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wrinkle effects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8초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wrinkle Effects of Aceriphyllum rossii Leaf Ethanol Extract

  • Ha, Bi Gyeon;Park, Min Ah;Lee, Chae Myoung;Kim, Young Chul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363-369
    • /
    • 2015
  •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wrinkle effects of Aceriphyllum rossii leaf ethanol extract (ARLEE) in vitro using human dermal fibroblast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ARLEE were 578.6 and 206.3 mg/g,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250{\mu}g/mL$,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of ARLEE was 87.1%. In comparison with the vehicle, ARLEE treatment at $100{\mu}g/mL$ significantly increased type I procollagen synthesis (p < 0.01) by 50.7%. In vitro ARLEE treatment (10 mg/mL) inhibited collagenase and elastase activity by 97.1% and 99.2%,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ascorbic acid treatment at $100{\mu}g/mL$ significantly decrease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protein expression (p < 0.01) by 37.0%. ARLEE treatment at $50{\mu}g/mL$ significantly decreased MMP-1 protein expression (p < 0.01) by 46.1%. Ascorbic acid and ARLEE treatments at $100{\mu}g/mL$ significantly decreased MMP-1 mRNA expression (p < 0.01) by 26.1% and 36.1%,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ARLEE has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and even better anti-wrinkle effects than ascorbic acid in human dermal fibrobla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RLEE could be used in functional cosmetics for the prevention or alleviation of skin wrinkles induced by ultraviolet rays.

β-glucosidase 활성 균주 발효에 의한 황기 Isoflavonoid 성분변화 및 생리활성 (The Isoflavonoid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e of Astragalus Radix by Fermentation of β-glucosidase Strains)

  • 김철중;최재후;성은수;임정대;최선강;유창연;이재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371-378
    • /
    • 2020
  • Background: In this study, the radix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extract ferment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Weissella cibaria, and Pediococcus pentosaceus to increase the levels of isoflavonoid aglycone contents. Methods and Results: In order to change the in isoflavonoids, we fermented the radix of A. membranaceus extracts with microorganisms that have β-glucosidase activity. Besed on the β-glucosidase activity, we selected three strains, Weissella cibaria, Pediococcus pentosaceu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HPLC analysis revealed that the levels of isoflavonoid aglycones were increased in all fermentation cases, and the extracts fermented by S. cerevisiae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isoflavonoid aglycones.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ti-wrinkle effects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S. cerevisiae-fermented extracts using the DPPH assay,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ssay, and collagenase inhibition activity assay. We confirmed higher activity in S. cerevisiae-fermented extracts than in control, with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value of 565.1 ± 59.1 ㎍/㎖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yrosinase inhibition rate of 78.4 ± 0.9%, and collagenase inhibition rate of 83.8 ± 1.1%. Conclusions: We selected three stains of microorganisms showing high β-glucosidase activity, W. cibaria, P. pentosaceus and S. cerevisiae. Isoflavonoid glycones in the radix of A. membranaceus were converted to isoflavonoid aglycones by fermentation. In addition, the fermented radix of A. membranaceus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anti-wrinkle effect, whitening effec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당귀, 작약, 지황, 천궁 혼합 발효물의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 효과 (Antioxidant, Anti-Wrinkle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Fermented Mixture Extracts of Angelica gigas, Paeonia Lactiflora, Rehmannia chinensis and Cnidium officinale)

  • 엄지나;민진우;주광식;강희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2-159
    • /
    • 2017
  • Background: I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n extract of a mixture of Angelica gigas, Cnidium officinale, Paeonia lactiflora, and Rehmannia glutinosa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with enhanced value and functionality. In oriental medicine, a mixture of these herbs is called Samultang. 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a fermented extract of Samultang on oxidative stress, procollagen type I expression, and melanin production. Samultang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followed by inoculation with Leuconostoc mesenteroides to obtain the fermented extract. The evaluation of viability of B16F10 cells and human foreskin fibroblast (HHF) revealed that both ethanol and fermented extracts of Samultang were non-toxic. The result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test showed that the fermented extract of Samultang ($SC_{50}value=100{\mu}g/m{\ell}$) was a more effective DPPH free radical scavenger than its ethanol extract. In addition, procollagen type I expression was higher in cells treated with the fermented extract of Samultang than in cells treated with ethanol. In the non-toxic concentration range, the fermented extract of Samultang showed strong inhibitory effect on melanin production in ${\alpha}-melanocyte$ stimulatin hormone-stimulated B16F10 cells ($IC_{50}=37.9{\mu}g/m{\ell}$).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ermented extract of Samultang has considerable protential as a cosmetic ingredient owing to its antioxidant,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s.

