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onic

검색결과 953건 처리시간 0.034초

디젤오염토양 복원 효율 증진을 위한 음이온/비이온 계면활성제 토양세척공정에 초음파 적용 영향 (The Effect of Ultrasound Application to Anionic/Non-ionic Surfactant Aided Soil-washing Process for Enhancing Diesel Contaminated Soils Remediation)

  • 조상현;손영규;남상건;최명찬;김지형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7-254
    • /
    • 2010
  • Ultrasound and Surfactant aided soil washing process has been shown to be an effective method to remove diesel from soils. The use of surfactants can improve the mobility of diesel in soil-water systems by increasing solubility of adsorbed diesel into surfactant micelles. However, a large amount of surfactant is required for treatment. In addition, synthetic surfactants, specially anionic, are more toxic and the surfactant wastewater is hard to treat by conventional wastewater treatments even by AOPs. Ultrasound improves desorption of the diesel adsorbed on to soil. The mechanisms are based on physical breakage of bonds by hot spot, directly impact onto soil particle surface, the fragmentation of long-chain hydrocarbons by micro-jet and microstreaming in the soil pores. The use of ultrasound as an enhancement method in both anionic and nonionic surfactant aided soil-washing processes were studied. And all experiments were examined proceeded under CMC surfactant concentration, frequency 35 khz, power 400 W, Soil-water ratio 1:3(wt%), particle size 0.24 ~ 2mm and initial diesel concentration. 20,000 mg/kg. Combination with ultrasound showed significant enhancements on all the processes. Especially, nonionic surfactant Triton-X100 with ultrasound showed remarkable enhancements and diesel removal rate enhanced by ultrasound helps desorpting of surfactant adsorbed onto soils which prevented decreasing surfactant activity.

라텍스의 혼합비율이 도공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ing Ratio of Amphoteric and Anionic Latices on Print Quality of Coated Papers)

  • 강태근;박규재;이용규
    • 펄프종이기술
    • /
    • 제31권1호
    • /
    • pp.72-79
    • /
    • 1999
  • The binder plays important roles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pigment coating. In addition to its primary role of binding the pigment to the base paper, the binder performs several other important functions. The binder, also referred to as the adhesive, is the dominant in the aqueous phase of the formulation. Thus it plays a major role in determining viscosity, rheology, water release, and setting time for the coating. Latices based on styrene-butadiene dominate the market for synthetic paper coating binders. Consumption is high and is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due to the present tendeyncy toward high-solids coa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the impact of various parameters of latex(i.e. Tg, Particle size) affecting prontabilities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coated papers, as well as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n the use of amphoteric latex for improving print qualities of coated papers. Recently, amphoteric latices, Which are cationic at low pH's but turn anionic at high pH's have attracted interests of paper scientists and engineer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Tg(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particle size of amphoteric latex on the coating qualities. We also studied the effect of mixing ratios (Amphoteric / Anionic)of latex on the coating qualities. Our results showed that Tg and particle size of amphoteric latex have to be controlled for optimizing coated paper qualities. The formulation consisting of 10 parts of amphoteric latex and 5 parts of anionic latex gave best results in ink receptivity, smoothness, air permeability, opacity and sheet gloss. If the results hold for the industrial paper coatings, the amount of expensive amphoteric latex can be reduced while achieving best available printing quality.

  • PDF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Thin Layer Chromatography에 의한 분리 (Separation of Mixtures for Anionic and Nonionic Surfactants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 김태성;이재덕;윤여경
    • 공업화학
    • /
    • 제1권2호
    • /
    • pp.249-255
    • /
    • 1990
  •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신속한 분리 및 정성분석에 필요한 용매조건들을 조사하였다. 알킬사슬의 종류와 alkylene oxide의 분포에 따른 분리특성을 이용하여 polyoxyalkylene 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들을 간단히 정성 분석 할 수 있었으며, densitometer를 사용하여 polyoxyethylenated nonyl phenol의 ethylene oxide(EO)에 따른 분포를 쉽게 비교할 수 있었다. 일련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들을 $R_f$ 값과 발색되는 색으로 정성분석하였으며,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각각 분리하였다. 지방산계 계면활성제를 diester, monoester 및 미반응된 polyethylene glycol의 세 부분으로 농축 분리하여 그 혼합비율을 구하였다. 이상의 모든 실험은 전개용매를 80mm정도 전개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졌고 분리에 걸린 시간은 13-20분 정도였다.

