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hocyanin

검색결과 818건 처리시간 0.052초

Effect of pH on the expression of RsMYB1 that regulates anthocyanin production in Petunia plants

  • Lee, Deuk Bum;Ai, Trinh Ngoc;Naing, Aung Htay;Kim, Chang Kil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30-35
    • /
    • 2018
  • We established an in vitro system to investigate transcription levels of the RsMYB1 gene expressed in T2 20-day-old transgenic Petunia plants (three independent lines: PhRs1, PhRs2, and PhRs3),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ose transcription levels and anthocyanin production at various pH values (3.0 to 8.0) for a period of 10 days. All the lines treated with pH 5.0-7.0 exhibited increased anthocyanin content and delays in growth compared to the wild-type (WT) seedlings.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enhancement of anthocyanin production in the transgenic lines was due to the upregulation of RsMYB1 transcription at various pH values. The results suggest that pH value can control expression of RsMYB1 which is associated with anthocyanin production.

오디와 포도의 안토시아닌 색소 물질 조성 비교 및 C3G 정량 (Quantification of Cyanidin-3-glucoside(C3G) in Mulberry Fruits and Grapes)

  • 김현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5
    • /
    • 2003
  • 최근 안토시아닌 색소의 생리활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천연색소 자원으로서 유망시되는 뽕나무 오디의 이용성을 높이고 생리활성물질로서 C3G(cyanidin-3-glucoside) 색소를 다량 함유한 뽕나무의 품종육성을 위하여 유전자원으로 보존되고 있는 뽕 계통에 대하여 오디를 수확한 후 색소를 추출, 분리 및 정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1. 오디 함유 anthocyanin 색소의 추출은 1% HCl-MeOH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기기로는 Shimadzu LC, Nova-pack $C_{18}$ Column(300${\times}$3.9 mm)을 사용하였다. 2. 오디와 포도에 존재하는 안토시아닌 색소의 조성 패턴을 비교한 결과, 오디는 C3G(cyanidin-3-glucoside) 단일 물질로 존재하는 반면, 포도는 여러 가지 안토시아닌 색소가 혼합되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오디와 포도의 계통별 C3G(cyanidin-3-glucoside) 함량을 분석한 결과, 포도에 비해 오디의 C3G함량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았다. 4. 이상의 결과 뽕나무 열매인 오디는 안토시아닌 색소의 존재형태, 이용부위 및 함량에 있어 천연색소 자원으로서 유망시되며, 색소자원으로 이용시 타작물보다 유리한 경제수종으로 판단된다.

검정콩 유전자원의 생육기별 안토시아닌 함량 분포 (Distribution of Anthocyanin Contents According to Growth Stages in Black-seeded Soybean Germplasms)

  • 이주영;황인택;최병렬;이은섭;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38-342
    • /
    • 2015
  • 검정콩 안토시아닌 고함유 유전자원 선발을 위해 총 1,032점의 유전자원을 개화기, 수확기, 등숙일수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유전자원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평균 11.67 mg/g이었고 범위는 0.54~23.45 mg/g으로 나타났다. 종류별로는 C3G가 평균 8.81 mg/g으로 비중이 가장 컸으며 그 다음이 D3G가 평균 1.78 mg/g이었고 Pt3G가 평균 0.79 mg/g으로 가장 적었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별 검정콩 유전자원 분포는 10~15 mg/g 범위가 371점으로 가장 많았고 20 mg/g이상인 유전자원은 30점이었다. 생식생장기 동안 생육시기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은 개화기와 수확기가 늦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등숙일수가 길수록 검정콩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밖에도 종실중이 큰 대립종이 소립종에 비해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머루(Vitis amurnesis Ruprecht) Anthocyanin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 1 보(第 1 報)] 머루 Anthocyanin의 분리(分離) 및 정량(定量) - (Studies on the Anthocyanins in Wild Vines (Vitis amurensis Ruprecht). - (Part 1)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Anthocyanins in Wild Vines -)

  • 황인경;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4호
    • /
    • pp.183-187
    • /
    • 1975
  • 우리나라 산간지방(山間地方)에 야생(野生)하는 머루 중(中)의 총(總) anthocyanin의 함량(含量)과 개별(個別) anthocyanin의 조성(組成)을 측정(測定)하였다. 머루로 부터 색소(色素)를 0.1% HCl methanol로 추출(抽出)하여 파장(波長) 538nm $({\lambda}max.)$에서 흡광도(吸光度)를 측정(測定)하여 총(總) anthocyanin 함량(含量)을 구(求)하였다. 추출액중(抽出液中)의 개별(個別) anthocyanin들은 paper chromatography로 분리(分離)하고 0.1% HCl methanol로 용출(溶出)하였다. 분리(分離)된 개별(個別) anthocyanin들의 용액(溶液)을 各己의 흡수극대(吸收極大) 파장(波長)에서 흡광도(吸光度)를 측정(測定)하여 조성비(組成比)를 구(求)하였다. 머루 중의 총(總) anthocyanin 함량(含量)은 신선물(新鮮物)의 g 당(當) 3.95mg이였다. 개별(個別) anthocyanin들의 조성비율(組成比率)은 다음과 같다. delphinidin-3-monoglucoside 12.5%, petunidin-3-monoglucoside 3.5%, cyanidin-3-monoglucoside 2.1%, delphinidin-3,5-diglucoside 10.1%, malvidin-3-monoglucoside 4.3%, petunidin-3,5-diglucoside 8.3%, cyanidin-3,5-diglucoside like 4.1%, malvidin-3,5-diglucoside 55.1%. 머루 중의 주(主) 색소(色素)는 malvidin-3,5-diglucoside이였다.

