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 Appreciation Learning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8초

미술 감상학습을 위한 웹기반 3D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3-Dimension System for Art Appreciation Learning)

  • 오필우;정상목;김명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607-616
    • /
    • 2005
  • 7차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초등미술교육은 모든 학생이 화가가 되기를 바라는 것이 아니라 아름다움을 보고 느끼고 생활에 적용하여 보다 아름다운 생활을 가꾸어 갈 수 있는 심미적 인간을 기르고자 하는 것이다. 즉, 감상활동의 중요성이 나타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현장 특히 학원가를 중심으로 감상영역 보다는 테크닉 위주의 학습이 행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도서 벽지의 학생들이 갤러리와 같은 물리적 공간에서 감상학습을 한다는 것은 더욱이 어렵고, 기존의 감상 자료들이 텍스트 기반으로 소수의 학생들만이 공유할 수 있다는 단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인간 감각 형태와 가장 비슷하다고 할 수 있는 웹 기반의 3차원적 학습 패턴을 기본으로 하는 갤러리 형태의 감상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시지각 특성과 시선운동 원리를 활용한 미술 감상 방법과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Way of Art Appreciation and Education Program Using Principle of Perception and Eye Movement)

  • 김미강;장진범;김철현;백준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35-350
    • /
    • 2016
  • 시지각 원리의 교육은 심리학에만 국한되지 않고 미술 감상 교육에도 필요한 학습 과정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미술 수업을 표현 활동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국내 미술 교육에서 감상 활동은 축소되거나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감상에 동기 부여를 제공하고 정규 미술 교육을 받지 않은 학습자들에게도 감상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는 미술 감상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본 논문에서는 미술 작품의 이해를 위해 시지각 원리를 학습하여 새로운 작품을 구상하고 표현하는 활동과 다양한 미술 작품에 대입시켜 감상하는 활동을 제안한다. 먼저 미술 표현에서의 시선운동의 개념과 시선 추적 실험 결과를 통해 얻은 시지각 원리의 특징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시지각 원리와 시선운동과의 연관성을 찾기 위해 이를 기반으로 회화 작품 해석에 사용되는 시선운동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펠드먼 비평 양식을 도입하여 시지각 원리를 학습할 수 있는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그리고 3장에서 분석한 두 개의 회화작품을 제안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에 적용한 예시를 제시한다.

미술과에서의 환경 교육 강화 방안 (The Intensific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Art Education)

  • 박소영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2권1호
    • /
    • pp.225-241
    • /
    • 1999
  • The art subject deals with aesthetic experience within natural environment around and artificial environment, and it represents the experience through formative arts. And it also extends the aesthetic experience by making students appreciation of the works of art. In the main text of this study was studied with the connection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art subject. That is, in the art education there can be an understanding of the harmony between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one and their relationship and, furthermore, more positive environmental education can be possible by environmental murals, environmental sculpture, environmental design, packing design, poster design, elf through systematic formative arts. In addition, the art education can make students keep sensitivity to the natural and artificial environment through the appreciation of a variety of art works made with a theme of environment or through the appreciation of the works in the environment around our lives. Also, it can lead to acquire the desirable values and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by discussing the harmony of environment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visually. In the second place, this relation described in detail by each grade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7th curriculum for the art subject. In the third place, the following were suggested: the goals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art subject,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organization of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 and their emphases, and the ma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PDF

사운드아트의 국내 고등교육 가능성 - 창의적 융복합 교양교과 제안을 중심으로 (The Higher Education Possibility of Sound Art in Korea - Focusing on the Proposal of Creative Fusion Liberal Arts Learning)

  • 이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443-451
    • /
    • 2023
  • 사운드아트(Sound Art 또는 Sonic Art)는 20세기 중반부터 주로 유럽과 미대륙을 중심으로 실천되어 온 현대예술의 한 지류로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원예술 분야로 간주하거나 현대음악이나 미디어아트의 하위장르(subgenre)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2000년대 이후 지금까지 북미와 유럽의 일부 유수 대학에서 전공으로 개설되어 이 분야를 전문적으로 연구하거나 실천적인 작가로 활동을 하는 인재들을 사회로 배출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은 비주류적 예술 분야로 간주되는 것이 실상이고, 국내의 대학에서는 아직 사운드아트를 주전공으로 개설한 학교를 찾아 보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창의적 융복합 교양교과로서 실제로 국내 4년제 종합대학에서 운영하는 <현대사회의 사운드아트>라는 교양교과목 수업모형과 교수법의 소개와 함께 고등교육의 교양학습으로서 사운드아트 활용의 가능성을 논의한다.

미술관의 치유적 기능에 대한 가능성 탐색 (An Inquiry of the Possibility of the Healing Function of Art Museums)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56-65
    • /
    • 2015
  • 본 연구는 현대의 미술관이 갖는 여러 기능 중 치유적 기능의 가능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탐색함으로 '미술관의 치유적 기능'이라는 개념을 새롭게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미술관에서는 이미 알츠하이머 환자, 학습부진자, 노인 등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치유적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러한 미술관이 갖는 치유적 잠재력은 미술감상과 공간, 소통이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실제적으로 미술관에서의 경험을 다룬 선행연구에서 치유적 기능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는 "미술관의 치유적 기능"은 국내에서 적극적으로 논의되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관 관계자들에게 미술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해 줄 것이며, 현대에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직장인, 학생 및 사람을 상대로 하는 전문직 종사자들에게 미술관을 문화 교양 뿐 아니라 자신의 내면을 보살피고 치유하는 공간으로 인식하도록 도와 미술관에 대한 더 많은 사회적 관심을 이끄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UX in VR Application of Artworks: A Case Study on

  • Kang, Jisu;No, Hanna;Rhee, Bo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31-38
    • /
    • 2021
  •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VR 앱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실증분석했다. 빈도분석 결과에 의하면, 인지된 유용성의 경우, 학습적 유용성이 감상적 유용성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기술적 요인인 그래픽 및 모델링에 대한 품질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에 따르면, VR 앱의 학습적 유용성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향을 미쳤다. 인지된 이용용이성의 경우, 모든 세부 요인이 만족도와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환경적 요인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는 몰입도 및 행동적 이용 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기술수용모델의 VR 앱 평가 도구로써의 적합성이 제시되었다.

