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er-expression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33초

간호대학교 학생과 교육대학교 학생의 분노표현, 주장행동 및 자아존중감 비교 (Comparison of Anger Expression, Assertive Behavior, and Self-esteem between a Nursing Student Group and an Educational Student Group)

  • 성기월;곽오계;이원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
    • /
    • 2010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degree of anger expression, assertive behavior, and self-esteem between a nursing student group and an educational student group,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ir self-esteem. Methods: This study adopted the descriptive comparative design.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97 nursing students and 89 educational students from three nursing schools and one educational school in Daegu, Korea from November to December, 2008. Resul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ducational student group had a higher self-esteem score than the nursing student group.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nger expression, assertive behavior, and self-esteem. 3)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rade Point Average (GPA) and assertive behavior in the nursing student group with 17.2% variance, and with assertive behavior and anger-out in the educational student group with 24.1% variance. Conclusion: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of hurt, anger expression, assertive behavior, and self-esteem in nursing students and educationa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there, it is required to develop programs that prompt students' self-esteem.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m on the SNS Addiction Proneness in University Student: Medi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 정구철;문종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46-156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표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대학의 대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분노표현 및 SNS중독경향성을 조사하였으며, 매개효과는 Preacher와 Hayes(2008)의 SPSS Macro를 이용하여 붓스트랩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분노표현 및 SNS중독경향성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분노표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일상생활장애, 몰입 및 내성, 부정정서의 회피 간의 관계에서 분노표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와 가상세계지향성 및 금단 간의 관계에서 분노억제와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표현의 매개효과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분노표현방식,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Anger Expression, Social Support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 전원희;조명주;나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19-228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분노표현방식,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와 C시에 소재한 2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266명이었다.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수준은 중간 이상이었다. 대학생활적응은 일반적 특성 중 지원동기와 지각된 신체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활적응은 분노표현방식과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분노표출, 사회적 지지, 지각된 신체건강상태, 분노조절, 분노억제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27.1%이었다. 결론적으로, 적절한 분노표현과 사회적 지지 및 신체건강상태를 증진시키는 것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일 도시지역 여성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분노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Anger in Elderly Women)

  • 박미영;강현숙;김종임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54-361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tate anger and modes of anger expression in elderly women. Method: In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he participants were 143 elderly women who lived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04. Personal interviews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 Win 11.0 program. Results: The score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women was above the mean score, The dimension with the highest score was nutrition and the dimension with the lowest score was exercis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tate anger, anger-in(suppression of anger) and anger-out(expression of anger) in elderly wome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anger discussion. Conclusion: State anger, anger-out, anger-in as negative variable and anger discussion as a Positive variable were identifi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ger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when nurses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elderly women.

  • PDF

대학생의 학습된 무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Learned Helplessness in Undergraduates)

  • 최정;차보경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09-521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fine factors influencing learned helplessness in undergraduates.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external entrapment, internal entrapment, social support, trait anger, state anger, and anger expression were used to predict learned helplessness. Method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0.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 total of 241 undergraduates recrui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2 were included in the study. Results: Four factors of learned helplessness were founded to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xternal entrapment, internal entrapment, social support, trait anger, state anger and anger express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64% of the variance in learned helplessness was significantly accounted for by internal entrapment, social support and anger expressio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erceived entrapment and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predictors of learned helplessnes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learned helplessness in undergraduates,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intervention program with strategies to help in coping with and reducing perceived entrapments.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관계에서 자기역량지각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perceived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ysfuntional Anger Ex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 윤명희;김순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541-551
    • /
    • 2016
  • 본 연구는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관계에서 자기역량지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있는 중학교 1학년 413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자기역량지각, 분노표현양식을 측정하였고 SPSS 20.0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자기역량지각의 하위요인 모두와 부적상관을 보이고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과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 사이에서 역량지각의 하위요인인 신체외모와 품행역량 그리고 사회적 수용도와 운동역량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내면의 취약한 자기로 인해 자기애성향을 보일 수 있는 중학생의 특성을 이해하고 순기능의 분노표현으로 적응적인 생활을 위하는데 건강한 자기애 발현을 어떻게 도울 것인지에 대한 그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STAXI-K를 이용한 원발성 월경통 양상과 분노 감정 표현 정도와의 상관성 고찰 (Comparative Study of Primary Dysmenorrhea and Anger Expression by STAXI-K)

