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tive activity

검색결과 2,522건 처리시간 0.034초

재배 삼나물 뿌리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소거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 (Free radical scavenging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of a roots extract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 정경한;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89-994
    • /
    • 2016
  • 삼나물 뿌리를 80% 메탄올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n-hexane, EtOAc 및 n-BuOH의 유기용매를 활용하여 순차 분획을 실시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EtOAc 층에서 $IC_{50}$값이 $32.3{\pm}2.3{\mu}g/mL$으로 가장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삼나물 뿌리 의 EtOAc 가용부에 다량 존재하는 페놀성 화합물과 라디칼 소거능과의 연관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EtOAc 층의 $IC_{50}$값이 $18.9{\pm}2.1{\mu}g/mL$의 우수한 라디칼 소거활성이 확인 하였고,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또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EtOAc 층의 $IC_{50}$$57.8{\pm}7.8{\mu}g/mL$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positive control인 acarbose의 $IC_{50}$값인 $501.1{\pm}17.5{\mu}g/mL$과 비교하여 우수한 활성이었으며, 추출물 상태의 시료를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강한 효능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 동정을 통한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보다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 및 ${\alpha}$-glucosidase 저해능을 가지는 새로운 기능성 소재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산 유색감자 색소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 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gments Extracted from Korean Purple-Fleshed Potato)

  • 전태욱;조용식;이성현;조수묵;조현묵;장규섭;박홍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47-254
    • /
    • 2005
  • 유색 감자의 일반적인 성분과 무기질, 색도, anthocyanin의 함량 그리고 생리활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유색감자 계통별로 횡단면의 색소형성 정도에 따라 A. B, C, D Type둥 4가지 형태로 분류되었다.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이 75.7-84.3%, 단백질이 1.3-2.7%, 조섬유 함량이 0.2-0.7% 수준으로 계통에 따라 약간 차이를 보였다. 유색감자내 무기질은 괴경 100g당 2-3mg의 칼슘과 1-2mg의 나트륨, 350-510mg의 칼륨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기질 함량은 계통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색차계를 이용하여 유색감자 횡단면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색차의 크기는 PL-31>PL-6>PL-28>PL-12>PL-4>PL-17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관능검사에 의한 유색강도를 시험한 결과 PL-14>PL-31>PL-28>PL-3>PL-17>PL-6 등으로 나타나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총 anthocyanin 색소 함량은 계통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100g 당 3.3-29.0mg 수준이었으며, PL-28>PL-31>PL-14>PL-12>PL-5 >PL-3의 순으로 높았다. 선발된 품종간 항산화력 비교 실험 결과, PL-6을 제외한 PL-28, PL-31 그리고 자심은 대조구인 ${\alpha}$-tocopherol보다 항산화력 활성이 약간 높았으며, BHA의 항산화력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Gram(+) 3종과 Gram(-) 3종을 이용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4품종 모두 Gram(+)와 Gram(-) 모두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Gram(+)에서는 B. subtilis에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Gram(-)에서는 E. coli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막걸리로부터 항산화 화합물의 단리.정제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s from Makgeolli)

  • 왕승진;이형재;조정용;박근형;문제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4-20
    • /
    • 2012
  • 막걸리는 우리의 전통 주류이며, 최근 그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함유된 성분들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그래서 막걸리에 함유된 항산화 활성화합물에 초점을 맞추어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를 행하여 화합물을 단리하고, 단리된 화합물들을 MS 및 NMR 분석을 행해 구조를 해석하였다. 그 결과 단리된 8종의 화합물을 4-hydroxybenzaldehyde(1), 2-(4-hydroxyphenyl)ethanol(2, tyrosol), trans-ferulic acid(3), cis-ferulic acid(4), 1H-indole-3-ethanol(5, tryptophol), dimethyl succinate(6), succinic acid(7), 그리고 mono-methyl succinate(8)로 동정하였다. 그리고 막걸리로부터 유기산들(화합물 6-8)의 존재가 보고된 바 있으나, 유기산 이외의 화합물 1-5는 본 연구에 의해 막걸리로부터 그 존재가 처음 밝혀졌다.

복분자(覆盆子)가 노화유발(老化誘發) 흰쥐의 항산화능(抗酸化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Rubi Fructus(Fruit of Rubus Coreanus Miq.) on Antioxidant Capacity in D-galactose Induced Aging Rats)

