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Jamming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4초

초기 거리오차 보상 피동 거리 추정 필터 (A Passive Ranging Filter with Initial Range Error Compensation)

  • 황익호;정상근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5-19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jammer를 향하여 호밍하는 대함 유도탄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는 피동 거리추정필터를 제안하였다. 최근의 jammer는 상당히 먼 거리에서 jamming이 가능하므로, 제안된 필터는 필터 초기치 오차가 큰 경우에도 이를 신속히 제거하고 잘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함대함 유도탄의 경우, 표적에 비하여 유도탄의 운동이 훨씬 주도적이므로 교전상황은 상대거리와 시선변화율을 상태변수로 하는 2차 시스템으로 모델링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같은 2차 모델에 근거한 확장칼만필터를 구성하고,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초기치 오차 추정 알고리듬을 부가함으로써 새로운 피동 거리추정필터를 유도하였다. 제안된 필터는 필터의 초기치 오차가 상당히 큰 경우에도 적은 계산량으로 우수한 거리추정성능을 보여주었다.

산림자원 관리를 위한 항 재밍 기능을 보유한 무인항공기국 추적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AV Tracking Method with Anti-Jamming Function for Forest Resource Management)

  • 정진우;신용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245-1258
    • /
    • 2023
  • 산림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정보획득을 위해서는 서로 다른 센서를 장착한 다수의 무인항공기가 동시에 운영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지상제어국 안테나는 지속적으로 대국에 대한 추적을 수행해야 할 뿐만 아니라 타 무인항공기에 대한 전파간섭 영향을 억제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상배열안테나 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축된 지상제어국에 있어, VPR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추적 및 전파간섭 억제를 위한 빔 형성 기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다양한 무인항공기 운영 환경에 대한 모의실험 결과, 제시된 기법을 기반으로 운항중인 무인항공국에 대한 지속적인 추적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전파간섭원에 대해 지속적인 패턴 널을 형성하여 전파간섭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컨테이너 크레인의 흔들림 억제 제어기 설계 (A Design of Anti-sway Controller for Container Crane)

  • 손정기;권순재;박한석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1-59
    • /
    • 2003
  • The recent amount of container freight continuously has been increased, but the low efficiency of container crane causes jamming frequently in transportation and cargo handling at port. It is required that the working velocity and safety are improved by control of moving the trolley as quick as possible without large overshoot and any residual swing motion of container at the destination. In this paper, a LQ Fuzzy controller for a container crane is proposed to accomplish an optimal design of improved control system for minimizing the swing motion at destination. In this scheme a mathematical model for the system is obtained in state space form.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ontroller is verifi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

  • PDF

불법 드론 대응을 위한 저고도 드론 탐지 기술 동향 (Technical Trends on Low-Altitude Drone Detection Technology for Countering Illegal Drones)

  • 이인재;최상혁;주인원;전진우;차지훈;안재영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7권1호
    • /
    • pp.10-20
    • /
    • 2022
  • A drone without attaching guns or bombs can be a dangerous weapon, since its motor speed is greater than 3000 rpm, which is similar to that of a mower powered by a LiPo battery. The anti-drone system is the only means of detecting and neutralizing drone attacks. Many defense companies around the world provide solutions using various types of equipment (for example, radar, cameras, jamming guns, and net guns). ETRI has also developed a Low-Altitude Drone Detection (LADD) system consisting of Ku-band radar and an Electro-Optical/Infra-Red (EO/IR) camera. In this paper, we summarize recent technical advances in anti-drone systems around the world and introduce the features and describe the performance of the LADD system.

NCW대비 군 위성통신 구조 분석 (An Analysis of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structure for NCW)

  • 박우철;차재룡;김재현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1-7
    • /
    • 2009
  • 본 미래 전쟁 양상은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전쟁수행 여건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정보우위와 정보전이 중요시되고 네트워크 중심전(Network Centric Warfare) 등 새로운 전쟁수행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군 위성통신체계는 미래 NCW 전장환경에서 전장정보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하며, 전장의 광역화, 자동화, 신속화 개념을 지원하고, 광역성, 이동성, 생존성 및 융통성이 보장된 전천후 핵심전략 통신체계이다. 이러한 군 위성통신시스템은 실시간 전장정보전송을 위한 광역 대용량 링크, 생존성, 이동간 통신을 제공하는 체계로 분류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통합하여 지원하는 미군의 차세대 TSAT체계의 주요 운용개념과 핵심기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NCW 대비한 차세대 군 위성통신체계 상위 구조는 재밍이나 간섭 등의 채널환경에 최적으로 적응하여 서비스가 가능한 전송율, 항재밍 능력, 망 제어 및 망 관리 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고속 이동 차량, 초소형단말, 초고속 무인기 등의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해야 하는 등 향상방안을 제안하고, 또한 이러한 체계 구조를 위한 소요기술로 적응형 다중안테나, 레이저 링크, 차세대 항재밍 waveform을 제안한다

  • PDF

레이다 기반의 드론 탐지 기법 연구 (Research on the drone detection based on the radar)

  • 문민정;송경민;유수진;심현석;이우경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99-103
    • /
    • 2017
  • 오늘날 드론의 대중화와 드론 관련 산업의 확장 등으로 인하여 드론 보급이 민 군에 걸쳐 증가하였고, 이와 더불어 보안, 안전사고, 치안 안보 위협 등의 우려도 함께 커지고 있다. 드론은 크기가 작고 반사도가 낮은 재질로 되어 있어 일반적인 센서로는 탐지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에, 드론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건 및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드론의 탐지와 위험 요소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드론 탐지 기법을 분류하였다. 또한 CW 레이다를 기반으로 한 드론 탐지 실험을 통해, 마이크로 도플러의 패턴을 분석하여 드론 탐지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국가중요시설 방호를 위한 안티드론 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nti-Drone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Important Facilities)

