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 Theater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2초

연극 '피카소의 여인들'의 무대 의상 제작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System of Stage Costume for Theatre 'Picasso's Women')

  • 김영삼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1호
    • /
    • pp.83-95
    • /
    • 2011
  • Today, a variety performance premiered in Korea, works of art as an advanced production planning and production system is becoming. Accordingly, the field of stage costume also increased collaboration with foreign producers and production systems and the advancement of the stage costume are required are becoming. The opening performance of the 30th anniversary of the Seoul Theater Festival was selected as Towol Theater Theater in 2009, April 16 to 26 of Picasso's women's costume is the study of production systems. This work directing and stage design by inviting domestic producers from foreign fields, and co-authored the work in the field of stage costumes in collaboration with foreign producers that are worth study and research work. In this study, this work has a practical study of costumes throughout the production system, an advanced stage costum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The research methodology book data, collected papers, Internet resources through research and theoretical studies play 'Picasso's women's stage production of the award total to an empirical study was undertak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stume director for making a scholarly grasp of the direction of the investigation is ongoing throughout the process of creating the costumes. Second, foreign producers and co-author of the stage when the award, if other than purely domestic producers and create costumes to build production systems. Third, foreign producers and co-costume design and costume making coherent explanation for the processing of the list(Costume Breakdown List) are developed. Fourth, the actual performance over the director's intention to visualize the presentation was good enough, and the idea of the costume crew was taken to the director's idea of directing a play that reflected the will has a big meaning.

연출가연극의 비조(鼻祖), '연극공작 게오르크 2세(1826-1914)'의 연극관과 연출론에 관한 소고 (A Study of the Theatre Perspective and the Directing Methods of the 'Theater Duke Georg II.(1826-1914)' as Founder of the Director's Theatre)

  • 성명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48-273
    • /
    • 2019
  • 본 연구는 근대 독일 작센-마이닝겐 공국의 군주 '게오르크 2세 공작'의 연극관과 연출론에 대해 마이닝거 프린?에 기초하여 그의 동시대적 맥락에서 고찰하였다. 그는 연극을 국내외 현실을 중재하고 국위를 고양하기 위한 합목적적 매체로 활용한 연극-문화정치가이자 제작자 겸 연출자였다. 지면 여건상 그의 연출론을 중심으로 요약하면, 그는 마이닝겐 극단에서 종합예술작품인 연극의 창조를 목표로 하여, 희곡 원전을 작가의 대변자적 입장에서 상연하는 연출 방법론을 수립하였다. 그의 전제적인 연출법에 수반된 포괄적 역사주의, 학술적 선행연구, 원전에 충실한 해석과 완결된 앙상블 효과를 위한 목적연출, 제작 단계별 분업과 협업, 배우의 개성과 앙상블 연기 중시, 체계적인 배우훈련과 철저한 리허설 실행 및 배우연극의 스타시스템과 전문역 같은 낡은 관행과 관습의 배격 등은 연극창조의 새로운 가치관과 실천 체계로서 혁신적인 것이었다. 그는 연출(자)의 독립과 독자성을 수립하며 근대 연출자연극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고, 이로써 근 현대 연출가연극을 위한 토대를 놓았다.

공공극장 기획공연의 프로그래밍 사례 연구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 공연 기획의 성과와 과제- (A Case Study on the Programming of Public Theaters in Korea -Analysis of the Achievements and the Challenges of the Opera House of the Seoul Arts Center for the years from 1993 to 2011-)

  • 고희경
    • 한국연극학
    • /
    • 제48호
    • /
    • pp.509-547
    • /
    • 2012
  • The Seoul Arts Center is an representing Korean arts-complex consisting of the Opera House, the Concert Hall and the Museums. Since its opening in 1993, it has been established as a mecca of arts and the culture in Korea. Many local public theatres in Korea are benchmarking its operating system and policy. Unlike most European or American theatres, the Seoul Arts Center has no resident art companies. It is not a 'producing theatre' whose programming is mainly based on house productions with resident companies, but a 'presenting theatre' that is to be managed with rental and invitation programs without resident companies. The majority of the Korean public theatres are also presenting theatres. This study aims to research and analyze how the Seoul Arts Center has developed the programming of the Opera House for last 19 years and which challenges and issues it has been dealing with, and finally to propose what will be recommendable remedies for its successful future. The analysis is divided into four development stages: preparation period from 1981 to 1992, establishment period from 1993 to 1999, growth period from 2000 to 2006, and lastly crisis period from 2007 to 2011. Facing the 20th anniversary next year(2013), the Opera House of the Seoul Arts Center is going through recent critical situations: higher competitions among increased theatres, trends of commercial musical productions, and rapid declines in its house programs due to the low budget and unclear programming policy. I propose as a discussion to start a repositioning strategy as a Korea's representing arts-complex, utilizing all sources from inside and outside and having the policy direction.