파노라마 영상을 이용한 가상 도자기 전시실의 구현 (Virtual Pottery Gallery Using Panorama Images)

  • 박경남;김응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1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73-17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요즘 학습자들의 다양한 능력 수준과 심리적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VRML 저작툴을 이용한 가상전시공간을 설계하였다. 감상학습을 현실감있게 하고, 상호 작용적이며, 흥미로운 학습동기를 유발하고자 Photo Vista, Object Modeler, Reality Studio 등의 3D WBI 저작툴을 이용한 Panorama Image와 3D Object 모듈을 구현하는 방법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가상 전시공간이 학생들의 미술교육에서 현실감있는 작품감상으로 학생들의 심미적인 면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 PDF

4차 산업혁명 시대 예술·과학 융합 교육프로그램 설계 : 콘텐츠를 활용한 STEAM을 중심으로 (Art Science Convergence Curriculum Desig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Focusing on STEAM with Contents)

  • 박성원;이혜원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1호
    • /
    • pp.53-61
    • /
    • 2021
  • The year 2020 was a time when the coronavirus infections-19 (COVID-19) caused various changes in society. In particular, the fields that have been conducted face-to-face have been greatly confused by the transition to an online non-face-to-face method, and this is the case with the field of education. There are two main advantages of offline education. The first is that we can improve our understanding through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the second is that we can develop social skills through interaction with friends. But as online classes progressed due to corona 19, interaction could not be achieved. As a result, the motivation for learning has been reduced due to difficulties in real-time feedback, and the participation rate has been significantly lowered, especially in lower grades, raising concerns about the learning gap that will occur after corona 19. However, there are some cases in which online classes were conducted as effectively as offline classes by utilizing various contents.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e use of content. Teachers generally improved the quality of education by linking interesting sights and videos that enhance learning comprehension. The provided video conveys learning-related content into stories, enabling intuitive observation. Many students were already enjoying these videos through VOD (Video on Demand) such as TV and YouTube, they were able to connect their easy access to content and interest in learning. Appropriate use of video content has rather increased the learning effect and should continue after corona 19.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methodologies that apply video content efficiently to education. This study looked at the steps that needed content appli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and observed its meaning. Students were curious about the content, motivated to learn and participated in learning on their own. Intuitive learning, conducted through appreciation, play and content production, provided an opportunity to learn on their own in everyday life.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the Digital Exhibition: A Case study on

  • Rhee, Boa;Kim, Shin Hyo;Shin, Soo M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1-28
    • /
    • 2016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Perceived Usefulness(PU) and Perceived Ease of Use(PEOU)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 and how viewing experiences and knowledge of motion graphics have an impact on attitude toward using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Both usability for learning and usability for appreciation in terms of PU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immers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On the other hand, PEOU has an influence on degree of exhibition satisfaction and immersion, and onto behavioral intention to use with the exception of intention to revisiting . Unlike PU or PEOU, previous viewing experiences do not have correlation with attitude toward using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Only previous knowledge of motion graphics has a correlation with degree of satisfaction and immers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As the influence on PU and PEOU's attitude toward using and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has been verified, our findings show that two variables of TAM enable the prediction of user's technology acceptance on digital exhibitions and as a result prove the suitability for TAM as an evaluation model for digital exhibition of remediating the originals. This study offers a fresh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motion graphic effects which influence attitude toward using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from the perspective of curating methodology.

미술관의 소셜플랫폼 역할과 관람객 체험 (A Study on the Role of Art Museums and Experience of Museum Visitors Based on Social Platform)

  • 구보경
    • 트랜스-
    • /
    • 제9권
    • /
    • pp.67-92
    • /
    • 2020
  • 소셜플랫폼과 기술의 발전 덕분에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일상화 되면서 자신의 감정, 생각, 경험 등을 인터넷에 표현하는 것은 지극히 일반적인 일상이 되었다. 특히 SNS는 자신을 쉽게 표현하는 동시에 다른 이용자들과 교류할 수 있는 대표적 플랫폼이다. 개인의 소소한 일상부터 무엇을 하고 어떤 경험을 했는지 SNS로 소통하는 방식이 보편화되었다. 이에 따라 미술관은 관람객들의 참여와 관심을 끌어내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관람객들을 끌어들여 놀이와 학습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콘텐츠 기반의 프로그램 및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신기술의 발전과 이를 수용한 미술관 환경의 변화와 함께 단순한 감상에 그치지 않고 일상의 소통방식이 미술관 관람에서도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탐색할 것이다. 이를 통해 SNS을 비롯한 모바일 기반 소통이 미술관 관람의 질적 다양성을 제공하고, 의미있는 미술관 경험으로 완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경험의 플랫폼으로서 미술관, 더 나아가 기술수용에 따른 문화예술기관의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