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allergy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초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GLU)가 천식모델 생쥐의 BALF 내 면역세포 및 Cytokine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Glycyrrhiza uralensis Fisch on Immunocyte and Cytokine Production in Asthma Model Mouse)

  • 한영주;박양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08-417
    • /
    • 2004
  • Objective : The aim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Glycyrrhiza uralensis Fisch on immunocyte and cytokine production in asthmatic laboratory mice.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allergic and antiinflamatary the effects of Glycyrrhiza uralensis Fisch on asthma. Materials and Methods : We measured the eosinophil, IL-4, IL-5, IL-13, $IFN-{\gamma}$, CD4, CDS, CD69, CCR3, CD11b, Gr-1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of ovalbumin induced asthmatic mice. Results : Glycyrrhiza uralensis Fisch increased the proliferation of eosinophils, IL-4, IL-5, IL-13, IgE, granulocyte, CCR3, CD4, IgE, CD69. Glycyrrhiza uralensis Fisch increased the proliferation of $IFN-{\gamma}$. Conclusion : Results suggest that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tract is useful in treatment and prevention allergic asthma.

  • PDF

약초 음료의 항균효과, 항암효과 및 알레르기 억제효과 검증 (Effects of Beverage Using Herbs on the Antimicrobial, Anticancer and Antiallergy Activities)

  • 박은미;예은주;김수정;김솔아;배만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953-958
    • /
    • 2005
  • 약초 음료인 HC와 PG의 항균효과, 항암효과 및 항알레르기효과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원판확산법을 통해 관찰한 S. aureus와 P. aeruginosa에 대한 저지 효과는 약초 음료 HC에 비해 약초 음료 PG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S. aureus보다 P aeruginosa에 대한 항균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48시간 동안 약초발효 음료의 농도를 달리하여 S. aureus와 P. aeruginosa에 대한 증식 저해 정도를 관찰한 결과 S. aureus에 관한 증식 저해 정도는 약초 음료 HC군의 경우 $5\%$대에서부터 확실한 균 증식 억제 정도를 나타내었으며, 48시간 경과 후에는 $10\%$이상의 첨가군에서 균 증식 저해능이 더욱 커짐을 볼 수 있었다 S. aureus에 관한 약초 음료 PG의 증식 저해능은 24시간 경과 후 $5\%$ 첨가군에서 부터 확실한 균증식 억제능을 보였다. P. aeruginosa에 대한 증식 저해 정도는 약초 음료 HC군의 경우 24시간 경과 후 $10\%$대에서부터 확실한 균증식 억제를 나타내었으며, 약초음료 PG의 증식 저 해능은 24시간 경과 후 $5\%$ 첨가군에서 부터 확실한 균 증식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약초 음료 HC와 약초 음료 PG의 고형암(S-180) 성장 억제에 대한 실험 결과 대조군에 비해 $5\%$ HC군에서는 $62\%,\;10\%$ HC군에서는 $66\%$의 고형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5\%$ PG군에서는 $53\%,\;10\%$ PG군에서 는 $61\%$의 고형암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 저해효과 실험결과 인간 유래 간암세포인 Hep3B에 대해 약초 음료 HC원액은 $24.6\%$,약초 음료 PG원액은 $69.2\%$의 저해율를 보였다. 약초 음료 HC와 약초 음료PG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compound 48/80을 처리하여 유리된 히스타민량에 비해 약초 음료PG는 $46.4\%$, 약초 음료 HC는 $17.9\%$의 히스타민 분비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쌀겨 추출물의 항암효과(in vitro) 및 항알레르기 효과 (Anticancer (in vitro) and Antiallergy Effects of Rice Bran Extracts)