  • PDF

오미자 색소 추출물의 가열 변색에 대한 속도론적 연구 (Kinetic Study on the Color Deterioration of Crude Anthocyanin Extract from Schizandra Fruit (Schizandra chinensis fructus))

  • 조성빈;김현정;윤종일;전향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3-27
    • /
    • 2003
  • 건강기능성 식품소재로써 각광을 받고 있는 오미자의 특징적인 붉은 색소인 anthocyanin의 가열 변색에 대한 안정성을 연구하고자 오미자 조추출물(crude pigment extracts from Schizandra fructus)을 색소원으로 하여 가열 변색에 대한 지표로서 browning index(BI)를 이용하여 $80{\sim}100^{\circ}C$에서 kinetic parameter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H 2.0, 3.0, 4.0, 5.0 범위에서 pH가 높을수록 가열 변색 인자인 BI값이 감소하여 높은 pH에서 가열에 의한 변색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시사하였다. 지표인자인 BI와 가열시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열변색 반응은 2차 반응을 따랐으며 qinoidal base가 우세해지는 pH 5.0 구간을 제외하고는 pH가 높아짐에 따라 반응 속도상수(k)는 증가하여 높은 pH에서 가열 변색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Arrhenius식에 의해 계산된 오미자 anthocyanin 색소의 활성화 에너지(Ea)는 $24.87{\sim}42.54\;kJ/mol$이었으며, pH가 높아짐에 따라 활성화 에너지(Ea)값이 증가하여 온도 의존성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pH조건에서의 지수앞인자($k_0$)와 활성화 에너지(Ea)가 직선 상관관계를 보여 시험한 pH 범위에서 오미자 anthocyanin 색소의 가열 변색 기작은 모두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검정콩 종피 안토시아닌의 적정 추출 효율 및 안정성 (Extraction Efficiency and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s in Black Soybean Seed Coat)

  • 김선영;고광오;이영상;김희선;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spc호
    • /
    • pp.84-88
    • /
    • 2008
  • 검정콩 천연색소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여러 지표로 평가하였다. 검정콩 종피의 색소 추출은 0.1% HCl이 포함된 60% MeOH에서 가장 효율이 높았으며, 추출시간은 여러 가지 경제성을 고려할 때 24시간 추출 후 다시 1회 반복 추출하는 방법이 가장 우수하였다. 색소의 pH가 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끼쳤는데, pH 4이하에서는 안토시아닌의 안정성이 인정되었으나 pH 4보다 높아질 때는 급격하게 안정성이 파괴되었다. 차광처리가 안토시아닌의 저장성을 높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안정성이 급격히 떨어졌다. 한편, 냉장 조건의 유리병에서 안토시안을 보관하는 것이 안정성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Effect of salt stress on the anthocyanin content and associated genes in Sorghum bicolor L.

  • Jeon, Donghyun;Lee, Solji;Choi, Sehyun;Seo, Sumin;Kim, Changsoo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1호
    • /
    • pp.105-117
    • /
    • 2020
  • Abiotic stress i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plant productivity because it dramatically delays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One of the abiotic stresses, soil salinity, has an adverse effect on plant growth, particularly in areas where irrigation is necessary like semiarid Asia and Africa. Among several physiological parameters, anthocyanin accumulation is a valuable indicator of the condition of the plant, and it tends to increase under salt stress conditions because of its protective role in such an environment. Consequently, it may be important to search for well adapted genotypes for upcoming climate changes. Anthocyanins are known to have important roles in defense against biotic and abiotic stresses, providing important functions for protecting plant cells from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hocyanin accumulation between two Korean sorghum genotypes, Sodamchal and Nampungchal. The two genotypes were subjected to a regulated salinity condition, and the anthocyanin contents were evaluated in both. In Nampungchal, the anthocyanin content increased with 150 mM NaCl treatment during the time course of the experiment. However, the anthocyanin content of Sodamchal decreased in the same condition. The measured values of the anthocyanin content should be useful to identify the intensity of the salt tolerance in Sorghum bicolor L. Furthermore, we studied gene expression profiling of salt stress related genes with qRT-PCR.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mpungchal is a more tolerant genotype to salt stress compared to Sodamchal. This information should be useful for breeding salt-resistant cultivars in sorghum.

