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ona muricata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Effects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nnona muricata Leaf Extracts)

  • 김영완;김태훈;안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0-546
    • /
    • 2018
  •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잎으로부터 정제수, 에탄올, 메탄올로 추출하여 수율, 총 페놀성 화합물과 이에 속하는 flavonoid 함량, 미네랄 함량을 측정하고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 환원력, 간 조직의 microsome 생체막의 지질과산화 억제능 및 linoleic acid를 이용한 지질과산화, ${\beta}$-Carotene 탈색화 정도를 비교검토하였다. 그라비올라 잎의 수율은 수용성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1.76%),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그라비올라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높았으나 페놀성 화합물에 속하는 폴리페놀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미네랄 함량은 Ca, K, Mg, Na, Mn의 순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DPPH를 이용한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그라비올라 잎의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대조구인 BHT 0.05%와 가장 근접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Fe와 Cu의 환원력은 모든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그 중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Cu/Fe 환원력 활성이 매우 강하였다. 그러나 간 조직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지질과산화 억제활성과 TBA법으로 지질과산화를 측정한 결과, 그라비올라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보였다. ${\beta}$-Carotene bleaching에서 높은 lipid peroxyl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그라비올라 잎은 기능성 식품의 개발을 위한 천연 항산화제 소재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그라비올라 잎(Annona muricata L.) 조다당 분획분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Annona muricata L. on melanogenesis)

  • 김이은;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2-57
    • /
    • 2019
  • 본 연구는 그라비올라 잎 조다당 분획물(ALP)의 멜라닌 저해활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B16F10 melanoma 세포의 세포 생존율, tyrosinase 저해활성, 멜라닌 함량,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TRP-1, TRP-2, tyrosinase, MITF 및 p-CREB)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ALP의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을 측정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16F10 세포에 ALP를 처리하여 멜라닌 활성 저해능에 관하여 알아봤을 때, tyrosinase, 멜라닌 함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LP가 미백과 관련된 TRP-1, TRP-2, tyrosinase, MITF 및 p-CREB의 단백질 발현양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ALP는 멜라닌 저해 활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보아 기능성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emopreventive Potential of Annona Muricata L Leaves on Chemically-Induced Skin Papillomagenesis in Mice

  • Hamizah, Sulaiman;Roslida, A.H.;Fezah, O.;Tan, K.L.;Tor, Y.S.;Tan, C.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6호
    • /
    • pp.2533-2539
    • /
    • 2012
  • Annona muricata L (Annonaceae), commonly known as soursop has a long, rich history in herbal medicine with a lengthy recorded indigenous use. It had also been found to be a promising new anti-tumor agent in numerous in vitro studies. The present investigation concerns chemopreventive effects in a two-stage model of skin papillomagenesis. Chemopreventive effects of an ethanolic extract of A. muricata leaves (AMLE) was evaluated in 6-7 week old ICR mice given a single topical application of 7,12-dimethylbenza(${\alpha}$)anthracene (DMBA 100ug/100ul acetone) and promotion by repeated application of croton oil (1% in acetone/twice a week) for 10 weeks. Morphological tumor incidence, burden and volume were measured, with histological evaluation of skin tissue. Topical application of AMLE at 30, 100 and 300mg/kg significantly reduced DMBA/croton oil induced mice skin papillomagenesis in (i) peri-initiation protocol (AMLE from 7 days prior to 7 days after DMBA), (ii) promotion protocol (AMLE 30 minutes after croton oil), or (iii) both peri-initiation and promotion protocol (AMLE 7 days prior to 7 day after DMBA and AMLE 30 minutes after croton oil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in a dose dependent manner (p<0.05) as compared to carcinogen-treated control. Furthermore, the average latent perio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AMLE-treated group. Interestingly, At 100 and 300 mg/kg, AMLE completely inhibited the tumor development in all stages. Histopathological study revealed that tumor growth from the AMLE-treated groups showed only slight hyperplasia and absence of keratin pearls and rete ridges. The results, thus suggest that the A.muricata leaves extract was able to suppress tumor initiation as well as tumor promotion even at lower dosage.

