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nquiry of the Possibility of the Healing Function of Art Museums

미술관의 치유적 기능에 대한 가능성 탐색

  • 김은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Received : 2015.08.20
  • Accepted : 2015.09.24
  • Published : 2015.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the healing function of art museums in modern times with the precedent studies and to explore the healing potential specifically.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various healing programs regarding patients with Alzheimer, learning disability, seniors, etc. The researcher approached this study in three aspects, art appreciation, space, communication as healing potential of art museums. These findings will be able to draw more social attention on art museums.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art museums to people concerned art museums. And it will make the professionals, working for company workers, students and other people suffering under the modern stress, recognize the art museums as a place to look inside in the professionals' own mind and to heal as well as a place for culture and sophistication. These findings will be able to draw more social attention on art museums.

본 연구는 현대의 미술관이 갖는 여러 기능 중 치유적 기능의 가능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탐색함으로 '미술관의 치유적 기능'이라는 개념을 새롭게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미술관에서는 이미 알츠하이머 환자, 학습부진자, 노인 등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치유적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러한 미술관이 갖는 치유적 잠재력은 미술감상과 공간, 소통이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실제적으로 미술관에서의 경험을 다룬 선행연구에서 치유적 기능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는 "미술관의 치유적 기능"은 국내에서 적극적으로 논의되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관 관계자들에게 미술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해 줄 것이며, 현대에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직장인, 학생 및 사람을 상대로 하는 전문직 종사자들에게 미술관을 문화 교양 뿐 아니라 자신의 내면을 보살피고 치유하는 공간으로 인식하도록 도와 미술관에 대한 더 많은 사회적 관심을 이끄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N. Kotler, P. Kotler, 박물관 미술관학 (한종훈 외, Museum strategy and marketing, 원전 1998), 전영사, 2005.
  2. H. Chatterjee and G. Noble, Museums, Health and Well-Bein, UK: Ashgate Publishing, 2013.
  3. 최태만, 미술관 설립 및 활동의 역사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7, 1990.
  4. 이은기, "미술관 성립과 후원자의 역할", 현대미술관연구, 제6집, pp.195-196, 1995.
  5. J. H. Falk and L. D. Dierking, Learning from Museums, U.S.A : AltaMira Press, 2000.
  6. A. Salom, "The therapeutic potentials of a museum visit," International Journal of Transpersonal Studies, Vol. 28, 2008, from http://www.transpersonalstudies.org/currentissue.html Accessed 10.06.09.
  7. K. Deane, M. Carman, and M. Fitch, "The cancer journey: bridging art therapy and museum education," Canadian oncology nursing journal= Revue canadienne de nursing oncologique, Vol.10, No.4, pp.140-142. 1999.
  8. Debra Linesch, "Art therapy at the museum of tolerance: Responses to the life and work of Friedl Dicker-Brandeis," The Arts in psychotherapy, Vol.31. No.2, pp.57-66, 2004. https://doi.org/10.1016/j.aip.2004.02.004
  9. G. Hayden, "Fertile ground," Community Care, Vol.1538, pp.38-39, 2004.
  10. L. H. Silverman, "Johnny Showed Us the Butterflies: The Museum as a Family Therapy Tool," Marriage & family review, Vol.13, No.3-4, pp.131-150, 1989. https://doi.org/10.1300/J002v13n03_08
  11. C. B. Treadon, M. Rosal, and V. D. T. Wylder, "Opening the doors of art museums for therapeutic processes", The Arts in psychotherapy, Vol.33, No.4, pp.288-301, 2006. https://doi.org/10.1016/j.aip.2006.03.003
  12. A. Salom, "Reinventing the setting: Art therapy in museums," The Arts in Psychotherapy, Vol.38, No.2, pp.81-85, 2011. https://doi.org/10.1016/j.aip.2010.12.004
  13. G. Mangione, "Access to what? Alzheimer's disease and esthetic sense-making in the contemporary art museum," Poetics, Vol.41, No.1, pp.27-47, 2013. https://doi.org/10.1016/j.poetic.2012.11.004
  14. L. H. Silverman,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museums as pathways to inclusion. Museums," society, inequality, pp.69-83. dio : http://books.google.co.kr/books?hl=ko&lr=&id=BCuDAgAAQBAJ&oi=fnd&pg=PA69&dq=Lois+Silverman&ots=8U8ijBJLqi&sig=PL9salpZGFsvpL0Gw2_o8ZjuCtE#v=onepage&q=Lois%20Silverman&f=false, 2002.
  15. 정여주, 미술치료의 이해, 학지사, 2007.
  16. 박휘락, 미술감상과 미술비평 교육, 시공아트, 2010.
  17. 류재만, 초등 미술과 교수법, 교육과학사, 2004.
  18. V. Lowenfeld, W. Brittain,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연구회 역, Creative and Mental Growth, 원전 1947), 서울 : 미진사, 2002.
  19. R. Laban, 동작분석과 표현(신상미 역, The Mastery of Movement, 원전 1971), 도서출판 금광, 2013.
  20. 이규황, 미술관 전시공간의 관람 만족도와 관람 행태 상관성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3, 2009.
  21. 김재리, 루돌프 라반(Rudolf Laban)의 '움직임 공간' 특성에 근거한 안무학적 분석 모형 개발 : 공간조화(Space Harmony) 이론을 중심으로 1,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57-61, 2011.
  22. 신성미, 김재리, 몸과 움직임 읽기, 한영문화사, 2010.
  23. A. Berger and C. B. DeSwaan, Healing Pain, Steubenville, OH: Emmaus Road Publishing, 2006.
  24. L. J. Meyers and R. J. Zhu, "The influence of ceiling height: The effect of priming on the type of processing that people use," J of Consumer Research, Vol.34, No.2, pp.174-186, 2007. https://doi.org/10.1086/519146
  25. 김은진, 소진을 보고하는 미술치료사의 미술관 체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pp.108-135,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