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nti-oxidant Effect

검색결과 645건 처리시간 0.028초

황칠·미강 발효 추출물이 tyrosinase 활성 저해 및 항산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inegar Fermentation of Korean Dendorpanax and Rice Bran Mixture on the Activity of Tyrosinase and Anti-Oxidant in B16F10 Cell Line)

  • 최찬헌;안정은;임성수;정현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3-280
    • /
    • 2015
  • In this study, we used the mixture made from the Rice bran 45 ㎏, Dendropanax 5 ㎏, the sugar of the 10% of the total weight, and the enzyme of the 0.1% of the total weight. After the mixture were fermented for 90 days under 20 $^{\circ}C$, we measured the cell viability and the inhibition rate of the melanin biosynthesis, the activity of tyrosinase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in malignant melanoma, B16F10 cells, in order to survey the whitening effect and the mechanism of the effects on the sample. As a result, the samples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cell viability of B16F10 in more than 500 ${{\mu}g}$/㎖ and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eneration of melanin induced by ${\alpha}$-MSH in more than 1,000 ${{\mu}g}$/㎖. Sample decreased the activity of tyrosinase while increased the activity of SOD in dose dependent manner. Therefore, we considered that the fermentation extract made from a Rice bran and Dendropanax will be able to produce high value-added products, if used as a commercial.

LAB Fermentation Improves Producti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ithania somnifera Extract and Its Metabolic Signatures as Revealed by LC-MS/MS

  • Yu, Jinhui;Geng, Yun;Xia, Han;Ma, Deyuan;Liu, Chao;Wu, Rina;Wu, Junrui;You, Shengbo;Bi, Yupi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473-483
    • /
    • 202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LAB) fermentation on the ingredi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ithania somnifera extract. Four strains of LAB could proliferate normally in medium containing W. somnifera extract after the pH reached 3.1~3.5. LAB fermentation increased the content of alcohols and ketones, endowing the extract with the characteristic aroma of ferment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the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rates in the fermented sampl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ranging from 48.5% to 59.6% and 1.2% to 6.4%. The content of total pheno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36.1% during the fermentation of mixed bacteria. Moreover, the original composition spectrum of the extract was significantly changed while the differentially accumulated metabolites (DAMs) were closely related to bile secretion, tryptophan metabolism and purine metabolism. Therefore, LAB fermentation can be used as a promising way to improve the flavor and bioactivity of the extracts of W. somnifera, making the ferments more attractive for use as functional food.

황정 약침의 비만 쥐에서의 국소 지방분해 효능 연구 (Effect of Polygonatum sibiricum Rehd. pharmacopuncture on localized adiposity in obese mice)

  • 김미혜;최태양;양웅모
    • 대한융합한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7-24
    • /
    • 2021
  • Objectives: Excessive accumulation of fat on specific region, regarded as localized fat, is one of the serious problems and well-known risk factors of health. Recently, an interest in health and aesthetics is growing by treating lipolytic injection. Polygonatum sibiricum Rehd (PS) has been known to have anti-oxidant, -aging and -atherosclerotic effe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lipolytic effects of PS pharmacopuncture in obese mice. Methods: Male C57BL/6J mice was fed with high fat diet to induce obesity for 12 weeks. PS pharmacopuncture was dissolved in saline by adjusting pH 7. 100 μL of PS pharmacopunture was injected subcutaneously into the left side inguinal fat pad, while saline was injected into the right side inguinal fat pad in mice as self-control. Samples were treated 3 times per weeks for 2 weeks. Results: PS pharmacopuntu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inguinal fat weight compared to left side inguinal fat pad. Decrease rate of PS pharmacopuncture was about 21%. In addition, the diameter of adipocyte in inguinal fat tissues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17% compared to saline-injected side. There was no sign of toxicity through whole experiment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indiates that PS pharmacopunture could be a material derived from natural herb as a lipolytic injection for decreasing localized fat.

Growth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omestic calla lily (Zantedeschia aethiopica)

