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nt Effect

검색결과 646건 처리시간 0.035초

고려인삼의 방사선 방어효과에 대한 연구현황과 전망 (Radioprotective Potential of Panax ginseng: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ives)

  • 남기열;박종대;최재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87-299
    • /
    • 2011
  • Pharmacological effects of Panax ginseng have been demonstrated in cardiovascular system, endocrine secretion and immune system, together with antitumor, anti-stress and anti-oxidant activities. Modern scientific data show protective effect of ginseng against bone marrow cell death, increased survival rate of experimental animals, recovery of hematopoietic injury, immunopotentiation, reduction of damaged intestinal epithelial cells, inhibition of mutagenesis and effective protection against testicular damages, caused by radiation exposure. And also, ginseng acts in indirect fashion to protect radical processes by inhibition of initiation of free radical processes and thus reduces the radiation damages. The research has made much progress, but still insufficient to fully uncover the action mechanism of ginseng components on the molecule level. This review provides the usefulness of natural product, showing no toxic effects, as an radioprotective agent. Furthermore, the further clinical trials on radioprotection of ginseng need to be highly done to clarify its scientific application. The effective components of ginseng has been known as ginsenosides. Considering that each of these ginsenosides has pharmacological effect, it seems likely that non-saponin components might have radioprotective effects superior to those of ginsenosides, suggesting its active ingredients to be non-saponin series. These results also show that the combined effects of saponin and non-saponin compon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adioprotective effects of ginseng.

미숙감귤의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n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 of immature fruits from Citrus unshiu Markovich)

  • 최문열;박해진;김재수;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7-85
    • /
    • 2021
  •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 of immature fruits from Citrus unshiu Markovich to mature them on antioxidative and antiaging-related enzyme activities in vitro. Methods : Fruits from Open field-cultivated C. unshiu Markovich (ripe and unripe fruits of Citri) made a purchase in Jeju island. We measured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mature C. unshiu Markovich (MC) and immature C. unshiu Markovich (IMC) 70% ethanol extract. DPPH free radical, ABTS radical,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both extracts were determined. Also, reducing power, SOD-like activities, elastase inhibition, and collage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these extract were assayed at 5, 1, 0.5, and 0.1 mg/㎖. Results :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the ethanol extract of IMC were higher than those of MC (26.99 ± 0.89 mg/TAEg).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in them were very similar to both extract (MC; 7.25 ± 0.4 mg/RUEg and IMC; 7.44 ± 0.18 mg/RUEg).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BTS radical scavenging capacity, reducing power, and SOD-like activities of IMC-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ose of MC group in all treated concentrations. Particularl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ies in IMC-treated group at 5 mg/㎖ showed similar with positive control group. Besides, IMC extract at 5 mg/㎖ concentration surpassed positive control (BHA or Vit. C) in SOD-like activities and ABTS radical scavenging capacity.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C ethanol extract may be used as a natural antioxidant and a antiaging material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cosmeceuticals.

소시호탕(小柴胡湯)이 thioacetamide로 유발된 간섬유증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siho-tang on a Thioacetamide-induced Liver Fibrosis Mouse Model)

  • 이세희;오민혁;신미래;이지혜;노성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1223-1236
    • /
    • 2021
  • Objectives: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siho-tang on thioacetamide (TAA)-induced liver fibrosis in mice and to elucidate its underlying mechanisms. Methods: The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Normal mice (Normal), TAA-induced control mice (Control), TAA-induced and silymarin-treated (50 mg/kg) mice (Silymarin), and TAA-induced and Sosiho-tang treated (200 mg/kg) mice (SSHT). Liver fibrosis was induced via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TAA three times a week for 8 weeks. Silymarin and Sosiho-tang were concomitantly administered for 8 weeks. Serum and liver tissues were then collected and the anti-oxidant and inflammatory protein levels in the liver tissues were evaluated using western blotting. Results: SSHT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s of AST, ALT, ammonia, and MPO in the serum. SSHT also significantly down-regulated liver NADPH oxidase and regulated the Nrf2/Keap1 signaling pathway. SSHT treatment downregulated the liver NF-κB levels and suppressed inflammatory cytokines. SSHT treatment also decreased bile acid-related factors, such as CYP7A1 and NTCP, and fibrosis-related factors, such as α-SMA and Collagen I. Conclusions: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SSHT administration suppressed the progression of liver fibrosis by activating the Nrf2/Keap1 pathway and inhibiting NF-κB.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에 관한 연구(II)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Jeju Native Plant Extracts(II))

