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ma pattern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4초

가스센서 어레이와 패턴인식을 활용한 아로마 오일의 특성 분류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of Aroma Oil with Gas Sensors Array and Pattern Recognition)

  • 최일환;홍성주;김선태
    • 센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8-125
    • /
    • 2018
  • An evaluation system for an electronic-nose concept using three types of metal oxide gas sensors that react similarly to the human olfactory cells was constructed fo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aroma fragrances. Four types of aroma fragrances (lavender, orange, jasmine, and Roman chamomile), which are commonly used in aromatherapy, were evaluated. All the gas sensors reacted remarkably to the aroma fragrances and the good correlation of r=0.58-0.88 with the aromatic odor intensities by olfaction was confirme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n electronic-nose concept for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aroma oil fragrances, aroma oils could be classified using the fragrance characteristics and oil extraction methods with the cumulative variability contribution rate of 95.65% (F1: 69.65%, F2: 26.03%)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the pattern recognition based on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four aroma fragrances were 100% recognized through the training data of 56 cases (70%) out of 80 cases, and the pattern recognition rate was 57.1%-71.4% through the validation and testing data of 24 cases (30%). The pattern recognition success rate through all confusion matrices was 82.1%, indicating that the classification of aroma oil fragrances using the three types of gas sensors was successful.

피부관리실 이용자의 아로마 인식도 및 이용행태 (A Study on the Utilization Pattern and Consciousness of Aroma Therapy)

  • 박미경;유왕근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1-92
    • /
    • 2004
  • This paper examined the utilization pattern of aroma-therapy and relating factors after visiting about 100 skin-care shops registered to the Central Estheticism's Association in Daegu.Kyungbuk areas, in 200. This questionnaire survey was put into practice from September 1st to September 30th, 2003 for one month, study subjects were 643 skin-care-shop users. As for the experience of Aroma-use. while 85.4% of respondents experienced Aroma-use or has been using Aromat, 14.6% had no experience of Aroma-use. As for average frequency of Aroma-use, 32.8% used Aroma one time a week,23.7% everyday, 20.4% one time a month, 12.0% 3 times a week, 11.1% 2 times a week. As for the route of getting information on aroma, 49.5% of Aroma users got the information in skin-care-shop, 28.6% from mass-media such as internet, TV, newspaper, magazine. Regarding the type of preference aromas, 65.4% answered Lavender, 35.3% Rosemary, 35.2% Peppermint, 25.5% Rose, 23.7% Tea tree, 21.1% Jasmin, 19.5% Lemon. As for purposes of Aroma-use, 36.8% answered problematic-skin-control & fatness-control, 33.5% stress-relaxation, 14.8% physical-symptom-relaxation, 12.4% muscle-relaxation, 2.6% other purposes.

  • PDF

전자코를 이용한 홍삼 농축액의 원산지 판별을 위한 향기패턴 분석 (Analysis of Aroma Pattern for Geographical Origin of Red Ginseng Concentrated by Electronic Nose)

  • 허상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8-48
    • /
    • 2020
  • 중국산과 국내산 홍삼 농축액의 혼합비율에 따는 원산지 판별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기 패턴을 분석하였다. 중국산 홍삼 농축액과 국내산 홍삼 농축액의 원산지 판별이 가능하였고 중국산 홍삼농축액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검출되어지는 향기 성분의 패턴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requency pattern, derivative pattern을 Vapor printTM 으로 도형화 하여 비교한 결과 서로 다른 패턴을 보여주어 중국산 홍삼 농축액 첨가비율에 따른 차이는 물론 원산지의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유비쿼터스를 위한 후각 인식 컨텐츠 구현 (An Implementation of the Olfactory Recognition Contents for Ubiquitous)

  • 이현구;노용완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85-90
    • /
    • 2008
  • Recently, with the sensor technology, research about the electronic nose system which imitated the olfactory organ are being pushed actively. But, in case of general electronic nose system, an aroma is measured at the laboratory space where blocked external environment and is analyzed a part of measured data.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ystem which can measure and recognize an aroma in natural environment. We propose the Entropy algorithm which can detect the sensor reaction section among the continuous detection processing about an aroma. And we implement the aroma recognition system using the PCA(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K-NN(K-Nearest Neighbor) about the detected aroma.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we measured the aroma pattern, about 9 aroma oil, 50 times respectively. And we experimented the aroma detection and recognition using this. There was an error of 0.2s in the aroma detection and we get 84.3% recognition rate of the aroma recognition.