  • 박성준;이송실;백진웅;이상재;김광호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5-87
    • /
    • 2004
  • Objectives: Rubi Fructus(fruit of Rubus coreanus Miq.) composed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B. and some medical herbs is known as formula of senescence delay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ubi Fructus(fruit of Rubus coreanus Miq.) o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such a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CAT), Glutathione peroxidase(GSH-px) in rat erythrocytes and blood plasma. Methods: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Normal group(supplied enough water and feeds only, Normal Group), D-galatose administered group(injected D-galatose 50mg/kg, 1time/day for 6 weeks, Control Group) and Rubi Fructus (fruit of Rubus coreanus Miq.) administered group(D-galactose 50mg/kg and Rubi Fructus(fruit of Rubus coreanus Miq.) extracts 85.0mg/200g 1time/day for 6 weeks, BBJ Group). Rats were sacrificed and TBARS, SOD, CAT, GSH-px, Plasma total lipid, Plasma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were measured in rat erythrocytes and blood plasma. Results : Plasma TBARS concentrations of all experimental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d blood cell(RBC) SOD activities of BBJ group was increased, and RBC catalase activities of all experimental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BC GSH-px activities of BBJ group was increased. Plasma total lipid concentration of BBJ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Plasma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concentrations of all experimental group were not signi ficantly different.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Rubi Fructus(fruit of Rubus coreanus Miq.) is effective in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and increasing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D-galactose induced aging rat.

  • PDF

글루탐산을 유일한 탄소원과 질소원으로 이용하는 Acinetobacter sp. B-W의 시드로포어 생산 (Production of siderophore from L-glutamic acid as both carbon and nitrogen sole sources in Acinetobacter sp. B-W)

  • 김경자;장주호;양용준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97-102
    • /
    • 2017
  • 포도당과 글루탐산을 함유한 배지에서 시드로포어인 2, 3-dihydroxybenzoic acid (DHB)를 생산하는 Acinetobacter sp. B-W 균주를 글루탐산을 유일한 탄소원과 질소원으로 함유한 배지에 배양한 결과, 상등액에서 2, 3-DHB가 아닌 카테콜 형의 시드로포어를 생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글루탐산의 농도는 3%에서 시드로포어 생산이 최고로 나타났으며, 3% 보다 높은 농도에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글루탐산을 유일한 탄소원과 질소원으로 함유한 배지에서 자란 균주 B-W는 배양 온도 $28^{\circ}C$에서는 시드로포어를 생산하지만 $36^{\circ}C$에서는 생산하지 않았다. 또한 $10{\mu}M\;FeCl_3$를첨가한 배지에서는 시드로포어 생산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글루탐산 배지에서 생산된 균주 B-W의 시드로포어는 TLC 전개 용매 butanol: acetic acid: water =12:3:5에서 Rf치가 0.32로 나타나 Rf치가 0.82인 2, 3-DHB와는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또한 항산화 활성도 없는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 활성을 가진 2, 3-DHB와는 다른 시드로포어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쿠민 종자 에탄올 추출물이 산화방지 및 유지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tive effect of cumin seeds ethanol extract using in vitro assays and bulk oil system)

  • 김민아;한창희;김미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86-291
    • /
    • 2018
  • 현재 합성 산화방지제에 대한 독성에 따른 사용 우려로 인해 천연 산화방지제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나 천연 산화방지제 역시 한정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쿠민 종자의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 방지 효과와 유지 산화에 대한 산화 안정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산화방지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결과 0.5 mg/mL에서 73.4%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 결과 1.0 mg/mL의 농도에서 50.1% 소거하였다. 총 페놀함량의 결과 $61.0{\mu}M$ tannic acid equivalent/g extract, FRAP 환원력 측정의 결과 $429{\mu}M$ ascorbic acid equivalent/g extract로 측정되었다. $100^{\circ}C$에서 9시간 열산화 시킨 옥수수기름에 첨가 후 산화안정성 평가 결과 초기 산화생성물을 측정하는 CDA의 양은 대조군보다 100 ppm의 농도로 첨가한 쿠민 종자 에탄올 추출물 첨가군이 13.4% 적게 생성되었으며, 이차 산화생성물을 측정하는 ${\rho}-AV$는 대조군에 비해 59.1% 적게 생성되었다. 이러한 유지산화 안정성효과는 쿠민 종자 에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향기성분들에 의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 쿠민 종자 에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향기성분에 의해 산화방지와 유지 산화안정성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유지가공식품 제조 시 불가피한 합성 산화방지제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산화방지제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한 결과라고 사료된다.

Allium 속 식물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and Elastase by Water Extracts of Allium sp.)

  • 찌아위엔;양밍;박인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7-25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Allium 속 식물인 달래, 대파, 양파의 물 추출물에 존재하는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효과를 확인하여 화장품 자원으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실험에 사용한 식물 물 추출물의 $IC_{50}$은 양파($IC_{50}=19.81mg/mL$) < 달래($IC_{50}=21.50mg/mL$) < 대파($IC_{50}=137.87mg/mL$) 순으로 높았다. 그리고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에도 양파($IC_{50}=7.67mg/mL$) < 달래($IC_{50}=8.17mg/mL$) < 대파($IC_{50}=11.88mg/mL$) 순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리고 달래 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달래 물 추출물(43.03 mg/g)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양파(38.27 mg/g), 대파(30.01 mg/g) 순이었다. Tyrosinase의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대파 물 추출물($IC_{50}=36.95mg/mL$) < 양파($IC_{50}=37.31mg/mL$) < 달래($IC_{50}=51.97mg/mL$) 순으로 대파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다음, elastase의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달래 물 추출물($IC_{50}=298.37$ < 대파 $IC_{50}=323.75mg/mL$) < 양파($IC_{50}=367.21mg/mL$) 순으로 달래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가열처리에 의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과 tyrosinase 저해 활성이 일반 실험군보다 더 우수하게 나타났는데, elastase 저해 활성 실험에서는 반대로 가열 처리한 실험군이 일반 실험군보다 현저한 차이로 낮게 나타났다.