  • 최현임;예은주;김수정;배만종;이성태;박정은;박은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297-1303
    • /
    • 2006
  • 본 연구는 쌀겨의 사람유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in vitro)와 사람유래 비만세포주(HMC-1)의 활성 억제효과 및 흰쥐 복강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Hep3B와 HeLa 세포에 대한 형태변화는 쌀겨의 물 추출물과 60% 에탄을 추출물 처리군 모두 농도에 비례하여 암세포의 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시료를 고농도로 처리할수록 사멸세포 형태인 원형의 세포 수가 증가하였다. Hep3B 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능은 쌀겨 물 추출물이 60% 에탄을 추출물보다 높았고, $100{\mu}g/mL$$1,000{\mu}g/mL$ 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60% 에탄을 추출물보다 각각 20%, 55% 더 높은 효과가 있었다. HeLa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능은 쌀겨 물 추출물과 60% 에탄을 추출물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1,000{\mu}g/mL$$3,000{\mu}g/mL$ 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60% 에탄을 추출물보다 각각 5%, 27% 더 높았다. 사람의 비만세포주(HMC-1)에서 $Fc{\varepsilon}RI$, tryptase, c-kit mRNA 발현양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 GAPDH의 발현양은 대조군과 시료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다. 비만세포의 $Fc{\varepsilon}RI$ mRNA와 c-kit의 mRNA 발현양은 쌀겨 물 추출물군보다 60%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많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tryptase mRNA 발현양은 억제하지 못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분비에 미치는 영향은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5{\mu}g/mL$ compound 48/80을 처리하였을 때 히스타민 분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쌀겨 물 추출물 $0.01{\mu}g/mL$에서 약 87%의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에탄을 추출물 $100{\mu}g/mL$에서 약 86%의 억제율을 보였다.

항알레르기에 대한 Pediococcus inopinatus Y2 유산균 발효 두유 커드의 치료 효과 (Therapeutic Antiallergy Effect of Fermented Soy Curd by Pediococcus inopinatus Y2)

  • 강문선;이영근;김한수;정헌식;황대연;김동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78-483
    • /
    • 2019
  • 본 실험에서는 Pediococcus inopinatus Y2 (P. inopinatus Y2)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 두유커드가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치료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알레르기 유발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4주간 경구투여한 이후, 마우스의 체중, 귀 두께, IgE 농도, 면역 기관 중량 및 혈청 IgE 농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동물실험 군은 적당한 체중 증가를 보였다. 귀 두께에서, 아무처리를 하지 않은 그룹(No group)이 가장 낮은 두께를 나타냈고, PA 처리 그룹이 알레르기가 유발되어 두꺼워졌다. PA로 유도된 AD 마우스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발효 두유커드 투여그룹(FSC group)의 피부 상태는 더욱 개선되었다. 이에 따라 유산균에 의한 발효 두유커드가 피부염을 회복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우스의 비장과 림프절의 무게와 IgE 농도를 비교 한 결과, 두유를 투여한 그룹(SM group)도 치료 효과를 보였으나 발효 두유커드의 알레르기 치료 효과가 더 우수 하였다. 결과적으로 발효 된 두유커드가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을 개선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velopment of Strain-Specific Primers for Identification of Bifidobacterium bifidum BGN4

  • Youn, So Youn;Ji, Geun Eog;Han, Yoo Ri;Park, Myeong 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5호
    • /
    • pp.909-915
    • /
    • 2017
  • Bifidobacterium bifidum BGN4 (BGN4) has many proven beneficial effects, including antiallergy and anticancer properties. It has been commercialized and used in several probiotic products, and thus strain-specific identification of this strain is very valuable for further strain-dependent physiological study.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novel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rimer sets for strain-specific detection of BGN4 in commercial products and fecal samples of animal models. The primer set was tested on seven strains of B. bifidum and 75 strains of the other Bifidobacterium species. The BGN4-specific regions were derived using megaBLAST against genome sequences of various B. bifidum databases and four sets of primers were designed. As a result, only BGN4 produced four PCR products simultaneously whereas the other strains did not. The PCR detection limit using BGN4-specific primer sets was $2.8{\times}10^1CFU/ml$ of BGN4. Those primer sets also detected and identified BGN4 in the probiotic products containing BNG4 and fecal samples from a BGN4-fed animal model with high specificit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PCR assay from this study is an efficient tool for the simple, rapid, and reliable identification of BGN4, for which probiotic strains are known.