  • Kyung Hye Seo;Myung Suk Ahn;Ji Hun Yi;Young Ran Lee;Yun-Im Kang;Youn Jung Choi;Jung Nam Suh;Hye Sook Jang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2호
    • /
    • pp.219-230
    • /
    • 2023
  • Calla lily is one of the most iconic and widely recognized ornamental plants. This study compared the extracts of 11 cultivars of domestic calla lily br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for their total polyphenol and antioxidant activities. Eleven cultivars were evaluated for their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as per the Manual for Agricultural Investig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form.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2,2'-azinobis (3-ethylbebzothiazoloine-6-sulfonic acid)-diammounium salt (ABTS+) and 1,1-diphenyl-2-picr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The plants have an average height of 63.80 ± 5.4 cm, average flower diameter of 7.2 ± 1.1 cm, and width of 12.4 ± 1.7 cm. On average, the diameter and width of leaves were 33.7 ± 3.5 cm and 20.0 ± 1.4 cm, respectively. Extracts of flowers and leaves in the 11 cultivars of white calla lily were compar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which are indicative of antioxidant activity, were higher in flowers than in leaves. When comparing by cultivar, we found that 'White Egg'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in both the flowers and the leaves. Additionally, we found that by part,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s was highest in flowers, and by cultivar, it was highest in the 'Swan' and 'White Egg' cultivars. Furthermore, the days to flowering showed correlations with ABTS+ radical scavenging, total phenolic contents (TP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TFC). Our results indicate that calla lily can be used as breeding material material according to its growth characteristics and as a natural antioxidant source.

Coated cysteamine, a potential feed additive for ruminants - An updated review

  • Muhammad Umar Yaqoob; Jia Hou;Li Zhe;Yingying Qi;Peng Wu;Xiangde Zhu;Xiaoli Cao;Zhefeng Li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2호
    • /
    • pp.161-172
    • /
    • 2024
  •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etter performance, and less gas pollution during rumen fermentation, there is a need to find a green and safe feed additive for ruminants. Cysteamine (CS) is a biological compound naturally produced in mammalian cells. It is widely used as a growth promoter in ruminants because of its ability to control hormone secretions. It mainly controls the circulating concentration of somatostatin and enhances growth hormone production, leading to improved growth performance. CS modulates the rumen fermentation process in a way beneficial for the animals and environment, leading to less methane production and nutrients loss. Another beneficial effect of using CS is that it improves the availability of nutrients to the animals and enhances their absorption. CS also works as an antioxidant and protects the cells from oxidative damage. In addition, CS has no adverse effects on bacterial and fungal alpha diversity in ruminants. Dietary supplementation of CS enhances the population of beneficial microorganisms. Still, no data is available on the use of CS on reproductive performance in ruminants, so there is a ne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using CS in breeding animals for an extended period. In this review, the action mode of CS was updated according to recently published data to highlight the beneficial effects of using CS in ruminants.

블랙초크베리 분획물로부터의 주름억제 효과에 대한 작용기전 (Mechanisms for Anti-wrinkle Activities from Fractions of Black Chokeberries)

  • 최은영;김은희;이재봉;도은주;김상진;김세현;박정열;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4-41
    • /
    • 2016
  • 학명이 Aronia melanocarpa인 블랙초크베리는 항산화, 항염증, 항암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블랙초크베리에 대한 collagenase inhibition effects와 산화적 스트레스에 유도된 matrix metalloproteinase(MMP), MAPkinase 그리고 AP-1의 발현 그리고/또는 인산화와 같은 분자생물학적 메카니즘을 조사하였다. Collagenase inhibition 효과는 블랙초크베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AE)이 500 μg/ml의 농도에서 77.2% 이상의 저해효능을 나타내었고 이는 대조군인 Epigallocatechin gallate의 결과(500 μg/ml에서 83.9%)와 비교해서 유의할 만한 결과였다.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ssay는 AE에서 가장 농도의존적으로 ROS 생성이 감소되었고, 75 μg/ml의 농도에서 약 70%로 가장 낮은 활성산소가 생성되었다. MTT assay 결과, H2O2에 유도된 CCRF 세포에 AE를 처치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특히, AE는 H2O2에 유도된 CCRF 세포에서의 MMPs (MMP-1, -3 그리고 -9), MAPK (ERK, JNK 그리고 p38) 그리고 AP-1 (c-Fos와 c-Jun)의 발현과 인산화를 억제하였고, pro-collagen type I의 발현은 증가시켰다. 따라서 블랙초크베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주름억제 및 콜라겐 생성의 효능이 있으며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 개발 산업에서의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화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s of Rosa rugosa Crude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n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 이현정;양지호;최미나;전성은;주선용;오정환;카라데니즈 파티;서영완;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79-988
    • /
    • 2022
  • 비만은 당뇨, 고혈압, 심근경색 등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이와 관련된 질환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비만 치료 및 예방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추세이며, 비만 치료제가 전 세계적으로 개발되고 있지만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여 시판이 중단되거나 장기복용이 금지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를 막기 위해 부작용이 적으면서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천연 소재를 활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해당화(Rosa rugosa)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서 토혈, 하리, 월경과다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항염증, 항산화 효과, 노화방지, 혈당 강하작용,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작용, HIV protease 저해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화 추출물 및 분획물 4종(H2O, n-BuOH, 85% aq. MeOH, n-Hex)의 지방세포분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여 Oil-Red O staining으로 지방생성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갯완두 추출물 및 분획물 처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 형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방세포분화에 관여하는 PPARγ, C/EBPα 및 SREBP1c와 같은 인자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 지방세포분화 조절인자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AMPK 신호전달경로를 통한 지방분화인자의 억제를 통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부터 해당화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비만 치료제의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시오갈피와 두충의 첨가 급여가 브로일러의 생산 능력, 혈장 생화학 지표 및 텔로미어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iberian Ginseng and Eucommia on Broiler Performance, Serum Biochemical Profiles and Telomere Length)

