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dures and Characteristics of reading service Provision at Center of Archival Information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센터의 열람서비스 제공 절차 및 특징에 관한 질적 연구

  • 남윤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인간과기억아카이브'(hmarchives.com)) ;
  • 임진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인간과기억아카이브'(hmarchives.com))
  • Received : 2016.10.01
  • Accepted : 2016.10.14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Archival reference service is the ultimate goal and outcome of records management. It encompasses a whole range of activities to connect records with the demands for them. Intellectual needs for records are met by the procedure of information disclosure to guarantee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o provide active responses to archival information needs. Thu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n efficient search system by unifying search tools for archives used in information disclosure and sorting out the classification systems and description items according to the archive types. The qualitative enhancement of information disclosure can be expected when there is a harmonious circulation of attributes-such as applicants, records, search tools, and information providers-for the smooth implementation of reading processes in the context of archival reference servic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holds its significance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it presented a picture of pending issues and the reality of reading service processes from an internal perspective by examining th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reading service."Second, it demonstrated the phenomenon of close interactions among information providers, applicant, search tools, and records in the process of requesting, searching, and providing records. Third, it proposed the need for a total integrated search tool around the pending issues of reading processes at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Fourth, it promoted an understanding of archival information utilization at the working level among information providers. Finally, it showed major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information provision of "read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information providers.

기록정보 서비스는 기록관리의 궁극적인 목적이자 결과이며, 기록의 수요와 기록물을 연결시키는 일련의 활동들을 의미한다. 기록물의 지적요구를 정보공개 절차를 통해 제공하는 것은 국민의 알 권리 보장과 기록정보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열람프로세스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청구인 기록물 검색도구 및 열람제공자라는 속성들의 조화로운 순환이 선행되어야 정보공개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열람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특징에 관한 현상을 밝힘으로써 열람서비스 프로세스의 현안과 실제를 내부적 관점에서 제시하고 둘째, 기록물 청구 및 검색과 제공의 과정에서 열람제공자-청구인-검색도구-기록물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에 관한 현상을 보여주며 셋째, 국가기록원 열람 프로세스 현안을 중심으로 총체적인 통합 검색도구에 관한 필요성을 제안하며 넷째, 열람제공자에게 실무적 측면에서의 기록정보 활용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다섯째, 열람제공자의 인식과 태도에 따라 정보제공 품질에 주요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시사하는 데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록원. 2009. 국가기록원 40년사.
  2. 국가기록원. 2011a. 30년 경과 비공개기록물 공개재분류 가이드북. 특수기록관.
  3. 국가기록원. 2011b. 2010 국가기록백서.
  4. 국가기록원 2013. 2012 국가기록백서.
  5. 국가기록원. 2015a. 2014 국가기록 백서.
  6. 국가기록원. 2015b. 2015 국가기록원 업무 편람.
  7. 국가기록원. 2016. 국가기록원 주요업무 참고자료집. 대내업무용.
  8. 김순희. 2010. 기록정보의 활용과 서비스를 어떻게 확대할 것인가? 한국기록관리학회(편). 기록관리론: 증거와 기억의 과학, 174-212. 서울: 아세아문화사.
  9. 김유승. 2008.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 의의와 개선방안: 국가기록원의 위상과 국민의 알권리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1), 5-25.
  10. 김지현. 2012.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167-187.
  11. 박진우. 2009. 정보공개법상 법령에 의한 비공개정보에 관한 고찰: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동아법학, 43, 29-56.
  12. 윤여진, 김순희. 2009.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공개제도 운영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1), 51-75.
  13. 윤은하. 2012. 기록정보 서비스와 정보공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63-179.
  14. 이보람, 이영학. 2013. 정보공개제도에서 공개 기록정보의 제도적 신뢰성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5, 41-91.
  15. 이숙희. 2004. 기록물관리기관의 열람환경 운영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10, 65-111.
  16. 이원규. 2005. 행정정보 및 보존기록물 공개의 운영과제. 기록학연구, 12, 81-135.
  17. 임진희. 2010. 설명책임 메커니즘을 통한 공공기관 업무정보의 추구 및 제공 과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임진희, 이준기. 2010. 정보공개에 대응한 공무원의 업무정보 제공행동 연구. 기록학연구, 23, 179-225.
  19. 정경환. 2013. 제2장 6.25참전 비정규군 공로자보상의 당위성과 그 의의: KLO8240부대 유격군의 정신을 중심으로 통일전략, 13(3), 33-89.
  20. 정경희. 2006. 국가기록원 인터넷 게시판 이용자의 정보이용행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283-303.
  21. 조용환. 2012.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22. 최선희. 2008. 국가기록포털 이용분석을 통한 기록정보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23. Leweins, Marrku. 1995. Grounded Theory and an Emerging Paradigm for Computer-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In Udo Kelle(ed.). Computer-aided Qualitative Data Analysis. 41-51. London: Sage.
  24. Marshall, C. and Rossman, G. 1995.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London: Sage.
  25. O'Tool, James. 2002. Understanding Archives and Manuscripts. 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이승억 역. 2004. 기록의 이해. 서울: 진리탐구).
  26. Perakyla, Anssi. 2004. Reliability and Validity in Reseach Based on Naturally Occurring Social Interaction. In Silverman, David. Qualitative Research: Theory, Method and Practice(2nd ed.). 283-304. London: Sage Publications. 2004
  27. Puhg, Mary Jo. 1992. Providing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 Manuscripts. Chicag: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 (설문원 역. 2004. 기록정보서비스. 서울: 진리탐구).

Cited by

  1. 대통령기록관 학술연구지원서비스의 고도화 방안 vol.21, pp.3, 2016,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3.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