Graviola (Annona muricata)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 of Graviola (Annona muricata) Leaf Extracts)

  • 조은희;김인혜;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8권2호
    • /
    • pp.198-20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Annona muricata 잎 추출물(graviola leaf extracts, GLE)의 항산화(antioxidant), 항균(antibacterial), 미백(whitening) 및 주름 개선(anti-wrinkle) 효과 등을 조사하였으며, 항산화(antioxidant) 효과에 대한 활성은 전자공여능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GLE는 농도 의존적으로 전자공여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E의 항균 활성은 paper disc법으로 측정하여 나타냈으며, 표준물질인 ampicillin과 비교하여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CCARM3115에서 비교적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GLE에 대한 미백(whitening) 효과 역시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GLE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tyrosinase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E 농도에 따른 L-tyrosine을 DOPA로 바꾸는 데 관여하는 hydroxylation 반응과 관련한 mushroom tyrosinase의 저해 활성은 표준물질인 arbutin에 비해 $125{\sim}250{\mu}g/mL$ 농도 범위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다. B16-F10 cell에 대한 melanin 생합성 저해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0{\mu}g/mL$에서 76.7%를 나타났다. 주름 생성과 관련하여서는 elastase 저해 활성 측정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동일한 농도에서 GLE 및 ursolic acid는 10.5, 56.5%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Annona muricata 잎 추출물(Graviola Leaf Extracts, GLE)이 항산화 및 미백 활성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백 화장품 성분으로서 과색소침착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시여지잎(Annona muricata L.) 에탄올 추출물과 조다당 분획분의 면역활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and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Annona muricata L.)

  • 김이은;이정희;성낙윤;안동현;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53-458
    • /
    • 2017
  • 본 연구는 가시여지 잎 에탄올 추출물(ALE) 및 조다당 추출물(ALP)의 면역 활성에 관하여 비교하기 위하여, 선천 및 적응면역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큰포식세포에 ALE 및 ALP를 처리하여 세포 증식률, 산화질소 분비능, 사이토카인(종양괴사인자, IL-6, $IL-1{\beta}$) 분비능 및 기전 분석을 통한 신호전달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ALE 및 ALP를 큰포식세포에 처리하여 면역활성에 관하여 비교하였을 때, 큰포식세포 면역활성의 바이오-마커인 산화질소, 사이토카인의 분비능 및 iNOS의 세포내 발현이 ALP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기전분석결과, ALP의 처리는 MPAKs의 인산화 및 $NF-{\kappa}B$의 핵내 이동성을 증가시켜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ALP의 높은 면역활성은 MPAKs의 인산화 및 $NF-{\kappa}B$의 활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잎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성분 분석 (Antioxidative Effects and Component Analysis of Graviola (Annona muricata) Leaf Extract/Fractions)

  • 박소현;김지민;김진환;오윤수;주동휘;이은영;신혁수;김아랑;이상래;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09-32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잎으로부터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을 제조하였고 이들 추출물/분획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1,1-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시험법을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루미놀 발광법을 이용한 총 항산화능 및 $^1O_2$ 소광 효과를 평가하였다.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의 라디칼 소거 활성($FSC_{50}$)은 각각 45.6, 29.8 및 $18.0{\mu}g/mL$이었고, 총 항산화능($OSC_{50}$)은 4.4, 1.1 및 $2.8{\mu}g/mL$이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총 항산화능은 수용성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L-ascorbic acid ($1.5{\mu}g/mL$)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1O_2$ 소광 상수 실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글리콘 분획은 비교물질로 사용된 L-ascorbic acid와 유사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1O_2$으로 유도된 적혈구 세포 손상에 있어서, 그라비올라 잎 50%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5-50{\mu}g/mL$)으로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에 사용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에 대하여 TLC 및 HPLC를 이용한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는 rutin (quercetin-3-O-rutinoside), kaempferol-3-O-neohesperidoside, nicotiflorin (kaempferol-3-O-rutinoside), p-coumaric acid을 확인하였다. 아글리콘 분획에서는 kaempferol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이 항산화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Relative Antineoplastic Potential of the n-butanolic Leaf Extract of Annona Muricata Linn. in Normal and immortalized Human Cell Lines

