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9초

기록정보 서비스와 정보공개 -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논쟁을 중심으로 - (Archival Reference Service and Freedom of Information in Korea)

  • 윤은하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3-179
    • /
    • 2012
  • 본고는 1980년대와 90년대를 거쳐 미국과 캐나다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던 기록정보 서비스에 대한 논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기록정보 서비스의 본질과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당시 학자들은 논쟁을 통해 기록관리가 기록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으로 바뀌어야 하는가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피력했고, 기록관리의 의미와 원칙에 대해 재확인했다. 이러한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 서비스 논쟁을 바탕으로 본고의 후반부에서는 한국의 정보공개 청구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기록정보 서비스를 살펴보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RSS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RSS-Base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 강혜경;박재홍;김용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2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기반의 기록정보유통의 활성화 및 개인화된 기록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RSS 기반의 기록정보서비스 시스템의 구현 및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필요로 하는 서비스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RSS 기반의 기록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요구되는 XML문서 형식,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및 구현을 수행하였다. 설계된 서비스 시스템의 기능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장애인을 위한 기록정보서비스 환경 평가를 위한 지표 및 척도 개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지표와 기록정보서비스 개념의 융합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he Indicators and Scales to Evaluat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s for the Disabled in Archives: Merging the Barrier-Free Authentication Indicators with the Conceptionalization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 구정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07-215
    • /
    • 2019
  • 이 연구는 기록관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동등한 수준으로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와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을 기본 틀로 삼되 인증 기준에서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지 않는 기록관의 서비스환경에 관한 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개념 분석과 기록관 이용자들의 서비스 동선을 파악한 후 이를 공간별로 항목화하였다.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정보서비스개념과 유형, 서비스 동선과 공간영역 그리고 공공기록물관리법, 국가기록원의 공공기록물서비스 표준들을 모두 융합하여 종합적인 기록정보서비스 환경 평가 지표와 척도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기록관 서비스 환경 평가도구 개발을 통해 기록정보서비스 환경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제공의 근본 문제점들을 파악한 후,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록정보서비스 전략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국가기록원을 중심으로 (A Study of Strategic Planning for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 설문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9-271
    • /
    • 2008
  • 이 연구는 국가기록원의 기록정보서비스 전략계획의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영국과 미국 국가보존기록관을 사례로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전략계획의 수립 구조, 주요내용, 전략의 원칙 등을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세부 전략을 범주화하였다. 둘째, 사례 연구 및 국내 환경을 고려하여,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의 전략목표를 제시하였고, 각 목표별로 실행전략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서비스전략을 실행할 때 고려해야 할 기본 원칙을 함께 제안하였다. 셋째, 전략 목표 및 세부전략별로 국가기록원의 서비스를 평가하고, 실행전략 수립 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원칙들을 제시하였다.

국가기록원의 기록제공서비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Archival Reference Services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 설문원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3-12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기록원의 이용자가 실제 이용하는 기록물 유형과 이용목적을 파악하고, 이용에 기반한 기록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가기록원의 기록 이용 및 제공서비스를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정보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이 연구에서는 탐색적 연구 방법을 통해 현황과 쟁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통계자료를 통해 국가기록원 이용자의 기록열람 실태를 확인한 후 인터뷰를 통해 기록유형별 서비스 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인력(서비스 제공자의 역량), 도구(검색도구), 기록(적절성과 충분성)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기록제공서비스의 성공요인과 위험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가기록원 기록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권리보호의 무기고'이자 '학술정보원'이라는 아카이브 역할을 고려하여 각기 다른 서비스 전략을 수립할 것을 강조하였다.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센터의 열람서비스 제공 절차 및 특징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dures and Characteristics of reading service Provision at Center of Archival Information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 남윤아;임진희
    • 기록학연구
    • /
    • 제50호
    • /
    • pp.177-229
    • /
    • 2016
  • 기록정보 서비스는 기록관리의 궁극적인 목적이자 결과이며, 기록의 수요와 기록물을 연결시키는 일련의 활동들을 의미한다. 기록물의 지적요구를 정보공개 절차를 통해 제공하는 것은 국민의 알 권리 보장과 기록정보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열람프로세스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청구인 기록물 검색도구 및 열람제공자라는 속성들의 조화로운 순환이 선행되어야 정보공개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열람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특징에 관한 현상을 밝힘으로써 열람서비스 프로세스의 현안과 실제를 내부적 관점에서 제시하고 둘째, 기록물 청구 및 검색과 제공의 과정에서 열람제공자-청구인-검색도구-기록물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에 관한 현상을 보여주며 셋째, 국가기록원 열람 프로세스 현안을 중심으로 총체적인 통합 검색도구에 관한 필요성을 제안하며 넷째, 열람제공자에게 실무적 측면에서의 기록정보 활용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다섯째, 열람제공자의 인식과 태도에 따라 정보제공 품질에 주요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시사하는 데 있다.