Effects of Raising Altitude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Aroma Pattern, Color, and Oxidative Stability of M. Longissimus from Hanwoo Steers

  • Panjono, Panjono;Kang, Sun-Moon;Lee, Ik-Sun;Lee, Sung-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45-251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atty acid composition, aroma pattern, color, and oxidative stability of M. longissimus from 28-mon-old Hanwoo steers with different raising altitude (100, 200, 300, 400, 700, and 800 m above sea level). The samples were stored at $2{\pm}0.2^{\circ}C$ for 9 d. Meat from 700 and 800m had lower palmitic acid, saturated fatty acids and higher oleic aci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 than that from 100 m (p<0.05). There was no positive discrimination of the aroma pattern of meat among all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BARS values of beef among all groups at 6 and 9 d of storage. At 9d of storage, meat from 700m showed the highest MetMb concentration and the lowest a* value among all groups. However, the differences in Mb concentration and color among groups were not linear to the difference in raising altitude. Consequently, the difference in raising altitude at 100-800 m affecte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eat from Hanwoo steers; the higher the raising altitude, the higher the MUFA concentration. The difference in fatty acid composition among them didn't affect the aroma pattern and oxidative stability.

전자코에 의한 장마, 단마, 대화마의 향기패턴 분석 (Analysis of Aroma patterns of Nagaimo, Ichoimo and Tsukuneimo by the Electronic Nose)

  • 이부용;양영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4-27
    • /
    • 2001
  • Conducting polymer 센서가 부착된 전자코를 이용하여 장마, 단마, 대화마의 향기 패턴을 분석하였고, 관능평가도 병행하여 3가지 마 품종의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여 보았다. 관능평가 결과, 장마는 아삭아삭한 조직감과 단맛이 강했고, 대화마는 끈적거리고 느끼하지만 고소함과 조직감이 단단하였으며, 단마는 마고유의 향이 강하고 장마와 대화마 중간 정도의 조직감을 보여주었다. 마의 향기에 대한 전자코의 감응도(intensity)는 단마에서 가장 높았고 대화마에서 가장 낮은 값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32개 센서의 표준화된 감응도에 대해서 주성분 분석을 실시했을 때 품종들 사이의 품질특성값은 모두 2미만의 값을 나타내어 각 품종들 간에 향기패턴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 1주성분과 제2주성분의 고유값도 각각 33%, 16%로 매우 낮았다. 그러나 감응도 변화가 $1.216{\sim}1.561$로 상대적으로 높은 8개의 민감한 센서만를 선택하여 주성분분석한 결과 단마와 대화마 사이의 품질특성값은 2.057로 향기패턴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1주성분의 고유값도 85.95%로 매우 높았다.

  • PDF

전자코를 이용한 배초향 추출물의 향기패턴 분석 (Aroma Pattern Analysis of Various Extracts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by Electronic Nose)

  • 이부용;육진수;오세량;이형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1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전자코를 이용하여 추출용매, 추출온도 등의 추출조건에 따른 배초향의 부위별 추출물들에 대한 향기성분의 차이를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관능검사와 비교 분석하였다. 같은 배초향 부위라도 추출온도가 다르면 추출물들간의 향기 차이가 있었으며, 배초향 부위에 따라서도 추출물들의 향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부위에 대한 에탄올추출물과 다른 용매추출과는 향기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차이는 에탄을 자체의 향에 의한 차이로서 실질적으로 같은 배초향 부위에 대해서는 추출용매에 따른 추출물간의 향기 차이는 별로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배초향 추출물들의 관능적 특성은 박하냄새, 풀냄새, 박하맛, 한약맛, 단맛 등이 대표적으로 강하게 느껴지며, 추출용매, 추출온도, 추출부위에 따라 관능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전자코에 의한 향기성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관능검사 결과와 연계하여 비교 분식해 보면 전자코에서 차이가 나는 향기성분의 실체가 박하냄새, 단맛 등과 같이 구체적으로 어떤 맛이나 냄새가 더 강하고 약한지를 분성하게 알 수 있었다.

