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tionalization Processes in the Entertainment Business on the Modern Theatrical Field - Concerning the Financiers and the Agents from 1907 to the early 1920s -

한국 초기 문화산업사에서 흥행의 합리화 과정에 대한 연구-1907~1920년대 초까지 흥행 주체를 중심으로-

  • 권도희 (서울대 동양음악연구소)
  • Received : 2017.06.30
  • Accepted : 2017.08.05
  • Published : 2017.08.30

Abstract

This article describes the entertainment business system from 1907 to the first half of the 1920's. The entertainment business began at the time of Empire of Korea with the Imperial Theater called Hyeomnyulsa, which was supported by the emperor's authority and national system and run by the imperial court, especially Gungnaebu. However, after closing the imperial theater, many commercial theaters have been born since 1907, the role of the subject who dominate the entertainment business has been subdivided into financialist and agent. The financialist was replaced by civilians and the capacity of the agent has been strengthened after the introduction of Yeongeukgaeryanglon. In this condition the entertainment business had to be rationalized. In addition, before and after 1912, as the businessmen took part in the entertainment business instead of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social leaders, the role of entertainment business developed and became equipped with a modern system. Financialist who utilized economic capital was subdivided into the proprietor of a theater, investors, and bosses in the process of mobilizing the necessary funds for the construction, renovation, and repair of the theater, and agents who used cultural capital to practice and maintain performances, on the other hand played a role in expanding the diversity of the show in and outside the theater. In the theatre there was Chongmoo, Johapjang, Chwiche, and Jwadang of Gisaengjohaps, Sinpageukdans, Gyeongseonggupabaeujohap and various XXX Ilhaeng were outside the theater. They participated in the their own way. The financialist and agent used to set up cooperative relations and conflicts. The entertainment business was deepened and developed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conflicts. However, Performance market could not grow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a system equipped after 1915. This is because the Japanese imperialists limited the growth of the economic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of the Koreans and even the composition of social capital. For this reason, Chosun's entertainment business system has grown in proportion to the absolute growth of the box office industry, but it has not developed as much as its potential capacity.

본고는 1907년부터 1920년대 전반기까지 흥행 주체를 중심으로 흥행 시스템의 구성과정 대해 서술한 것이다. 흥행은 황실극장인 협률사 시절부터 시작되었는데 황제의 권위와 국가 제도가 이를 뒷받침을 했고 궁내부가 이를 주도했다. 그러나 황실극장 혁파 이후, 1907년 이후부터 다수의 사설극장이 생겨나면서 민간인이 자본가로 참여했고 또 연극개량론이 등장하면서 집행자의 역량은 강화되기 시작했다. 나아가 1912년 전후로 정부 관료나 사회 지도층 인사 대신 실업가들이 흥행에 참여하면서 흥행의 양상은 다양해졌고 한편으로 흥행주체의 역할은 세분되면서 흥행계는 합리화의 정도를 심화할 수 있었다. 경제자본을 활용했던 자본가는 극장의 건축과 개축 수리 및 흥행에 필요한 자금을 동원하는 과정에서 극장주, 투자자, 사장 등으로 세분되었고, 문화자본을 활용했던 집행자들은 공연의 실천과 유지는 물론이고 흥행물의 다양성을 확장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들의 존재 양태는 자본가보다 복잡했는데, 극장 내에서는 총무(주무)가, 극장 밖에 서는 기생집단과 신파극집단, 경성(구파/신파)배우조합, 나아가 각종 "${\bigcirc}{\bigcirc}{\bigcirc}$일행" 등이 각각이 놓인 특수한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흥행에 참여했다. 흥행 세부 주체들 간에는, 즉 자본가와 집행자들 또는 집행자들 간에 서로 협력 관계에 놓이기도 하고 갈등 관계를 설정하기도 했는데, 이들 간의 관계 속에서 흥행의 절차는 심화되고 발전되었다. 그러나 1915년 이후에는 갖춰진 시스템의 가능성 만큼 흥행 산업이 성장하지는 못했다. 일제는 조선인의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의 성장을 제한했고, 사회자본의 구성마저도 방해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조선의 흥행계는 흥행산업의 절대적 성장에 비례하여 성장하기는 했지만 잠재적 역량만큼 발전하지는 못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