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ntibacterial resistance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6초

시판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 기능성 연구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ommercial Raw Makgeolli)

  • 정상은;김세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44-5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시판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probiotics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내산성, 내담즙성, 장 부착능에 효능이 있는 6개 균주를 선별하여 동정하였다.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유산균을 pH 2.5의 산성 및 담즙산(0.3% oxgall) 조건에서 내산성과 내담즙성을 측정한 결과 BSM-2, BSM-3, GSM-3, TJH-1, EHJ-1, EHJ-2의 6개 균주에서 각각 $10^7$, $10^8CFU/mL$ 높은 생존률을 나타내어 우수한 내산성과 내담즙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산성과 내담즙성에 효능이 있는 6개 균주의 16S rDNA 분석 결과, L. plantarum (BSM-2, EHJ-1) L. casei (GSM-3, EHJ-2), L. brevis (BSM-3), P. pentosaceus (TJH-1)의 4개 group이 동정되었다. 장부착능에서는 다른 유산균에 비해 장내 부착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L. rhamnosus GG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HT-29 cell에 대해 6종의 유산균이 모두 장 부착능을 보였으며 L. casei(GSM-3, EHJ-2)가 가장 장 부착능이 높았다. 항산화능력은 L. plantarum BSM-2와 EHJ-1에서 각각 32.44%, 24.65%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시판 생막걸리에서 분리된 유산균은 다양한 식중독 원인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이 생성하는 항균물질인 bacteriocin이 아닌 유산균 발효 중 젖산을 생성하면서 pH의 저하로 항균활성을 보인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Probiotics로의 기능성을 가진 6개 균주의 콜레스테롤 저하능력은 L. plantarum BSM-2와 EHJ-1에서 각각 68.82%, 56.38%의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시판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probiotic 특성을 조사해 본 결과 L. plantarum BSM-2, EHJ-1, L. brevis BSM-3, L. casei GSM-3, EHJ-2, P. pentosaceus TJH-1 모두 프로바이오틱스의 기본특성을 지니고 있어 프로바이오틱 균주로서 이용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되어지며, L. plantarum BSM-2가 내산성, 내담즙성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장 부착성이 우수하였으며, 뛰어난 항산화 능력과 항균력을 지니며, 콜레스테롤 저하능도 뛰어나 가장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균주라고 판단된다.

Susceptibility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from Fresh-Cut Products and Organic Vegetable to Organic Acids and Sanitizers