포도의 현탁세포배양에서 안토시아닌 생합성에 미치는 Salicylic Acid의 영향 (Effect of Salicylic Acid on Anthocyanin Synthesis in Cell Suspension Cultures of vitis vinifera L.)

  • 신동호;유상렬;최관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9-64
    • /
    • 1995
  • 포도의 현탁배양계에서 안토시안닌 색소의 축적에 미치는 salicylic acid (SA)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의 SA를 계대배양시에 함께 처리한 결과 1 $\mu$M 이하의 낮은 농도에서는 세포의 생장 및 색소의 축적에 있어서 어떤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5 $\mu$M와 10 $\mu$M의 농도에서는 세포의 생장은 일시적으로 억제되지만 색소의 축적은 크게 증가한다. 또한 20 $\mu$M의 고농도에서는 세포의 생장은 완전히 억제되어 세포가 죽기까지 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암배양 상태의 세포서도 SA을 처리해 주면, 암배양에 의한 안토시아닌 색소 생합성능의 저하는 회복되어, SA처리없이 광처리만 해준 세포보다도 더 높은 색소의 축적을 보였다. 5 $\mu$M의 SA를 계대배양후 시일별로 처리한 결과, 처리후 24 시간 이후에 급격한 색소의 축적을 나타내었지만 계대배양 후 2일째에 처리한 세포에서 가장 높은 색소의 축적를 보였으며, 처리후 5일째가 되면 SA는 무처리구의 암배양세포(7일째 세포)에 비해 4배 이상의 색소의 축적을 보였다.

  • PDF

Comparison of Anthocyanin Content in Seed Coats of Black Soybean [Glycine max(L.) Merr.] Cultivar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Tandem Mass Spectrometry

  • Shin, Sung-Chul;Lee, Soo-Jung;Lee, Sung-Joong;Chung, Jong-Il;Bae, Dong-Won;Kim, Soo-Taek;Sung, Nak-J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470-1475
    • /
    • 2009
  • The seed coat of the black soybean contains 3 main anthocyanins such as delphinidin-3-O-$\beta$-glucoside, cyanidin-3-O-$\beta$-glucoside, and petunidin-3-O-$\beta$-glucoside. As a part of our effort on discovering and breeding new black soybean cultivars which possesses specific anthocyanin component rich, we determined the anthocyanin profiles of the 2 cultivars recently developed soybean cv. Gaechuck #1 and cv. Gyeongsang #1,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and compared their content and identity with those of previously known 10 cultivar controls. The Cosmosil-$5C_{18}$-AR-II column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because of the best peak separation. The column temperature was set up at $35^{\circ}C$. The mobile phase consisting of water containing 0.5%(v/v) formic acid and methanol gave good separation between the 3 anthocyanin analytes and internal standard (quercetin 3-O-$\beta$-rutinoside) and peaks with suppressed tail. The MS/MS spectra of each individual anthocyanin standard were detected in positive electron spray ionization (ESI) modes. It was disclosed that the anthocyanin contents of the soybean cv. Gaechuck#1 and cv. Gyeongsang#1 are roughly higher than those of the 10 controls.

적갓김치 Anthocyanins의 항산화 특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Activities of Anthocyanins in Red Mustard Leaf Kimchi)

  • 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37-941
    • /
    • 2003
  • 재래종 적갓(Brassica juncea czerniak et coss)을 주재료로 담금하여 발효시킨 적갓김치(red mustard leaf kimchi, RML kimchi)의 crude anthocyanin(CA) 및 refined anthocyanin(RA) 획분들에 대한 항산화성을 규명하였다. 발효된 적갓김치는 산도 0.72(%), pH 4.6 그리고 crude anthocyanin 함량(건조물기준)은 49.4 mg/g이었다. 동결건조 적갓김치로부터 얻어진 조색소용액 (crude pigment solution)을 계통 추출분획하여 증류수 획분, methanol 획분, TFA-methanol (CA) 획분을 얻었으며, CA 획분을 계속 분획하여 정제된 5개의 정제된 RA 획분(Fr.1, Fr.2, Fr.3, Fr,4, Fr.5)을 얻었다.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linoleic acid의 autoxidation system에서 peroxide formation 억제능과 DPPH($\alpha$, $\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의 free radical 소거능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조색소용액 분획물 중 CA 획분이 항산화능이 높았고, CA 획분으로부터 얻어진 RA 획분 중 Fr.3이 가장 높은 항산화성을 보였다. 특히 Fr.3은 적갓김치의 대표적인 anthocyanin이었고 항산화 활성은 $\alpha$-tocopherel보다는 낮았으나 그것에 접근하는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그 활성은 지질의 과산화 억제능과 수소공여성에서 다같이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