Antiallergy drugs from Oriental medicines

  • Kim, Hyung-Min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1권1호
    • /
    • pp.1-7
    • /
    • 2000
  • Although Oriental medicines have long been used effectively in treating many diseases throughout the world, the pharmacological mechanisms of most Oriental medicines used have not been defined. As part of our continuing search for biologically active antiallergic drugs from natural sources, Oriental medicines were analyzed. Some Oriental medicines have been used against various allergic diseases for generations, and still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It is also still unclear how Oriental medicine prevents allergic disease in experimental animal models. Some Korean folk medicines inhibited the mast cell-mediated allergic reaction. This review summarizes the effective folk medicine in experimental effect of allergic reaction. Potential antiallergic folk medicines include: Poncirus trifoliata; Siegesbeckia glabrescence; Solanum lyratum; Aquilaria agallocha; Ulmi radicis; Polygonum tinctorium; Hwanglyun-Haedok-Tang; Rehmannia glutinosa; Kum- Hwag-San; Syzygium aromaticm; Spirulina platensis; Sosiho-Tang; Sinomenium acutum; Schizonepta tenuifolia; Shini-San; Magnoliae flos; Sochungryoung-Tang; Oryza sativa; Cryptotympana atrata; Salviae radix; Rosa davurica; Asiasari radix; Chung-Dae-San; and Cichorium intybus.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of action for these Oriental medicines can permit drug development and laying of the ground-work for evaluating potential synergistic effects by addition and subtraction of prescriptions.

  • PDF

자합산(紫蛤散)의 항(抗)알러지 효과(效果)에 대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f JaHap-san on the Antiallergic Effect)

  • 김준명;송재진;박양춘;김병탁;고재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05-413
    • /
    • 2001
  • Objective: Experimental studies were done to research the effects of Jahap-san(zige-san) on the allergic reaction Methods: For measuring the response about the antiallergic effect we investigated cytokines m-RNA expression of murine splenic B cell, production in anti-CD40 mAb-stimulated murine splenic B cells and the histamine release in IC-2 cells by anti-CD40 mAb-stimulated murine splenic B cells. Results: The extract of Jahap-san(zige-san)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 effect on cytokines m-RNA expression of murine splenic B cell, production in anti-CD40 mAb-stimulated murine splenic B cells and the histamine release in IC-2 cells by anti-CD40 mAb-stimulated murine splenic B cells. Conculusion : The extract of Jahap-san(zige-san) revealed significant effect on the antiallergy.

  • PDF

Antithrombotic and Antiallergic Activities of Rhaponticin from Rhei Rhizoma Are Activated by Human Intestinal Bacteria

  • Park, Eun-Kyung;Choo, Min-Kyung;Yoon, Hae-Kyung;Kim, Dong-Hy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528-533
    • /
    • 2002
  • To evaluate the antithrombotic and antiallergic properties of rhaponticin extracted from Rhei Rhizoma, the in vitro and ex vivo inhibitory activities of rhaponticin and its metabolite, rhapontigenin, were measured. These compounds inhibited in vitro ADP- and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Rhapontigenin was more potent, with $IC_{50}$ values of 4 and $70{\;}{\mu}g/ml$, respectively. In ex vivo ADP- and collagen-induced rat platelet aggregation, these compounds also exhibited a potent inhibitory effect. The antiplatelet aggregation effects of rhaponticin and rhapontigenin were more potent than those of aspirin. Rhapontigenin showed significant protection from death due to pulmonary thrombosis in mice. Rhapontigenin also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eta-hexosaminidase$ release induced by DNP-BSA. These compounds inhibited PCA reaction in mice. Rhapontigenin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activity and significantly inhibited PCA at doses of 25 and 50 mg/kg, with inhibitory activities of 48 and 85%, respectively. The inhibitory activity of orally administered rhaponticin was stronger than that of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rhapontic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haponticin, in the rhizome of Rhei Rhizoma, is a prodrug that has extensive antiallergic and antithrombotic properties.