Operaestate 전시 축제 사례를 통해서 본 관객과 학습자의 수행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tivity of the Audience and Learners through the Operaestate Exhibition Festival)

  • 박나훈
    • 트랜스-
    • /
    • 제9권
    • /
    • pp.1-15
    • /
    • 2020
  • 최근 공연예술에서 두드러지게 확인할 수 있는 현상은 바로 예술 생산물의 사회적 공유이다. 각 지자체의 도시 재해석의 결과로서 공연물 제작, 극장을 벗어난 공연의 활성화, 그리고 거리 및 특정한 공간 및 공공의 공간에서 이뤄지는 공연 행위 등은 기존의 극장 중심의 공연 형태에서 벗어나 사회적 소통과 확대를 통해 예술행위의 외연 확장을 위한 노력으로 보인다. 나아가 이는 동시대 공연예술의 공공성의 위치를 반증한다고 볼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자는 몇 년 전부터 활발하게 행해져온 공공예술의 한 부류인 장소 특정적 공연 형태를 근거로 하여 최근 일어난 이태리 발사로 델 그라파 도시의 (Balsano del grapa) 전시 축제인 오페라 에스테이트(Operaestate) 축제를 통해 관객과 학습자의 수행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한국 초기 문화산업사에서 흥행의 합리화 과정에 대한 연구-1907~1920년대 초까지 흥행 주체를 중심으로- (Rationalization Processes in the Entertainment Business on the Modern Theatrical Field - Concerning the Financiers and the Agents from 1907 to the early 1920s -)

  • 권도희
    • 공연문화연구
    • /
    • 제35호
    • /
    • pp.9-59
    • /
    • 2017
  • 본고는 1907년부터 1920년대 전반기까지 흥행 주체를 중심으로 흥행 시스템의 구성과정 대해 서술한 것이다. 흥행은 황실극장인 협률사 시절부터 시작되었는데 황제의 권위와 국가 제도가 이를 뒷받침을 했고 궁내부가 이를 주도했다. 그러나 황실극장 혁파 이후, 1907년 이후부터 다수의 사설극장이 생겨나면서 민간인이 자본가로 참여했고 또 연극개량론이 등장하면서 집행자의 역량은 강화되기 시작했다. 나아가 1912년 전후로 정부 관료나 사회 지도층 인사 대신 실업가들이 흥행에 참여하면서 흥행의 양상은 다양해졌고 한편으로 흥행주체의 역할은 세분되면서 흥행계는 합리화의 정도를 심화할 수 있었다. 경제자본을 활용했던 자본가는 극장의 건축과 개축 수리 및 흥행에 필요한 자금을 동원하는 과정에서 극장주, 투자자, 사장 등으로 세분되었고, 문화자본을 활용했던 집행자들은 공연의 실천과 유지는 물론이고 흥행물의 다양성을 확장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들의 존재 양태는 자본가보다 복잡했는데, 극장 내에서는 총무(주무)가, 극장 밖에 서는 기생집단과 신파극집단, 경성(구파/신파)배우조합, 나아가 각종 "${\bigcirc}{\bigcirc}{\bigcirc}$일행" 등이 각각이 놓인 특수한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흥행에 참여했다. 흥행 세부 주체들 간에는, 즉 자본가와 집행자들 또는 집행자들 간에 서로 협력 관계에 놓이기도 하고 갈등 관계를 설정하기도 했는데, 이들 간의 관계 속에서 흥행의 절차는 심화되고 발전되었다. 그러나 1915년 이후에는 갖춰진 시스템의 가능성 만큼 흥행 산업이 성장하지는 못했다. 일제는 조선인의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의 성장을 제한했고, 사회자본의 구성마저도 방해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조선의 흥행계는 흥행산업의 절대적 성장에 비례하여 성장하기는 했지만 잠재적 역량만큼 발전하지는 못했다.