  • 박수남;김진영;양희정;이근하;전소미;안유진;원보령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5-173
    • /
    • 2007
  • 선구 연구로부터 저자들은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세포보호 효과에 대한 결과의 일부를 이미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나머지 37종의 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미백 그리고 주름생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DPPH)을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으로 인한 luminol의 화학발광을 이용한 소거 활성, 사람 적혈구를 대상으로 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활성산소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측정으로는 각각 tyrosinase,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free radical의 소거 활성($FSC_{50}$)은 소귀나무 수피(Myrica rubra, 5 ${\mu}g/mL$),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 8 ${\mu}g/mL$)에서 높게 나타났고, 활성산소 소거 활성($OSC_{50}$)은 상수리나무 잎(Quercus acutissima)과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에서 0.009 ${\mu}g/mL$로 높게 나타났으며, 세포보호 효과(${\tau}_{50}$)는 50 ${\mu}g/mL$에서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 895 min), 버드나무 줄기(Salix koreensis, 640 min)에서 크게 나타났다. 200 ${\mu}g/mL$에서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소귀나무 수피(Myrica rubra, 77.8%),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버드나무 줄기(Salix koreensis, 76.2%)에서 큰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광대싸리 수피, 소귀나무 수피, 상수리나무 잎, 버드나무 줄기, 동백나무 잎/줄기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제조를 위한 원료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에 제품화를 위하여 좀 더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의 항산화능과 Raw 264.7 대식세포의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capacity and Raw 264.7 macrophag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Tenebrio Molitor)

  • 유재묘;장재윤;김현정;조용훈;김동인;권오준;조영제;안봉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90-89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갈색거저리의 추출물에 따른 약리활성에 대한 검증 및 효능 평가이다. 갈색거저리의 항산화, 항염증에 대하여 효과를 확인 하였다. 염증 반응은 자극이 가해지면 histamin, serotonin, prostaglandin과 같은 혈관 활성물질에 의해 혈관 투과성이 증대되어 염증을 유발하고 cytokine, free radical, lysosomal enzyme 등 다양한 매개 인자가 관여한다. 자극에 의한 macrophage cell의 염증반응은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interleukin-6(IL-6), $interleukin-1{\beta}$($IL-1{\beta}$)와 같은 pro-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이 유도되고,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와 cyclooxygenase-2(COX-2)에 영향을 받는 유전자의 발현을 자극하게 되어 nitric oxide(NO) 및 $PGE_2$등의 염증 인자가 생성된다. 이에 따라 갈색거지리 추출물의 항염증에 대한 연구를 위해 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인 iNOS, COX-2, $PGE_2$, MAPKs의 단백질 발현억제 작용을 확인 하였다. 그 결과 TDW 처리군에서 iNOS 발현율이 19.7%, COX-2의 발현율은 23.2%의 값을 나타내었고, $PGE_2$의 저해 경로를 보기 위해 COX-2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측정한 결과 최고 농도인 $100{\mu}g/mL$에서는 약 60%의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TDW는 염증 생성 기전에 작용하여 이 활성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효과를 줄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연구해볼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생쥐 뇌소교세포주에서 웅담추출활성성분(우르소데옥시콜린산)의 항산화 및 세포보호효과 (Anti-oxidative and Cytoprotective Effect of Ursodeoxycholic Acid, an Active Compound from the Bear's Gall, in Mouse Microglia)

  • 주성수;김성근;유영민;류인왕;김경훈;이도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52-455
    • /
    • 2006
  • 퇴행성뇌질환인 치매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불분명하나 빠른 뇌세포사멸이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다량 생성되는 활성산소에 의한 뇌세포사멸이 주요원인인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웅담활성성분인 UDCA의 세포보호 및 항산화효과로부터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억제 또는 치료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하였고 뇌의 대식세포인 소교세포(microglia)를 cell model로 하였다. MTT 실험결과 UDCA에 의한 세포보호효과는 $7.5\;{\mu}g/mL$ 주변 농도에서 관찰되었고 NO에 의한 세포손상 유도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Fig. 2). 이와 같은 결과는 형광현미경하에서 보다 명확히 관찰되어(Fig. 3) 결국 UDCA에 의한 항세포사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UDCA의 항산효과는 활성산소인 $H_2O_2$의 단백질 분해 저해능을 관찰하는 금속이온촉매 산화효과를 통해 확인하였다(Fig. 4). 즉, UDCA는 농도의존적으로$(1{\sim}100\;{\mu}g/mL)$ 단백질 분해억제능을 보였으며 $10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와 유사한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UDCA의 항산화효과는 $10\;{\mu}g/mL$ 전후에서 관찰되어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는 농도$(7.5\;{\mu}g/mL)$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고 따라서 UDCA의 농도범주는 일괄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웅담활성성분인 UDCA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여온 간질환 및 소화계질환의 보조요법제의 개념을 벗어나 항염 및 항산화효과에 잠재능을 가지며 나아가 뇌신경세포를 보호하고 세포사를 차단하여 알츠하이머와 같은 퇴행성뇌질환 조절 후보물질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나 보다 심도 있는 in vivo 및 임상적 차원의 연구가 요구된다.