고장초 추출 용매의 에탄올 함량에 따른 항산화, 항염증, 항알러지, 미백 활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ti-allergy, and Whitening Effect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from Zizania latifolia)

  • 박세호;이재열;양선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94-100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장초 줄기 ethanol 추출물 5종(10, 30, 50, 70, 90% Z. latifolia ethanol extract)에 대한 다양한 효능을 평가하여 원료제조를 위한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항산화능 평가결과, ethanol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DPPH 및 ABTS 라디칼에 대한 $RC_{50}$ 값은 감소하여 소거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항염증 평가 결과, ethanol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lipopolysaccharide (LPS)로 처리한 RAW 264.7에서 nitric oxide (NO)의 생성 억제능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250{\mu}g/ml$의 농도에서의 NO 생성능 비교 시, 15.69, 14.13, 11.86, 8.64, $10.09{\mu}M$로 70% Z. latifolia ethanol extract에서 가장 높은 NO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항알러지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RBL-2H3 세포를 IgE-항원으로 활성화 시킨 결과, 10% Z. latifolia ethanol extract의 ${\beta}-hexosaminidase$ 방출 억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30% Z. latifolia ethanol extract부터 농도의존적으로 ${\beta}-hexosaminidase$의 방출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00{\mu}g/ml$ 추출물 처리 시 ${\beta}-hexosaminidase$ 방출은 각각 94.20, 57.10, 46.70, 36.38, 27.45%로 90% Z. latifolia ethanol extract의 항알러지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미백 효능 평가 결과, ethano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500{\mu}g/ml$ 농도의 70%, 90%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은 양성대조군인 arbutin ($250{\mu}M$)과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Z. latifolia ethanol extracts는 세포 독성이 없으며 피부 보호 효능과 관련된 다양한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원료 제조 조건에 대한 활성 결과는 향후 피부건강을 위한 기능성 식품 원료 제조를 위한 기초 결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rabinoxylane과 PSP의 항암 효과 및 알레르기 억제 효과 검증 (The Effects of the Arabinoxylane and the Polysaccharide Peptide (PSP) on the Antiallergy, Anticancer)

  • 배만종;이성태;채수연;신성해;권상호;박미현;송미경;황성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69-474
    • /
    • 2004
  • 본 연구에 사용한 아라비녹실란화합물은 미강에서 추출한 헤미셀룰로즈에 표고버섯균사체 배양물에서 분리한 효소를 작용시켜 생성된 식물성다당류이며, PSP(polysaccharide peptide)는 담자균류의 일종인 Coliolus versicocor Sov-1의 균사체에서 추출 정제하여 얻은 단백다당체 성분이다. 이들에 대한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 항암 효과 및 알레르기 억제효과 등에 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장세포의 B cell과 T cell에 arabinoxylane과 PSP의 항체생성과 세포활성능을 조사한 결과 PFC형 성은 10 ∼ 15%, RFC검출은 10 ∼ 30% 증가하였다 복강침출세포로부터 대식세포의 탐식능 효과는 대조군에 비하여 PSP는 약 18%, arabinoxylane은 22% 정도 증가하였다. S-180 고형암에 의한 항암실험에서 arabinoxylane은 66.2%(p<0.01), PSP는 49.0%(p<0.05)의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복수암에 의한 수명 연장효과는 PSP, arabinoxylane이 대조군에 비해 다소의 수명연장효과가 나타났으며, PSP가 아라비녹실란에 비해 약간의 높은 수명연장효과가 나타났다. 항알레르기 효과를 보기 위한 PCA 역가를 측정한 결과는 대조군이 80인데 비해 PSP군은 40, arabinoxylane군은 20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경감되었으며, arabinoxylane군이 다소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혈중 histamine 함량도 PCA와 유사한 결과로 arabinoxylane군과 PSP군이 히스타민 함량을 다소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