진생베리 발효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 (Study on Cosmeceutical Activities from Fermented Ginseng Berry Extracts)

  • 김일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8-37
    • /
    • 2020
  • 진생베리는 진세노사이드 Re을 다량함유하고 있고 항염, 항암, 혈당강하 및 미백효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Rhizopus Oligosporus 균주를 이용하여 진생베리 발효공정을 확립하였으며 진생베리 발효물에 대한 화장품 약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발효에 의한 인삼 베리 추출물의 전자 공여 능력은 1,000 ㎍/mL 농도에서 81%를 나타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1,000 ㎍/mL 농도에서 100.2% 효과를 나타내었다. 피부 미백과 관련된 티로시나 아제 억제 효과는 1,000 ㎍ /mL 농도에서 57%였다. 피부 주름과 관련된 엘라스타제 억제효과는 1,000 ㎍/mL 농도에서 47%였다. 또한, 콜라게나제 억제 효과는 1,000 ㎍/mL 농도에서 33%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진생베리 발효물이 항염과 미백, 주름개선 효능을 가진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진생베리 발효물이 향우 항염 및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청상방풍탕 열수 추출물의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보습 효과 및 세포독성 평가 (Skin Regeneration, Anti-wrinkle, Whitening and Moisturizing Effects of Cheongsangbangpung-tang Aqueous Extracts with Cytotoxicity)

  • 우창윤;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9-70
    • /
    • 2017
  • 목 적: 본 연구는 한의학에서 면포질환에 빈번히 사용하는 대표적인 복합처방인 청상방풍탕의 열수 추출물 동결건조물의 피부 노화 개선 효과 평가를 위하여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각각 평가하였고, 기본적인 독성 평가의 일환으로 세포독성 또한 in vitro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방 법: 본 연구에서는 human normal fibroblast(CRL-2076) 세포 및 B16/F10 murine melanoma(CRL-6475) 세포에 대한 청상방풍탕 열수 추출 동결건조물(수율 18.71%)의 세포독성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방법을 통해 평가하였고, B16/F10 melanoma cells의 melanin 생성 억제 정도 및 melanin 합성 필수 효소인 tyrosinase 활성 억제와 arbutin을 비교 평가하여 미백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 효과를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beta}1$와 fibroblast의 collagen type I 합성능을 비교, phosphoramidon disodium salt(PP)와 세포외 기질의 분해에 관여하는 elastase활성 억제를 비교, oleanolic acid(OA)와 hyaluronidase, collagenase 및 matrix metalloproteinase(MMP)-1 활성 억제를 비교하여 각각 평가하였고, 마우스 피부 수분함량 변화를 관찰하여 보습효과를 평가하였다. 결 과: 본 실험의 결과, 청상방풍탕은 human normal fibroblast 세포 및 B16/F10 murine melanoma 세포에서 최고 농도인 500 mg/ml까지 유의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fibroblast의 collagen type I 합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세포외기질 파괴와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hyaluronidase, elastase, collagenase 및 MMP-1 활성을 각각 억제하였고 melanin의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의 활성 및 B16/F10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차단함이 관찰되었다. 이와 더불어 정상매체 대조군에 비해 청상방풍탕 경구 투여군이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마우스 피부 수분 함량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 결 론: 이상의 결과에서, 청상방풍탕은 세포 독성 없이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남이 관찰되어 차후 피부 개선 소재로서 그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나 금후 개별 구성 약재 각각에 대한 효능 및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화학성분의 검색과 더불어 다양한 방면으로 기전적인 연구와 피부 보호 효과에 대한 in vivo평가를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CCD-986sk 세포 내 참깨 에탄올 추출물의 항주름 활성 연구 (A Study on the Anti-wrinkle Activities of Sesamum indicum L. Ethanol Extracts on CCD-986sk)