  • 문승준;김흥수;이창훈;이진무;조정훈;장준복;이경섭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40-147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imary dysmenorrhea. Methods: Intensity of dysmenorrhea was evaluated by scoring system of Andersch and Milsom. Anger state, trait, expression of the patients suffering from dysmenorrhea was measured by STAXI-K. And each value was analyzed by ANOVA testm as to intensity of dysmenorrhea, student t test as to existence of dysmenorrhea. Results: The numerical value of anger expression in the primary dysmenorrhea exist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primary dysmenorrhea non-existent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numerical value of anger expression in the groups classified as intensity of primary dysmenorrhea, the value of three positiv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egative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expression and primary dysmenorrhea. But there was no clue to find out their causal relationship, because this study was cross-sectional. So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prove the causality between them. And more precise scale has to been developed to evaluate various type of anger accurately.

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분노, 분노표현 유형의 관계 (The Relation Among Parenting Stress, Anger and Anger Expression in Infant's Mothers)

  • 박동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70-1177
    • /
    • 2012
  • 본 연구는 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분노, 분노표현 유형 정도를 파악하고 분노표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K시의 유치원과 어린이 집에 재원하고 있는 3-6세 아동의 어머니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통계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양육스트레스의 평균 점수는 2.32점이었고, 상태분노 1.36점, 특성분노 1.85점으로 나타났다. 분노표현 유형의 하위척도인 분노표출의 평균 점수는 1.84점이었고, 분노억제 1.75점, 분노조절 2.31점으로 나타났다. 양육스트레스는 상태분노, 특성분노, 분노표출, 분노억제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고 분노조절은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상태분노는 특성분노, 분노표출, 분노억제와 정적상관관계, 분노조절은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특성분노는 분노표출, 분노억제와 정적상관관계, 분노조절과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분노표출은 분노억제와 정적상관관계이고 분노조절과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분노표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육스트레스, 상태분노, 특성분노가 분노표현 유형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녀양육에 필요한 정보와 기술 제공뿐 만 아니라 어머니의 분노를 조절하고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성인 출소자의 아동기 외상과 가족기능성과의 관계에서 분노표현방식의 매개효과검증 (The Mediating Effect of Ex-offenders, Anger Expression between the in Childhood Trauma and Family Functioning)

  • 이아름;김지윤;이동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00-113
    • /
    • 2019
  • 본 연구는 출소자를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과 가족기능성과의 관계를 분노표현방식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에서 주거지원을 받고 있는 출소자 500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여 최종 400명의 자료로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동기 외상은 가족기능과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아동기 외상과 기능적 분노표현방식인 분노조절은 부적상관을 나타낸 반면,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의 하위요인인 분노표출, 분노억제와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기능적 분노표현방식인 분노조절은 가족기능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인 분노표출, 분노억제는 가족기능성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아동기 외상경험과 가족기능과의 관계에서 기능적 분노표현방식인 분노조절과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인 분노표출,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분노조절과 분노표출, 분노억제가 아동기 외상경험과 가족기능과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아동기 외상경험과 가족기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은 가족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분노표출 및 분노억제는 가족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중년여성의 분노, 지각된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상태와의 관계 (Correlational Study among Anger, Perceived Stress and Mental Health Status in Middle Aged Women)

  • 이평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856-864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trait anger, mode of anger ex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to mental health status in middle aged women. Method: The subjects were 157 middle aged women from 40s to 60s who lived in Seoul.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s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Spielberger's trait anger scale and anger expression scale, Cohen, Kamarck, and Mermelstein's perceived stress and Derogatis's SCL-90-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AS/PC. Result: The trait anger of middle aged women indicat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perceived stress(r=.180, p=.023) and mental health status(r.=021, p=.014). Anger-in(r=.237, p<.05), and perceived stress(p=.461, p<.01)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mental health statu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influencing health status of middle aged women was perceived stress, and anger-in and the variance explained was 27%.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iddle aged women with high degree of trait anger is likely to be high in stress perception. Perceived stress and anger-in are major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