공공기록물 정보서비스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Directions for Public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 이영숙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3-94
    • /
    • 2007
  • 기록관은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변화하여 왔다. 초창기 기록관에서의 업무 수행은 자료의 수집 및 보존에 치중되었지만, 지금은 자료의 보존 뿐 아니라 활용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따라서 기록관들은 이용자 중심의 적극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기록물 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에서 2005년 서비스혁신팀을 신설하여 지난 2년간 수행한 각종 서비스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이와 병행하여 선진기록국인 미국립기록관리청, 영국 기록관리청에서 수행하는 기록정보 서비스 내용을 소개하여 향후 벤치마킹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새로운 이용자를 창출하기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 영역의 확대와 기록홍보의 중요성을 제언하면서 선진기록관의 기록정보 서비스 표준지침을 수록하여 국내 기록관련 유관기관의 향후 기록정보 서비스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시하였다.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기록정보서비스 품질 요인에 관한 연구 (Quality Attributes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affecting User Satisfaction)

  • 김성희;이현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69-9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관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주는 기록정보서비스 품질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독립변수로는 공평성, 유형성(외형성), 편리성, 응답성, 공감성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출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이용자 만족도를 선정하였다. 기록관에서 기록정보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으로 설문을 요청하여 78부의 결과로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기록정보서비스 품질 요인과 이용자 만족도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형성(외형성), 공감성, 편리성 순으로 이용자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록정보서비스 품질개선을 위해서는 시설 개선, 쾌적한 환경 유지, 이용자와의 공감 능력 향상, 기록관의 빠른 정보 업데이트와 검색 도구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통령기록관의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평가모델 개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Web-Archival Information Service)

  • 방기영;이능금;이유진;한아랑;김용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48
    • /
    • 2015
  • 대통령기록관은 다양한 형태로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igiQUAL을 활용하여 대통령기록관의 웹 기록정보서비스를 평가했다. 평가 방법은 이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평가 영역은 기록 및 정보검색, 기록물 활용 서비스, 확장 서비스로 나누었다. 본 연구는 설문을 분석하기 위해서 기술 통계와 신뢰도 검정을 실시했다. 그 결과, 전반적인 만족도가 낮았다. 이러한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대통령기록관 웹 기록정보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모바일 환경에서의 SNS를 활용한 기록정보서비스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Social Network Service in Mobile Environments)

  • 강혜경;김용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3-58
    • /
    • 2012
  • 웹과 모바일 환경의 변화와 함께, SNS는 정보유통에 있어서 중요한 도구로서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페이스북, 트위터 등으로 대표되는 SNS는 소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SNS를 통하여 기록정보서비스의 이용과 접근성을 확대시키고 기록 이용자의 참여와 협력을 도모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SNS에 대한 문헌조사를 통하여 모바일 SNS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기록정보서비스의 제공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방안의 실질적인 서비스 구현을 위하여 서비스 시스템 요소와 설계를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