  • 주다혜;유단희;이진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77-38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참깨 추출물의 주름개선 화장품 원료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참깨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엘라스타제 저해능, 콜라게나제 저해능, matrixmetallopoteinases (MMPs)의 단백질, mRNA 발현 저해 효능을 측정하였다.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활성은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37.8%와 45%의 효소 활성을 억제를 나타내었다. 섬유아세포에서 참깨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100{\mu}g/mL$ 농도에서 96%의 생존율을 보였다. 참깨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matrix metalloproteinase-3 (MMP-3)의 단백질 발현 및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단백질 발현은 $100{\mu}g/mL$ 농도에서 63%, 43%, 49%의 저해율을 나타내었고, mRNA 발현 억제는 최고농도인 $100{\mu}g/mL$에서 각각 82% 79%, 82%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참깨 70% 에탄올 추출물이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밤부산물(율피)의 주름개선 및 미백 효과 (The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 of Extracts of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 장민정;천순주;김희영;권대준;김학윤;김세현;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34-738
    • /
    • 2011
  • 율피를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주름개선, 미백 및 수렴효과를 검증하였다. 주름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elastase 저해활성과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율피 아세톤 추출물 100 ug/ml에서 51.0%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아세톤 및 에탄올 추출물이 50 ug/ml 에서 96.4%, 94.3%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아세톤 및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와 비교시 약 50%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율피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방 원료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통한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치 평가 (The Evaluation of Anti-wrinkle Effects in Oriental Herb Extract)

  • 강금석;김인덕;권륜희;허예영;오상훈;김민아;정혜진;강환열;하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147-115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7가지 한방원료(음양곽, 복분자, 오미자, 구기자 , 건지황 l 사상자 , 토사자)의 항산화 효과, collagen 합성 촉진 효과, collagenase 활성 저해 효과를 비교 평가함으로써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항산화 실험인 DPPH 소거 효과, 리놀산 자동산화 억제 효과, superoxide radical 소거 효과, hydroxyl radical 소거 효과에서는 음양곽, 복분자, 오미자, 구기자가 대체적으로 뛰어난 활성을 보여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주름개선 실험인 collagen 합성 촉진 효과, collagenase 저해 효과에서는 건지황, 사상자, 토사자가 다른 네 가지 물질에 비해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어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7가지 한방원료가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능을 나타내므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양하(Zingiber mioga) 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 검증을 통한 화장품 소재로서의 유효성 평가 (The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Zingiber mioga extract as a Cosmetic Material through Verification of Cosmeceutical Activations)

  • 엄미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088-1099
    • /
    • 2020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양하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양하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항염증,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생리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실험을 하기 위해, 양하꽃 추출물 (ZMF)과 양하잎 추출물 (ZML)을 70%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acrophage (Raw 264.7)를 이용해 시료의 세포독성 평가와 nitric oxide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ZMF과 ZML의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 활성 측정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ZMF는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와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측정 결과 ZML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NO 저해능 측정 결과에 따르면 ZMF는 농도 의존적으로 NO가 저해되어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냈다. ZMF의 pro-collagen type-1 합성량은 25 ㎍/ml에서 110% 이상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MP-1 저해능은 25 ㎍/ml에서 20%의 활성을 나타냈다. 이 결과로 ZMF는 주름개선용 화장품 소재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항산화, 항염증, 주름개선 평가 결과, 양하의 생리 활성 효과가 검증되었으므로 천연 화장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ies koreana 유래 정유의 항주름 및 미백 효과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s of Essential Oil from Abies koreana)

  • 송병욱;송민정;박미진;최돈하;이성숙;김명길;황기철;김일권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24-531
    • /
    • 2018
  • 구상나무로부터 추출된 정유가 개발되어 있지만, 피부와 연관된 연구 관점에서 효능이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B16F10 흑색종 세포(B16F10)와 인간 피부아세포주(HDF)에서 멜라닌과 주름 형성 상의 구상나무 추출물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정유는 수첨 증류법으로 추출하였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정제 하였다. $10^{-5}$배의 정유농도에서, 두 세포의 생존능은 세포독성 평가에 의해 확인 되었다. B18F10의 항멜라닌 효과는 티로시나아제 억제 분석과 티로시나아제, 티로시나아제 연관 단백질 -1과 -2(TRP-1, TRP-2)의 유전자 발현 검증을 통해 이루어졌다. 정유는 알파-멜라닌세포 자극 호르몬 유도 그룹과 비교하여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이 5배, 아르부틴 유도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30% 정도 감소되었다. 3가지 멜라닌 유래 인자들의 mRNA 수준도 각각 증가하였다. 항주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프로콜라겐 타입 I c 펩티드 합성(PIP) 분석과 웨스턴 블록을 수행하였다. 정유를 처리한 그룹에서 PIP가 증가되었고 콜라겐 타입 1과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가 개선 되었다. 또한 정유는 $60mJ/cm^2$의 자외선 조건에서, 자외선-억제 콜라겐 타입 1의 증가와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 생성 억제를 통해 항주름 효과를 보여줬다. 따라서 구상나무 추출물은 미백과 항주름을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피부 제재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