지 못하였다. 다른 생장조건들은 기존의 배지 조성을 능가하지 못하였다. 개똥쑥은 Agrobacterium으로 형질 전환되어 crown gall과 hairy root를 생성하였다. 그러나 hairy root는 MS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더 이상의 생장을 보이지 않고 crown gall만이 정상 식물 조직보다 더욱 빠른 성장을 보였다. 배양된 조직과 형질 전환된 tumor의 현탁배양액에서 arteannuic acid와 dihydroarteannuic acid가 흔히 보이는 식물 steroid와 함께 발견되었으나 artemisinin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개똥쑥 첨가에 따른 느타리의 생육 특성 및 수량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oyster mushroom with the addition of Artemisia annua)

  • 이찬중;이정훈;민경진;박혜성;이은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4-177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약용식물인 개똥쑥을 배지재료로 활용하여 느타리 재배를 위한 적정 혼합비율을 설정하였다. 개똥쑥의 첨가량에 따른 균사생육과 균사밀도를 조사한 결과 균사생육은 배양 23일 후 개똥쑥 5% 첨가된 배지에서 12.7 cm였고, 대조구인 포플러톱밥+미강(8:2)배지에서는 12.5 cm로 개똥쑥 첨가배지와 균사생육이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개똥쑥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 보다 균사생육이 느렸으며, 개똥쑥 70%에서는 2.1 cm로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다. 개똥쑥 첨가량에 따른 균사밀도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이 높은 밀도를 보였다. 개똥쑥의 첨가량에 따른 느타리 자실체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갓의 직경은 대조구보다 개똥쑥 첨가에서 높았지만, 갓의 두께는 대조구에서 조금 높았다. 대의 두께는 개똥쑥 15% 첨가에서 가장 높았고, 대의 길이는 개똥쑥 10%에서 가장 높았지만 대조구보다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수확기 자실체의 갓과 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대의 L값은 개똥쑥 10%에서 가장 높았고, 갓의 L값은 개똥쑥 5%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고, a, b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자실체 수량은 대조구가 119 g/850 ml였고, 개똥쑥 5%에서 122 g/850 ml으로 가장 높았고, 개똥쑥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량은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