  • PDF

글루코스를 함유한 음이온 하이드로젤의 pH 감응성 동적 팽윤거동 (pH-Sensitive Dynamic Swelling Behavior of Glucose-containing Anionic Hydrogels)

  • 김범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299-304
    • /
    • 2005
  • 음이온 하이드로젤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pH 감응성 팽윤거동 때문에 단백질 약물의 경구투여용 전달물질로써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이온 하이드로젤의 pH 변화에 따른 용매의 침투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하여 methacrylic acid와 2-methacryloxyehtyl glucoside를 공중합하여 P(MAA-co-MEG) 하이드로젤을 합성한 후 pH 변화에 따른 하이드로젤의 동적 팽윤거동을 관찰하였다. 용매의 침투 메커니즘이 Fickian 또는 non-Fickian 인지를 설명할 수 있는 특성지수 n을 $M_t/M_{\infty}=kt^n$ 관계식으로부터 계산하였다. 하이드로젤에 대한 용매의 침투 메커니즘은 주위 pH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젤의 $pK_a$ 보다 높은 pH인 7.0에서는 침투 메커니즘이 상대적으로 고분자사슬의 이완에 의한 지배를 많이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pH 7.0에서 고분자 이완에 의한 용매의 침투 메커니즘은 하이드로젤에 존재하는 카르복실산의 이온화에 기인한 것임을 ATR-FTIR 분광분석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Precise Synthesis of Dendron-Like Hyperbranched Polymers and Block Copolymers by an Iterative Approach Involving Living Anionic Polymerization, Coupling Reaction, and Transformation Reaction

  • Hirao Akira;Tsunoda Yuji;Matsuo Akira;Sugiyama Kenji;Watanabe Takumi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272-286
    • /
    • 2006
  • Dendritic hyperbranched poly(methyl methacrylate)s (PMMA)s, whose branched architectures resemble the 'dendron' part(s) of dendrimer, were synthesized by an iterative methodology consisting of two reactions in each iteration process: (a) a coupling reaction of u-functionalized, living, anionic PMMA having two tert-butyldimethylsilyloxymethylphenyl(SMP) groups with benzyl bromide(BnBr)-chain-end-functionalized PMMA, and (b) a transformation reaction of the introduced SMP groups into BnBr functionalities. These two reactions, (a) and (b), were repeated three times to afford a series of dendron-like, hyperbranched (PMMA)s up to third generation. Three dendron-like, hyperbranched (PMMA)s different in branched architecture were also synthesized by the same iterative methodology using a low molecular weight, functionalized 1,1-diphenylalkyl anion prepared from sec-BuLi and 1,1-bis(3-tert-butyldime-thylsilyloxymethylphenyl)ethylene in the reaction step (b) in each iterative process. Furthermore, structurally similar, dendron-like, hyperbranched block copolymers could be successfully synthesized by the iterative methodology using $\alpha$-functionalized, living, anionic poly(2-(perfluorobutyl) ethyl methacrylate) (PRfMA) in addition to $\alpha$-functionalized, living PMMA. Accordingly, the resulting block copolymers were comprised of both PMMA and PRfMA segments with different sequential orders. After the block copolymers were cast into films and annealed, their surface structures were characterized by angle-dependent XPS and contact angle measurements. All three samples showed significant segregation and enrichment of PRfMA segments at the surfaces.

사코진과 타우린을 이용한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합성 및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Anionic Surfactants Using Sarcosine and Taurine)

  • 조정은;신혜린;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0권1호
    • /
    • pp.102-107
    • /
    • 2019
  • 본 논문은 탄소 길이에 따른 지방족 알코올과 사코진과 타우린을 이용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으며, 합성한 계면활성제들의 구조를 $^1H$ NMR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합성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임계미셸농도는 $10^{-2}{\sim}10^{-4}mol/L$이며, 임계미셸농도에서의 표면장력 값은 21~39 mN/m이었다. Ross-Miles 방법에 의하여 탄소 12개일 때의 합성계면활성제가 좋은 기포력과 기포안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코진을 이용한 계면활성제는 대두유에서 타우린을 이용한 계면활성제는 벤젠에서 유화력이 좋음을 알 수 있었다. 합성한 계면활성제의 물성은 임계미셸농도, 기포력, 유화력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다양한 커플링제로 표면 개질된 실리카들을 활용한 음이온성 염료 및 중금속의 제거 (Removal of Anionic Dyes and Heavy Metal Ions Using Silica Nanospheres or Porous Silica Micro-particles Modified with Various Coupling Agents)

  • 성소현;이민준;조영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9권4호
    • /
    • pp.596-610
    • /
    • 2021
  • 스토버 방식에 의한 구형 단분산 입자와 에멀젼 액적을 미세 반응기로 활용하여 합성한 주름진 표면을 갖는 실리카 입자 및 거대 기공을 갖는 다공질 실리카 입자를 커플링제로 표면 개질하여 흡착제로 활용하였다. 아민기를 포함하는 실란 또는 타이타네이트 커플링제를 활용하여 기존의 실리카 재료로는 흡착이 어려웠었던 중금속과 음이온성 염료에 대한 흡착력이 향상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음이온 염료에 대한 흡착에서는 APTES로 표면 개질한 다공질 실리카가 흡착 효율이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중금속 구리에 대한 흡착 결과는 AAPTS로 표면 개질한 다양한 실리카 분말에서 모두 100%에 가까운 흡착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코코넛 오일로부터 유래된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합성 및 계면 특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Carboxylate-Based Anionic surfactant from Coconut Oil Source and Characterization of Interfacial Properties)