  • 황순필;김두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247-257
    • /
    • 2020
  • 본 연구는 범죄 집단이나 테러리스트 등 악의적 의도로 사용되는 드론으로부터 국가중요시설 방호를 위한 효과적인 안티드론 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안티드론 시스템에 관한 기술 및 정책 보고서, 제조업체의 공개 자료, 학술 연구논문을 검토하고, 드론 관련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안티드론의 복합적인 대응체계 구축과 관련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탐지체계는 다양한 센서의 장단점을 보완하여 탐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중첩·혼합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무력화 수단은 소프트킬 방식과 하드킬 방식을 배비하여 작전환경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융통성을 확보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말해 불법드론 사전관리체계 정립, 탐지자산 혼합 및 중첩운용, 적합한 대응방안 결정, 무력화 수단 다중배비 등이다. 이러한 중첩·복합적 안티드론체계 운용을 통한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방호체계 구축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국내 중형 통신위성의 발전 방안 (A Study of Mid-sized Communication Satellite in Korea)

  • 우형제;이대일;한상우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04-109
    • /
    • 2016
  • 해외 제작으로 개발된 무궁화위성의 상용 중계기 기술을 시작으로 위성통신의 중계기술은 Ku 대역 및 Ka 대역의 우주인증용 탑재체 구성부품의 개발을 거쳐 천리안위성 1호에 국내 기술로 개발된 Ka 대역 탑재체를 성공적으로 탑재하여 운용함으로써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군용 위성통신은 능동중계기인 Dehop/Rehop 중계기를 탑재한 무궁화위성 5호의 아나시스(ANASIS) 체계로써 시작되어, 항재밍/저피탐 기능을 갖춘 대전자전 중계기(DAT)와 통신용량 증가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디지털 중계기(DCAMP)의 탑재가 개발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되는 정지궤도 위성의 개발현황을 살펴보고, 탑재 개발되었던 상용 및 군용의 중계기술을 토대로 국내 군 위성통신의 개발 방향을 논하고자 한다. 제한된 주파수 자원을 고려할 때, 평시에는 다양한 중용량의 군 위성통신 신호를 중계하고 준 전시에는 모드를 변경하여 지능적인 고기동 전술 재밍 신호에 대응할 수 있는 전장적응형 간섭회피의 겸용 중계기술이 주요할 것이다. 이러한 주파수 도약 및 중용량 겸용의 중형급 군 통신위성이 국내의 자립 기술로써 개발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고 있다고 사료가 된다.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IS-OFDM 시스템의 간섭 성능 분석 (Anti-Interference Analysis of IS-OFDM using the Frequency Diversity)

  • 김상우;박종현;유흥균;이상태;정순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030-103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IS-OFDM(Interference Suppres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과 일반 OFDM 시스템을 비교 분석하였다. 입력된 IS-OFDM의 각 병렬 브랜치 시퀀스로 곱해진 뒤 모든 부반송파에 분배되고, 각 부반송파는 주어진 프레임에서 각 병렬 브랜치의 심볼 조각들의 합으로 이뤄진 정보를 전달한다. 한 부반송파 내에 포함된 모든 심볼들은 직교 시퀀스로 구별된다. IS-OFDM은 주파수 다이버시티 특성을 가지며 간섭에 강하다. 시스템의 성능분석은 협대역 간섭과 하모닉 잡음 환경에서 각각 BER 성능을 분석하였다. 협대역 간섭에 대한 성능분석 결과, 일정한 대역폭의 협대역 간섭인 경우는 JSR(jamming to signal power ratio)이 -10∼+10 dB로 증가할 때, 낮은 JSR에서는 IS-OFDM이 우수하며, JSR이 증가되면 그 성능차가 작아진다. 그리고 일정 JSR에서 협대역 간섭의 대역폭이 증가할 때도 역시 유사한 성능특성을 보인다. 하모닉 잡음에 대한 성능분석 결과 또한 JSR이 0 dB인 하모닉 잡음의 조밀도 h-rate이 0.01∼0.8로 증가할 때 위의 결과들과 유사한 성능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IS-OFDM의 성능이 일반 OFDM보다 간섭에 강건함을 알 수 있다.

광대역 항재밍 소형 GPS 안테나용 비 포스터 정합회로 (Non-Foster Matching Circuit for Wideband Anti-Jamming Small GPS Antennas)

  • 하상규;정경영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12호
    • /
    • pp.1112-1115
    • /
    • 2016
  • 위성항법시스템은 민간 및 군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용한 시스템이다. 그러나 지구 상공 2만 km 이상 원거리 송신 신호로 인한 수신 감도 미약으로, 위성항법시스템의 신호는 항재밍 공격에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항재밍 소형 GPS 배열안테나 설계를 위한 선행 연구로 전기적으로 초소형인 GPS 안테나 소자를 효율적으로 정합하는 비 포스터 정합회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기적으로 소형인 GPS 안테나는 높은 품질계수로 인해 방사 이득이 낮고, 광대역 정합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형 GPS 안테나용 비 포스터 정합회로(non-Foster matching circuit)를 설계하였다. Linvill의 교차 결합쌍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네거티브 임피던스 변환기 회로를 제작하였으며, 시간 영역에서 안정도 검증을 통해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비 포스터 정합회로를 이용한 소형 GPS 안테나 무반사실 측정결과, 전면방향이득이 17 dB 이상 개선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