  • George, V. Cijo;Kumar, D.R. Naveen;Rajkumar, V.;Suresh, P.K.;Kumar, R. Asho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2호
    • /
    • pp.699-704
    • /
    • 2012
  • Natural products have been the target for cancer therapy for several years but there is still a dearth of information on potent compounds that may protect normal cells and selectively destroy cancerous cells.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cytotoxic potential of n-butanolic leaf extract of $Annona$ $muricata$ L. on WRL-68 (normal human hepatic cells), MDA-MB-435S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and HaCaT (human immortalized keratinocyte cells) lines by XTT assay. Prior to cytotoxicity testing, the extract was subjected to phytochemical screening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compounds with therapeutic potential. Their relative antioxidant properties were evaluated using the reducing power and $DPPH^*$radical scavenging assay. Since most of the observed chemo-preventive potential invariab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total phenolics present in the extract, their levels were quantified and identified by HPLC analysis. Correlation studies indicated a strong and significant (P<0.05) positive correlation of phenolic compounds with fre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xtract was moderately cytotoxic to normal cells with a mean IC50 value of 52.4 ${\mu}g$ when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or cancerous cells (IC50 values of 29.2 ${\mu}g$ for MDA-MB-435S and 30.1 ${\mu}g$ for HaCaT respectively). The study confirms the presence of therapeutically active antineoplastic compounds in the n-butanolic leaf extract of $Annona$ $muricata$. Isolation of the active metabolites from the extract is in prospect.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nnona muricata Leaf Ethanol Extracts)

  • 조은지;이정희;성낙윤;변의홍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81-687
    • /
    • 2017
  • 본 연구는 그라비올라 잎 에탄올 추출물(AME)의 항염증 효과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LPS에 의해 유도되는 대식세포 염증모델에 AME를 병용 처리하여 다양한 염증매개인자들의 분비능 및 염증억제 기전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LPS의 처리에 따라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 AME를 병용 처리하였을 때, NO 및 염증성 cytokine(IL-6, $TNF-{\alpha}$$IL-1{\beta}$)의 분비능이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ME의 처리에 따라 염증반응의 매개인자인 iNOS 및 COX-2 발현이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항염증 활성의 기전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염증성 단백질 발현의 전사인자인 $NF-{\kappa}B$와 MAPKs 신호전달 경로 억제를 통하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AME의 처리는 염증반응의 전사인자인 $NF-{\kappa}B$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iNOS 및 COX-2의 발현을 억제하고, 염증성 매개인자인 NO 및 cytokine(IL-6, $TNF-{\alpha}$$IL-1{\beta}$)의 분비를 억제한다고 판단된다.

ASSAY OF POTENTIAL ANTIMUTAGENICITY OF ETHNIC MEDICINAL PLANT EXTRACTS OF PAPUA NEW GUINEA BY USING SOS CHROMOTEST (E. coLi PQ 37)

  • K. Sundarrao;Jeho Yum;Chang, Il-Mo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51-155
    • /
    • 1991
  • Thirty six crude drug samples have been prepared from different parts of twenty five plants belonging to different families, and antimutangenic activities were studied by using SOS chromotest (E. coli PQ 37). The following crude extracts of PNG medicinal plants which had a appreciable antimutagenic activity against mitomycin C were: Artocarpus communis (stem bark), Cycas circinalis (leaves), Merremia peltata (leaves), Intsia palembanica (leaves), Annona muricata (stem bark), and Artocarpus altilis (root bar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