안정화미강을 첨가한 고서당식이 섭취가 C57BL/6 mice의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abilized rice bran-added high sucrose diet on glucose control in C57BL/6 mice)

  • 이승민;신말식;허영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3호
    • /
    • pp.157-166
    • /
    • 2014
  • 본 연구는 고서당식이에 첨가된 안정화미강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여 향후 안정화미강 첨가 식품을 인체실험에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로서 이용되고자 하였다. 4주령의 수컷 C57BL/6 mice를 정상식이 대조군 (ND), 고서당식이 대조군 (HSD), 안정화미강 첨가 식이군 (HSD-SRB)으로 배정하였다. 안정화미강 첨가 식이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식이 중량의 20%로 설정하였다. 12주 동안 식이 섭취 후 혈당, 혈청 인슐린, 간 조직의 글리코겐, 혈청 아디포넥틴, 혈청 및 간 조직의 중성지방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HSD군에 비해 HSD-SRB군에서 체중 및 부고환지방 무게를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공복혈당과 혈당반응곡선면적을 감소하였다. 또한 안정화미강 첨가 식이를 섭취하였을 때 혈청 및 간의 중성지방 농도가 감소됨에 따라 인슐린 저항성과 췌장의 베타세포 기능을 개선한 것으로 제안한다. 이로써 고서당식이에 안정화미강을 20% 첨가하였을 때 혈당조절 개선효과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안정화미강을 첨가한 건강 지향적인 제품 개발과 이 제품을 인체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군자탕(四君子湯) 재료를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the ingredients of Sagoonja-Tang)

  • 남혜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66-107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사군자탕 구성 재료의 기능성을 연구하고자 사군자탕가루를 스폰지 케이크에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케이크에 대한 한약재의 첨가량은 6%로 5개(S1(사군자탕가루), S2(인삼가루), S3(백복령가루), S4(백출가루), S5(감초가루))의 첨가군으로 구성하였다. 한약 재료의 첨가에 따라 완제품의 부피감소가 SC> S1>S3>S2>S4>S5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제품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품질 평가에서 생균수는 S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C는 저장 7일째에 $9{\times}10^7CFU/g$로 가장 높다가 저장 10일째에는 $2.5{\times}10^6CFU/g$으로 감소하였다. 한약재가 들어간 다른 시료에서는 낮게 나타나 특히 S5의 경우 같은 7일째에 $1.2{\times}10^2CFU/g$으로 적게 나타났다. 제품의 조직특성은 견고성, 점착성, 씹힘성이 SC에 비해 다 높은 값을 가졌다. 항산화성을 측정한 결과 과산화기질 생성억제효과의 크기는 스폰지 케이크에서 S5>S4>S3>S2>S1>SC의 순으로 나타나 한약 재료의 첨가군의 항산화효과가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전체적인 기호도는 SC에 비해 S3가 가장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S3>SC,S2>S1>S5>S4순으로 전체적인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다시마를 첨가한 배추김치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Sea Tangle Added Korean Cabbage Kimchi in Vitro and in Vivo)

  • 구화숙;노정숙;김현주;최홍식;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497-1502
    • /
    • 2007
  • 다시마 첨가 배추김치의 항산화 효과를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흰 쥐에서 살펴보았다. 동물실험군은 고지방식이군, 고지방식이에 대조김치, 다시마를 20% 첨가한 김치, 그리고 시판하는 J-김치를 첨가한 4군으로 실험군 당 동물은 10마리였으며 사육기간은 8주였다. 지방은 총에너지의 40%를 지방을 첨가하였으며 김치는 동결 건조하여 10% 첨가하였다. 김치의 DPPH 소거 효과는 김치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김치군 중 다시마 첨가 김치의 효과가 각 실험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간의 지질과산화는 김치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김치군 중 다시마 첨가 김치의 TBARS 농도는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간의 항산화 효소 활성을 살펴보았을 때 김치 섭취군의 $Cu{\cdot}Zn$-SOD, Mn-SOD, 그리고 catalase의 활성은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다시마 첨가 김치군의 효소 활성은 다른 김치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이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생성된 지질과산화물질이 김치에 존재하는 항산화물질에 의해 제거되어 이를 방어할 항산화 효소활성이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낮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 첨가 김치의 항산화 효과가 김치군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김치의 항산화 효과가 다시마의 활성 성분에 의해 더욱 증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