Mongol Impact on China: Lasting Influences with Preliminary Notes on Other Parts of the Mongol Empire

  • ROSSABI, MORRIS
    • Acta Via Serica
    • /
    • 제5권2호
    • /
    • pp.25-49
    • /
    • 2020
  • This essay, based on an oral presentation, provides the non-specialist, with an evaluation of the Mongols' influence and China and, to a lesser extent, on Russia and the Middle East. Starting in the 1980s, specialists challenged the conventional wisdom about the Mongol Empire's almost entirely destructive influence on global history. They asserted that Mongols promoted vit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exchanges among civilizations. Chinggis Khan, Khubilai Khan, and other rulers supported trade, adopted policies of toleration toward foreign religions, and served as patrons of the arts, architecture, and the theater. Eurasian history starts with the Mongols. Exhibitions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and the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confirmed that the Mongol era witnessed extraordinary developments in painting, ceramics, manuscript illustration, and textiles. To be sure, specialists did not ignore the destruction and killings that the Mongols engendered. This reevaluation has prompted both sophisticated analyses of the Mongols' legacy in Eurasian history. The Ming dynasty, the Mongols' successor in China, adopted some of the principles of Mongol military organization and tactics and were exposed to Tibetan Buddhism and Persian astronomy and medicine. The Mongols introduced agricultural techniques, porcelain, and artistic motifs to the Middle East, and supported the writing of histories. They also promoted Sufism in the Islamic world and influenced Russian government, trade, and art, among other impacts. Europeans became aware, via Marco Polo who traveled through the Mongols' domains, of Asian products, as well as technological,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innovations in the East and were motivated to find sea routes to South and East Asia.

공연예술 활성화를 위한 CRM의 전략적 활용방안 (Possible Ways to Make a Strategical Use of CRM for Facilitating Performing Arts)

  • 김충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25-23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예술 활성화를 위한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의 전략적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국내의 대표적인 공연장인 LG아트센터와 공연기획사인 크레디아를 중심으로 CRM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LG아트센터는 독자적인 공연장운영시스템(Theater Management System : TMS) 운영을 통해 고객중심의 편리한 매표방식과 축적된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한 성공적인 공연프로그램 기획이 가능하였다. 크레디아는 공연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도입이전 보다 회원이 많이 증가하였으며 회원관리 전담인력을 구성하여 체계적으로 관리가 가능하게 되었고 웹로그 분석(web-log analysis)으로 고객의 니즈에 부합한 다양한 상품들을 개발하여 공연티켓판매 뿐만 아니라 교차판매를 통한 수익증대와 고객만족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회원제도와 포인트제도가 천편일률적인 형태로 운영되고 있어 회원별 등업 제도 실시와 등급별 포인트 적립을 통해 신규관객을 개발하고 우수고객을 유지할 수 있는 CRM의 전략적 적용이 요구된다.

국공립극단의 역할과 대중성 - 대구시립극단을 중심으로 - (Roles and Communality of National/Public Theatre Companies - Focused on Daegu Municipal Theatre -)

  • 김건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91-100
    • /
    • 2019
  • 국공립극단은 민간극단 및 제작극장과는 다르게 작품의 '공익성'과 '공공성'을 추구해야 한다. 지역과 시민들을 위해 극단시스템을 운영하고 작품개발과 공연프로그램을 수용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대중성'과 '공익예술성'의 경계를 합리적으로 추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공익적 목적에 부합되지 못하는 작품들과 단체의 운영 시스템은 지속적인 문제 및 논의되어 왔다. 한국사회의 문화지형은 서울의 문화 권력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다소 문화의 소외지역이라 할 수 있는 대구의 시립극단(대구시립극단)은 공연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창작극 개발, 개방형 연출의 수용, 고전명작, 현대극과 실험극, 해외교류, 뮤지컬과 넌버벌, 지역 근·현대 역사 발굴과 공격적인 소재 발굴, 개방형 시민 참여 프로그램과 소통으로 특성화를 시키며 공익적 목적에 부합하는 작품개발을 이어오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창단 취지에 부합하는 공익성과 공공성의 다양성과 변화를 모색해 오면서 연극문화의 불모지였던 대구연극과 공연예술의 대중성을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올해 창단 21주년 대구시립극단은 현재 최주환 감독까지 예술 감독 5대 체제로 변화되는 동안 지역소재와 역사인물을 발굴하고 공연으로 수용하는 대중적 실험성을 보이며 창작뮤지컬 개발과 활성화, 시민과 공연문화 소통변화, 관객 참여증가로 안정된 시립극단 시스템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상임단원의 역할과 제작 공연의 성숙함으로 성장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대구시립극단의 변화의 분석을 연구하고 '국공립극단의 역할과 대중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공공 공연장 CEO의 리더 스타일이 품질경영 활동과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EO's Leader Style on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and Financial Performance in Public Performing Arts Theater)