  • Park, Kyung Min;Baek, Minwoo;Kim, Hyun Jung;Kim, Byeong Sam;Koo, Minseo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7-233
    • /
    • 2013
  • 신선편의 샐러드와 유기농 채소에 오염되어 있는 식중독균인 B. cereus, S. aureus 그리고 E. coli를 대상으로 살균소독제와 유기산에 대한 감수성을 평가하여 신선편의 식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의 확보를 위한 올바른 세척제와 사용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 aureus는 2% acet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와 1% CaO에 대하여 고농도의 염소계, 과산화수소계 보다 높은 살균 효과를 보였고 E. coli의 경우에는 1% acetic acid와 CaO처리에 의해 80%의 분리주가 감소하여 50% 에탄올과 400 ppm 차아염소산나트륨과 대등한 감소율을 보였다. B. cereus 분리주에 대한 1% CaO, 0.5% acetic acid, 2% malic acid와 tartaric acid 처리는 200 ppm의 차아염소산나트륨보다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었고, 1%의 과산화수소와 대등한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 따라 천연 물질 유래 살균 소독제인 CaO와 유기산은 기존의 화학적 살균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살균 소독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고 특히 환경 친화적이고 안전한 유기산은 고품질의 신선편의 채소를 안전성으로 공급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초 추출물이 항생제 내성균주의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Extra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이지원;지영주;유미희;임효권;황보미향;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56-46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 그 항균효과를 천연의 약용식물을 이용하여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비교해보고 천연항균제의 개발에 우선하여 직접 식품에 첨가하여 그 효과를 검색하고자 하였다. 병원내감염의 주된 원인균으로 알려진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aureus)은 여러 항균제에 대하여 내성을 획득함으로써 질병의 치료를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이러한 내성균은 다양한 방법으로 동 식물에 빠르게 전파되고 있으므로 소비자가 내성균을 지닌 식품을 섭취해 잠재적인 내성균을 보유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러한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 MRSA)에 대해 천연 약용 식물 중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는 감초를 순차 분획하여 각 분획물을 이용한 MRSA에 대한 항균 활성을 알아본 결과 hexane, chloroform 분획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동일농도의 생육저해비교 실험에서 대부분의 내성균주에 대해 대조군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 penicillin에 비해 감초분획물이 대수기를 넘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중 chloroform 분획물이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T-PCR을 통하여 표준균주와 내성균주의 내성 정도와 내성 유전자를 관찰해본 결과 KCCM 40510은 내성획득유전자인 mecA, mecRI, mecI, femA에 발현이 높게 나타나 고도내성균임을 알 수 있었으며, 고도내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이용하여 감초의 chloroform 분획물을 농도별로($50,\;100,\;250\;{\mu}/mL$)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유전자 발현이 억제됨을 볼 수 있었다. 특히 고도내성균주인 KCCM 40510은 메티실린 내성을 상승시키는 mecA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mecRI 유전자의 pathway와 상응하는 것으로 보여지므로 감초가 이러한 고도내성균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EM을 통한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 분획물 처리 시 세포벽이 파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감초추출물을 직접 식품에 첨가하여 내성 균주에 대한 억제 효과도 확인한 결과 추출물 200mg/100mL 농도에서 포도상구균에 대해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5종 해조류 추출물의 병원성 세균 및 Candida sp. 진균에 대한 항균 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35 Seaweed Extract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nd Candida sp.)

  • 김미선;권경진;이민진;안선미;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4-151
    • /
    • 2012
  • 해양생물 유래의 기능성 물질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35종 해조류로부터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여 항생제 내성균주를 포함한 다양한 세균 및 진균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패, 넓패, 알쏭이 모자반 및 야마다 모자반에서 광범위한 세균에 대해 우수한 항세균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4종과 함께 곰피, 대황, 감태 및 톳의 8종에서 Candida albicans 생육억제력을 확인하였다. 이중 패, 넓패, 야마다모자반 추출물은 500 ${\mu}g/mL$ 농도에서 55-93%의 인간적혈구 용혈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8종 해조류의 메탄올 추출물을 n-hexane, ethylacetate, butanol을 이용하여 순차적 용매 분획물과 물 잔류물을 조제하여 다양한 Candida sp.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한 결과, 패 및 넓패로부터 C. albicans 및 항생제 내성 Candida sp.에 대한 신규의 항균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해조류 특히 패, 넓패, 알송이모자반, 야마다모자반이 다양한 세균 및 항생제 내성진균의 제어를 위한 생물자원으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항고혈압 활성을 가진 식물유래 젖산균의 생균제 특성 (Probiotic Potential of Plant-Derived Lactic Acid Bacteria with Antihypertensive Activity)

  • 이예람;손용준;박수연;장은영;유지연;손홍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89-798
    • /
    • 2016
  • Lactic acid bacteria (LAB) are industrially important microorganisms for probiotics. The recent widespread application of LAB for preparation of functional food is attributable to the accumulating scientific evidence showing their beneficial effects on human health. In this study, we isolated and characterized plant-derived LAB that show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 selected strain K2 was isolated from Kimchi, and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by 16S rRNA gene analysis. The strain grew under static and shaking culture systems. They were also able to grow in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like $25^{\circ}C{\sim}37^{\circ}C$ temperature, 4~10 pH range and ~6% NaCl concentration. L. plantarum K2 was highly resistant to acid stress; survival rate of the strain at pH 2.5 and 3 were 80% and 91.6%, respectively. The strain K2 also showed high bile resistance to 0.3% bile bovine and 0.3% bile extract with more than 74% of survival rate. The cell grown on MRS agar plate containing bile extract formed opaque precipitate zones around the colonies, indicating they have bile salt hydrolase activity. The strain showed an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such a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antibacterial activity was probably due to the lactic acid. The K2 strain showed relatively higher autoaggregation values, antihypertensive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 plantarum K2 could be not only applied as a pharmabiotic for human health but also is also starter culture applicable to fermentative products.