  • 이예진;박기호;신희동;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32권3호
    • /
    • pp.260-26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코코넛 오일로부터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SLEC-3을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구조를 FT-IR, 1H-NMR 및 13C-NMR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합성한 계면활성제 SLEC-3에 대하여 임계 마이셀 농도, 정적 및 동적 표면장력, 유화력, 거품 안정성 등의 계면 물성을 측정한 결과, 기존 세제 제품에서 널리 사용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SLES와 비교하여 계면 활성이 보다 우수하고 계면 에너지를 낮추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SLCE-3에 대한 생분해성, 급성 경구 독성 및 급성 피부자극 시험을 실시한 결과, 저자극 및 저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제 및 세정제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이크로 버블 부상 공정에 의한 염료폐수의 색도 제거 (Colour Removal from Dyestuff Wastewater by Micro Bubbles Flotation Process)

  • 김명주;한신호
    • 공업화학
    • /
    • 제33권6호
    • /
    • pp.606-612
    • /
    • 2022
  • 수용액에서 수용성 염료를 소수성 염료로 전환시킨 후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침전 및 부상응집에 의한 염료를 제거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양이온성 염료에 음이온 collector를 반응시키며, 또한 음이온성 염료에 양이온 collector를 첨가하여 소수성으로 변환시켰다. 소수성으로 전환된 염료 용액을 회분식 반응기에 저장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시켜 색을 제거하였다. 염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Basic Yellow 1 및 Direct Orange 10을 사용하였으며, sodium dodecyl sulfate, oleic acid sodium salt 및 amine류와 같은 음이온 및 양이온 collector를 사용하면 색 제거에 효과적이었으며, 모든 색은 8분 이내에 제거되었다. 색 제거는 collector의 첨가량과 수용액 pH의 영향을 받으며, 염료농도에 비해 극히 소량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pH에 의존하였으나, 염료농도와 비슷한 collector 양을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pH에 의존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collector와 염료가 1:1M로 반응하여 소수성이 완전히 부여되어야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거품 지속성 증진방법 연구 (Enhancement in Stability of Foam Generated with Cationic Surfactant Solutions)

  • 김홍열;정승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1호
    • /
    • pp.735-742
    • /
    • 2012
  • 계면활성제 거품(foam)을 아예 형성하지 못하거나 foam 지속도가 매우 낮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foam 지속성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보조제로 첨가하는 방법, 콜로이드를 혼합하는 방법, 수용성 수지인 폴리비닐알콜을 첨가하는 방법 등 다양한 시도를 평가하였다. 각 5%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용액의 foam 지속도를 평가한 결과, Cationic starch (CA-ST)는 foam이 전혀 발생되지 않았지만, Methyl triethanol ammonium methyl sulfate distearyl ester (CEQ90)의 foam 지속시간은 평균 46초, Cet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CM29)는 평균 31초로서 매우 낮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Sodium dodecyl sulfate (SDS) 첨가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라 지속도가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Cationic starch (CA-ST)의 foam 지속도는 매우 크게 증가된 반면 CEQ90와 CM29는 오히려 감소되었다. 콜로이드($SiO_2$, kaolin) 혼합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foam 지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CA-ST는 콜로이드 혼합시 foam이 전혀 발생되지 않았고, CEQ90과 CM29는 콜로이드를 주입하였을 경우 주입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지속도가 높아졌다. 수용성수지인 polyvinyl alcohol (PVA)첨가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foam 지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CA-ST는 PVA혼합에서도 foam이 전혀 발생 되지 않았지만, CEQ90과 CM29는 PVA의 농도가 높을수록 foam 지속도가 증가하였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SDS와 콜로이드를 동시에 첨가한 결과 콜로이드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foam 지속도가 결정되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SDS와 PVA를 동시에 첨가하여 평가한 결과 PVA보다 역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foam 지속도가 결정되었다. Foam을 전혀 형성하지 못했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CA-ST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SDS 0.14%, PVA 2.5% 첨가 조건에서 foam 지속시간이 평균 8,780초로 획기적으로 증가하였고 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CEQ90 보다 약 8배 이상의 지속시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 foam이 형성되지 않거나 지속시간이 매우 짧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경우 foam형성에 도움을 받을 수 있고 colloid 및 PVA 등의 보조를 통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지속도를 혁신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foam 지속도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첨가농도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