  • 신계화;김화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70-182
    • /
    • 2013
  • 본 연구는 문화예술 분야의 공공 공연장 CEO의 리더 스타일이 품질경영 활동과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보고로 리더 스타일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65개의 전국 공공 공연장의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98개의 유효 응답에 대한 설문 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검정 결과 첫째, 과업 지향형 변화 지향형 리더 스타일이 품질경영 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관계 지향형 리더 스타일은 품질경영 활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공공 공연장 CEO의 품질경영 활동은 공연장의 경영 성과인 재무성과와 시장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과업 지향형과 변화 지향형 리더 스타일은 경영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만, 품질 경영 활동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관계 지향형 리더 스타일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공공 공연장 CEO의 리더 스타일이 과업 지향형일 경우와 변화지향형일 경우에만 경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의미하는 것으로, 공공 공연장 CEO들은 이와 같은 결과를 참고하여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품질경영 활동은 경영 성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지속적인 품질경영 활동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의 공공 공연장 CEO를 직접적 연구 대상으로 한 점과 리더 스타일에 따른 영향력 차이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1915년 경성 연예관의 일본공연단 연구 - 극장, 퍼포먼스, 나카라이 도수이(半井桃水) (A Study of Japanese Performers in 1915' KEIJO ENGEIKAN : Theater, Performance, and Nakalai ToSui)

  • 홍선영
    • 비교문화연구
    • /
    • 제40권
    • /
    • pp.239-264
    • /
    • 2015
  • 20세기 초 '제국'일본의 지(知)를 축적하고 전파하기 위하여 제국대학, 도서관, 박물관 등이 있었다면, 식민지 문화의 영유(領有)를 위해서는 극장이 설립되었다. 극장에서는 연극단과 흥행단, 활동사진 등 다양한 장르의 흥행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박람회가 가지는 다양한 성격 가운데 '박람회는 구경거리', 즉 일상적이지 않은 이벤트이면서 '시정(始政)5년 기념'이라는 국가제전과 융합되었다. 1915년 경성 최장기 흥행은 일본 예기들에 의한 무용 공연이었으며 그들의 노래[패(唄)]는 지배의 정통성을 전한다. 본고는 극장이라는 '문화' 전파의 공간에서 펼쳐진 퍼포먼스에 주목함으로써 그들이 담당한 '제국'의 문화적 파장을 조명하고, 이러한 문화 접경지대에 나타나는 히에라르키의 긴장관계를 주목하였다. 특히 1915년 연예관 공연은 경성의 일본인 연극계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첫째는 연예관이라는 대형 공연장의 출연, 둘째, 50 여 일간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공연이 이루어졌다는 점 등에서 그러하다. 또 시기적으로 뒤를 이어 1915년 11월 예술좌의 경성공연 등 거물급 극단의 출연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본고에서 검토한 1915년 경성 연예관 공연의 예술단, 공연장르의 문제, 관객구성의 문제 등을 살펴보고 흥행성과 오락성을 담보하면서 문화지배를 통한 오락과 통치가 공존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재조선 일본인의 문화역량을 결집시킨 '경성협찬회'라는 조직적 운영이 동반되었다는 점을 밝혔다. 결국 1915년 경성 연예관 공연은 예술장르 간의 긴장관계, 공연주체 간 경합관계, 문화권력의 문제를 고스란히 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