건강보험청구자료를 이용한 외래 급성 호흡기계 질환 방문과 항생제 처방률 변화 분석 (The Trend of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and Antibiotic Prescription Rates in Outpatient Settings using Health Insurance Data)

  • 김지애;박주희;김보연;김동숙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86-194
    • /
    • 2017
  • Objectives: A significant concern has been raised about the emerging resistance that is largely caused by the excessive or inappropriate use of antibacterial agents for viral respiratory infec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nd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RTIs) and the use of antibiotics. Methods: Utilizing the national leve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from 2005 to 2008, we examined encounter days, antibiotic use, and the prescription rate fo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cluding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URTIs),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LRTIs), and otitis media in outpatient settings. The antibiotic use was measured as defined daily dose per 1,000 patients per day (DDD/1,000 patients/day). Results: The visit for URTI increased from 141,693,465 in 2005 to 120,717,966 in 2008 and the visit for LRTI decreased from 61,778,718 to 66,930,122. For RTIs, prescription rates of antibiotics decreased from 65.2% to 58.5% for URTIs and 76.9% to 68.3% for LRTIs from 2005 to 2008. The antibiotic use decreased to 20.85 DDD/1,000 patients/day after a significant increase of 22.01 DDD/1,000 patients/day in 2006. Among antibiotics, J01CR had the highest use- 7.93 DDD/1,000 patients/day followed by J01DC of 3.71 DDD/1,000 patients/day and J01FA of 3.2 DDD/1,000 patients/day. One notable trend is that J01FA presented a continuous increase in antibiotic use from 2.3 in 2005 to 3.26 DDD/1,000 patients/day in 2008. Conclusion: The use of antibiotics had poor compliance to guidelines for RTIs. Despite decrease in the use of antibiotics, prescription rates for URTIs were still about 50% indicating that the delayed prescribing antibiotics (or wait-and-see) were not observed.

가자미 식해 발효에서 Lactobacillus brevis GS1022과 Pediococcus inopinatus GS316의 균총 변화 연구 (Change in Lactobacillus brevis GS1022 and Pediococcus inopinatus GS316 in Gajami Sikhae Fermentation)

  • 임수정;배은영;설민경;조영제;정희영;김병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91-500
    • /
    • 2020
  • 유산균은 장 건강, 심장질환, 우울증, 비만 등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고, 특히 한국은 다양한 발효식품에서 유산균을 섭취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발효식품에서 분리된 유산균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김치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어류 전통 발효식품인 식해류의 유산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인 가자미 식해의 발효에 관여하는 유산균의 배양일에 따른 균총의 변화를 관찰하고, 가자미 식해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로 이용 가치가 있는 균을 분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포항의 가정집에서 제조된 가자미 식해에서 유산균을 제조일로부터 50일까지 5일 간격으로 분리하고 동정하였고, 동정 결과 P. pentosaceus, P. inopinatus, Lc. mesenteroides, L. brevis, L. plantarum 5개 균주가 발효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초기 발효에는 Pediococcus sp.가, 중기 이후부터는 Lactobacillus sp.가 우세하게 발효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리한 유산균 중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산내성, 담즙산 내성 시험을 통해 균주를 선별한 뒤 응집능, 표면 소수성,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가자미 식해 분리 균주 중 최종적으로 선택된 소화액 내성이 뛰어난 L. brevis GS1022와 응집능이 뛰어난 P. inopinatus GS316은 프로바이오틱 균주로 이용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Probiotic Characterization of Acid- and Bile-tolerant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from Korean Faeces