  • PDF

건조 방법에 따른 천마의 향기패턴 분석 (Analysis of Aroma Pattern of Gastrodiae Rhizoma by the Drying Conditions)

  • 이부용;양영민;한찬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17
    • /
    • 2002
  • Conducing polymer 센서가 부착된 전자코를 이용하여 생천마와 동결 건조 천마, $40^{\circ}C$$60^{\circ}C$ 열풍건조 천마의 향기패턴을 측정하고, 관능 평가와 연관시켜 비교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맛과 냄새의 관능적 특성 모두 생천마를 동결건조, $40^{\circ}C$, $60^{\circ}C$로 열풍건조 할수록 모든 관능적 특성들의 강도가 낮아졌다. 즉 생천마가 맛과 냄새에 대한 모든 관능적 특성의 강도가 가장 높았고, $60^{\circ}C$ 열풍 건조 천마에서 가장 낮았다. 천마의 향기에 대한 전자코의 감응도(intensity)는 $60^{\circ}C$ 열풍 건조 천마가 가장 높았고, 생천마에서 가장 낮았다. 32개 센서의 표준화된 감응도에 대해서 주성분 분석을 실시했을 때 제1주성분과 제2주성분의 고유값은 각각 28.93%, 21.96%를 나타내었고, 건조 방법이 각기 다른 시료 사이의 품질특성값은 모두 2미만의 값을 나타내어 건조 방법에 따른 시료사이의 향기 패턴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감응도 변화가 $1.740{\sim}2.310$로 상대적으로 큰 10개의 민감한 센서만을 선택하여 주성분분석한 결과 제1주성분의 고유값은 79.39%로 높아졌고, 생천마와 $60^{\circ}C$ 열풍건조 천마 사이의 품질특성값도 2.366으로 나타나 건조방법에 따른 천마의 향기패턴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parison of meat quality, fatty acid composition and aroma volatiles of Chikso and Hanwoo beef

  • Utama, Dicky Tri;Lee, Chang Woo;Park, Yeon Soo;Jang, Aera;Lee, 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9호
    • /
    • pp.1500-1506
    • /
    • 2018
  • Objective: Although Hanwoo has been selected as the superior commercial beef cattle breed in Korea, Chikso (Korean brindle cattle) is still recognized as a valuable breed for beef produ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at quality, fatty acid composition and aroma volatiles of beef from Chikso and Hanwoo steers maintained under identical feed management, as information regarding these characteristics is still limited. Methods: A total of 19 carcasses with a quality grade of 1 were selected, and strip loin (longissimus lumborum) cuts were collected from 11 Hanwoo carcasses and 8 Chikso carcasses. Meat quality and aroma analyses were performed at day four postmortem. Results: Though Hanwoo strip loin tended to have higher fat content (15.37%) than Chikso (12.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Meat pH, water-holding capacity, cooking loss, shear force value, instrumental surface color (Commission International De L'eclairage $L^{\star}$, $a^{\star}$, $b^{\star}$, chroma, and hue angle)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oasted Chikso beef released more intense aroma than roasted Hanwoo beef based on the total area units of identified volatiles. Among identified volatiles, the amounts of toluene, heptanal, octanal, and nonanal were higher in roasted Chikso beef than in roasted Hanwoo beef. In addition, the aroma pattern of the roasted beef from these breeds was well-discriminated by electronic nose. Conclusion: No distinc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meat quality between Hanwoo and Chikso beef in this study. However, the aroma pattern and volatiles of roasted Hanwoo and Chikso beef were different according to instrumental analysis.

피톤치드 아로마 흡입과 운동의 복합요법이 대학생의 기분상태, 대학생활 스트레스 및 수면에 미치는 영향 (Phytoncide Aroma Inhalation and Exercise Combination Therapy Mood state, college life stress and sleep of College Students)

  • 최재원;박정수;정혜연;박지수;강성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633-644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피톤치드 아로마 흡입과 운동의 복합 처치가 그들의 대학생활스트레스, 기분상태 및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12주 장기간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피톤치드 아로마 흡입과 운동의 복합 처치의 효과를 탐색하고자 피톤치드 아로마 흡입군(18명), 운동군(17명), 피톤치드 아로마 흡입군+운동군(17명), 대조군(20명)의 4집단 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전측정(0week), 중간측정(6week), 사후측정(12week)으로 구성되는 $4{\times}3$ 반복측정에 의한 요인설계($4{\times}3$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로 설계하여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 지수, 기분상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통제집단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기분상태, 수면, 대학생활스트레스의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피톤치드 아로마 흡입과 운동만을 실시한 집단보다 피톤치드 아로마 흡입과 더불어 운동을 병행한 집단이 더 유익한 효과를 나타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