  • 손시환;장인석;문양수;김영주;이수희;고영현;강선영;강혜경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83-290
    • /
    • 2008
  • 가시오갈피와 두충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가진 약용 식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업용 브로일러를 대상으로 가시오갈피 잎과 두충 잎의 첨가 급여(0.5% 및 1%)가 개체의 생산 능력, 장기 무게, 혈장 생화학적 성분 및 텔로미어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험 전체 기간($4{\sim}35$일) 동안 체중, 증체량 및 사료 섭취량에서는 처리구 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사료 요구율에 있어서는 가시오갈피 첨가 급여구가 대조구 및 두충 첨가구에 비해 다소 저조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장기 무게에 있어서 간, 비장 및 흉선의 무게는 처리구 간 차이가 없었으나, F낭(bursa of Fabricius)의 무게는 가시오갈피 및 두충 첨가 급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혈액 생화적 성분 분석에서는 혈장 내 albumin, AST, ALT 및 total protein은 대조구와 처리구 간에 거의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triglycerides, cholesterol 및 gluocose 수준은 생리활성 물질 첨가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가시오갈피 및 두충 급여에 따른 각 조직 별 텔로미어 함량 분석에 있어 백혈구 내 텔로미어 함유율은 모든 첨가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높은 함량을 보이나 간, 심장, 정소 조직 간에는 처리구별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브로일러에 가시오갈피와 두충의 첨가 급여는 생산의 능력 저하 없이 개체의 면역 활성을 증진시키고, 텔로미어 길이의 감축을 상대적으로 완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저장온도와 기능성 필름의 기체 투과도가 다양한 크기의 퉁퉁마디 신선편이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Gas Permeability of Functional Packing Films on Storability of Fresh-cut Salicornia herbacea Classified by Size)

  • 백준필;이한종;최인이;정현진;손진성;김일섭;정천순;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5-181
    • /
    • 2013
  • 최근 신선 유통되는 퉁퉁마디는 식물 체내 수분 함량이 높고 조직이 단단하지 못해 저장성이 낮은 식물로 MA 저장을 통해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최근 새롭게 개발된 비천공 breathable(NPB) 필름을 적용하여 각기 $5^{\circ}C$$10^{\circ}C$로 저장하여 실제 유통 수준에서의 영향을 알아 보았다. 또한 신선 편이 제품으로의 유통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3cm, 5cm, 그리고 10cm로 각각 절단하여 저장성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10^{\circ}C$에 비하여 $5^{\circ}C$ 저장 조건이 NPB 필름을 적용 하였을 경우 저장력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는데 저장중 생체중의 감소율은 $5^{\circ}C$에서 25일 저장 종료일까지 2% 이내의 결과를 보였고 $10^{\circ}C$에서는 저장 15일 후에 100,000cc NPB 필름을 제외하고 2% 이내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5^{\circ}C$와 동일 기간인 15일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5^{\circ}C$가 1% 이내의 감소율을 나타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동일기간 동안 측정한 이산화탄소와 산소 농도의 변화에서는 5,000cc NPB 필름이 MA 저장시의 특징을 보였다. 저장중 포장내 에틸렌 농도는 진공 필름에서 NPB 필름처리들보다 10~100배까지 높았으나, 크기별 차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각기 $5^{\circ}C$에서 25일간 그리고 $10^{\circ}C$에서 15일간 저장한 이후 항산화 활성을 측정, 상호 비교한 결과 $5^{\circ}C$$10^{\circ}C$보다 두배 이상의 항산화 활성도를 나타내었고 100,000cc NPB 필름에서 높은 활성도를 보였고 크기별로는 10cm 크기가 활성도가 낮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종료후 관능검사를 통한 외관품질과 이취를 평가한 결과 $5^{\circ}C$ 처리와 5,000cc 필름을 적용한 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하여 $5^{\circ}C$, 저장시 5,000cc NPB 필름을 MA 저장에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만 실제 유통 현장에서 사용되는 온도조건이 $10^{\circ}C$임을 고려하면 $10^{\circ}C$ 저장 시 10cm 크기에는 100,000cc NPB 필름이 단기유통이라는 측면에서 적용이 가능할 것 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