가시박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icyos angulatus L. extract)

  • 김윤아;유선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36-544
    • /
    • 2017
  • 생태계 교란 식물로 알려진 가시박 추출물을 활용하여 생리 활성 효과를 알아보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 방법으로는,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DPPH radical 소거능, 세포 내 ROS 생성 억제, NO 및 COX-2 발현 억제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 결과, 가시박 추출물의 21 mg/g, 0.72 mg/g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 하였다. RAW 264.7세포와 HDF세포에서 $100{\mu}g/mL$ 농도까지 유의한 세포 독성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HDF세포에서의 농도 의존적인 ROS 생성 억제와 RAW 264.7 세포에서의 높은 NO 생성 억제와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세포 내 ROS 생성 억제와 NO 생성 억제,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활성을 통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의 효과를 가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화장품소재로서의 인삼복합물의 항염증 및 미백효능 검증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s of ginseng complex as a cosmetic material)

  • 장영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25-335
    • /
    • 2018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인삼복합물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인삼복합물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염증, 미백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는 인삼(A), 상황(B), 리기다소나무(C)를 각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A)1 : (B)1 : (C)0.5의 비율로 혼합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대식세포(RAW 264.7 cells)내에서 시료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MTT assay를 이용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 및 염증관련 단백질 및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멜라노마(B16F10 cell)를 이용해 MTT assay를 통한 샘플의 독성평가, cellular tyrosinase 저해율 측정 및 멜라닌 생합성량을 측정하였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내에서 시료의 nitric oxide 저해 활성 결과는 $25{\mu}g/mL$ 농도에서 71.2%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western blot 실험결과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 활성 억제 실험에서 인삼복합물의 농도 $50{\mu}g/mL$에서 36.8%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멜라닌 생합성 억제 평가 결과에서 농도 $50{\mu}g/mL$에서 47.8%의 감소를 나타냈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인삼복합물의 우수한 항염증, 미백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안전한 천연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두부산물의 지방세포분화 유도유전자의 발현저해 및 전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By-Product Extracts from Soybea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Obesity-Related Genes in 3T3-L1 Adipocytes)

  • 최미선;김지인;정진부;이수복;정재남;정형진;서을원;김택윤;권오준;임재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8-367
    • /
    • 2011
  • 대두는 여러 종류의 파이토케미컬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에 의한 항산화, 항염증, 항비만 효능 등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대두 부산물 성분의 비만억제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Oil-Red O 염색법과 정량 PCR을 통하여 지방세포분화억제 및 지방생성억제 효능을 분석하였다. 분화유도물질인 isobutylmethylanthine (IBMX), dexamathasone 및 insulin 처리에 따른 지방세포 분화유도와 함께 대두부산물-침지수, 순물, 두유-의 처리는 세포손상 없이 지방세포분화 연관 유전자-PPAR${\gamma}$, Fabp4, Scd1, adipsin, apolipoprotein (APOE), adiponectin (ADIPOQ)-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였다. 또한 대두에서 잘 알려진 isoflavone -daidzein과 genistein- 분석을 통하여 대두 부산물에 포함된 두 종류의 isoflavone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대두부산물에는 지방세포분화유도 유전자의 발현억제를 통한 전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을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두부생산 시 발생하는 대두부산물은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능을 바탕으로 이를 이용하는 건강기능 식품제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송이(Tricholoma matsutake Sing.)의 ABTS Radical 소거능과 암세포 생장 억제효능의 검색 (ABTS Radical Scavenging and Anti-Tumor Effects of Tricholoma matsutake Sing. (Pine Mushroom))

  • 김영언;양지원;이창호;권은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55-560
    • /
    • 2009
  • 송이는 맛과 향기가 뛰어난 고급 기호식품이며 고부가가치작물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냉동송이의 해동 시에 유출되는 송이즙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생리활성을 탐색하고자 항산화 활성 및 항암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송이즙의 농도 1, 10, 50 mg/mL에서 각각 1.19, 11.24, 54.99 mg GAEs/100 mL로 이는 해송이버섯의 열수추출물과 비교할 때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ABTS 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고, 시료농도50 mg/mL에서 양성대조군인 $Trolox^{(R)}$ 1 mg/mL 일때와 비슷한 수준의 ABTS radical 소거능을 보여 항산화능을 가진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이즙의 농도에 따른 암세포의 증식억제효과를 조사하고자 MTT법을 이용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4가지의 암세포에 대한 항암효과는 송이즙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식억제효과가 더 뚜렷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결장암세포주인 HT-29의 경우 다른 세포주에 비해 저농도($200{\mu}g/mL$)에서도 50% 정도의 억제효과가 있으며 그때의 $IC_{50}$ value가 $232.5{\mu}g/mL$로 계산되어 송이즙은 결장암세포주에 대해 우수한 항암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송이즙에서 항산화 활성과 항암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신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