  • Bae, H.C.;Nam, M.S.;Lee, J.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2호
    • /
    • pp.1798-1807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having probiotic properties to be used as the health adjuncts with fermented milk products. Acid- and bile-tolerant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was isolated with lactobacilli MRS broth from faeces of 80 healthy persons (infants, children and adults). It was used as a probiotic strain in fermented milk products. The pH of fermented milk decreased from pH 6.7 to 5.0 and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from 0.3% to 1.0% by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isolation strain 20, 35, and 37), when incubated for 36 h at 37$^{\circ}C$. The number of viable cell counts of fermented milk was maximized at this incubation condition. The SDS-PAGE evidenced no significant change of casein but distinct changes of whey protein were observed by isolated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for titratable acidity being incubated by 0.9-1.0% at 37$^{\circ}C$. All of the strains produced 83.43 to 131.96 mM of lactic acid and 5.39 to 26.85 mM of isobutyric acid in fermented products. The in vitro culture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ability to reduce cholesterol levels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 the growth medium. The selected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reduced 23-38% of cholesterol content in lactobacilli MRS broth during bacterial growth for 24 h at 37$^{\circ}C$. All of the isolated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had an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with 15-25 mm of inhibition zone to E. coli KCTC1039, S. enteritidis KCCM3313, S. typhimurium M-15, and S. typhimurium KCCM40253 when its pH had not been adjusted. Also, all of the isolated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had partial inhibition zone to E. coli KCTC1039, E. coli KCTC0115 and S. enteritidis KCCM3313 when it had been adjusted to pH 5.7. The selected strains were determined to have resistances of twelve antibiotic. Strains 27 and 35 among the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showed the highest resistance to the antibiotic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ome of the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strain 27 and 35) are considered as effective probiotic strains with a potential for industrial applications, but the further study is needed to establish their use as probiotics in vivo.

황흑산(黃黑散)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과 옥사실린과의 시너지 효과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Hwangheuk-san and synergy effect with oxacillin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최성훈;강옥화;주전;공룡;이승진;강담희;정혜인;이영섭;권동렬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93-98
    • /
    • 2016
  • Objectives : Hwangheuk-san is a complex prescription composed of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and has been reported for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effects in the recent stud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one of important causes of fatal infectious diseases such as septicemia, endocarditis, toxic shock syndrome, pneumonia,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SSTIs). S. aureus is reported as being for a variety of human diseases and its epidemiological relevance is mainly due to their ability of becoming highly resistant to common antimicrobials such as tetracycline, penicillin, cphalosporin and aminoglycosid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effect of Hwangheuk-san ethanol extracts (HHS) and synergistic effects with antibiotics oxacillin against MRSA.Methods :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HHS was measured by the disc diffusion method, broth microdilution method and the checkerboard dilution test, time-kill curve assa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synergistic effects with antibiotics oxacillin against MRSA.Results : HH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RSA with a MIC value of 125 ㎍/㎖. In the checkerboard test, the interaction of HHS with antibiotics oxacillin produced almost synergy or partial synergy against MRSA. This study showed that HHS reduced the MICs of oxacillin tested, and a remarkable antibacterial effect of HHS, with membrane permeability enhancers.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HS has the antimicrobial effect and synergistic effects with antibiotics oxacillin against MRSA. This study thus can be a valuable 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drug with low MRSA resistance.

신규 분리균주 Streptomyces sp. BCNU 1030의 in vitro 항균활성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a New Isolate Streptomyces sp. BCNU 1030)

  • 방지훈;최혜정;안철수;김동완;정영기;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89-595
    • /
    • 2011
  • 질병를 유발하는 미생물들의 항생물질에 대한 증가하는 내성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항생물질을 개발하고자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방선균을 탐색하여 특성화하는데 본 연구는 초점을 맞추고 있다. 충청북도 일대의 토양으로부터 PDA, starch casein agar 등의 배지를 이용하여 100여 개의 방선균주를 순수분리하였다. 순수분리된 방선균주 중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가장 활성이 뛰어난 BCNU 1030을 선발하여 형태학적,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동정한 결과 Streptomyces 속으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주인 BCNU 1030은 MRSA를 포함한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세균에 대한 폭넓은 항균스펙트럼을 가졌다. BCNU 1030의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은 MRSA CCARM 3090에 대하여 최소$0.78\;{\mu}g/ml$의 농도에서 저해활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BCNU 1030은 새로운 anti-MRSA 항생물질의 개발에 있어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