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ginic acid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6초

자연 고분자 : 상처 치료 재료로 활용 (Natural Origin Polymers: Applications as Wound Care Materials)

  • 파티 카라데니즈;성혜경;김한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82-393
    • /
    • 2019
  • 상처 치료는 전세계 인류에 영향을 미치는 보건 산업계의 관심사다. 당뇨병과 같은 대사증후군 유병률 증가로 상처에 의한 합병증의 위험이 높아지고 상처치유의 복잡함 때문에 상처의 치료와 관리가 어렵다. 전통적 상처 드레싱은 제한된 보호기능을 제공하며, 상처 드레싱의 치료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생체고분자 기반의 드레싱들이 개발되고있다. 생체고분자는 생분해성이 뛰어나고 생체적합성이 좋으며 효과적인 상처 관리에 중요한 항균, 항염증, 지혈, 세포증식, 혈관성 활동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키토산, 셀룰로오스, 콜라겐, 히알루론산, 알긴산 등의 여러 생체고분자가 이미 상처치유제로 활용되고 있으며 생체고분자를 다른 고분자, 생체활성 분자 및 약물과 결합하여 생리학적 문제 없이 흉터를 최소화하는 새로운 상처 드레싱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의 연구와 활용을 위한 현재의 생체고분자의 상처처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알긴산을 이용한 코팅쌀의 개발 및 품질 특성 (Development of Alginate-Coated Rice and Its Quality)

  • 박인배;이태훈;이수영;정동옥;박양균;김정목;정순택;강성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46-551
    • /
    • 2005
  • 알긴산을 이용한 기능성 쌀을 개발하고자 제조공정을 확립 및 생산설비를 제작하고 알긴산 코팅 쌀을 제조하였으며 코팅정도, 흡습특성, 노화억제 효과 및 관능특성을 분석하여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알긴산 코팅 쌀의 수분함량은 일반 쌀에 비하여 약 $1.5\%$정도 높은 $16.5\~l8\%$ 수준을 보였다. $2\%$알긴산으로 코팅한 쌀의 경우 일반쌀에 비하여 탄수화물 함량의 증가량을 측정한 결과 약 $0.3\%$정도 코팅됨을 알 수 있었다. 알긴산 코팅 농도가 높을수록 수분 흡습도가 높았으며 $2\%$ 알긴산으로 코팅한 쌀의 경우 $30^{\circ}C$, RH $85\%$의 항온항습조건에서 6주 동안 저장한 결과 일반 쌀에 비하여 $1.8\%$정도 수분함량이 증가하였다. 알긴산 코팅 쌀은 취반 후 상온에서 일반 쌀에 비해 약6시간정도 노화를 지연시켰으며 외관, 점착성, 맛 등에서 일반쌀에 비하여 높은 기호성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알긴산 코팅 쌀은 현대인의 식생활에서 부족할 수 있는 식이섬유를 보충해 줌으로써 영양적인 측면과 쌀의 품질향상과 식미개선 등 기능적 측면에서도 매우 우수하였다.

감태(E. cava Kjellman) 효소분해산물의 항당뇨 및 알코올 분해능과 미용효과 (α-Glucosidase,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Effects of Enzymatic Extracts from Ecklonia cava and its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 김혜윤;조은경;강수희;배정미;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51-7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기장 해안의 해수에서 분리한 해양 미생물로부터 해조류의 난소화성 복합다당류를 분해하는 균주를 분리하고 동정하여 Microbulbifer sp. SC092로 명명하였다. Microbulbifer sp. SC092 미생물에 의하여 생성된 조효소의 기질 특이성 분석으로 agar 및 alginic acid를 분해하는 효소활성이 각각 146.2%로 agarase와 alginase 효소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항산화력은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으로 측정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은 각각 84.1, 89.6%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혈당 강하능은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alpha}$-glucosidase 활성은 58.7%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항염증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은 인체의 위의 pH와 비슷한 조건에서 아질산염소거능 측정으로 확인하였는데, 0.5 mg/ml 농도에서 56.3%를 나타내어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Vit C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알코올분해능은 ADH와 ALDH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각각 123.3, 215.2%로 나타나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우수한 숙취해소 효능을 보였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은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효과로 분석하였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분해산물의 농도 2.5 mg/ml 농도에서 각각 42.2%와 73.1%로 높은 저해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효소 추출법이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는데 효과적인 추출법인 것으로 기대된다.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화 다당류들의 열방성 액정 특성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roperties of (8-Cholesteryloxycarbonyl)heptanoated Polysaccharides)

  • 정승용;마영대
    • 폴리머
    • /
    • 제30권4호
    • /
    • pp.338-349
    • /
    • 2006
  • 셀룰로오스, 아밀로오스, 키토산, 키틴, 알긴산, 풀루란 또는 아밀로펙틴을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 노일 클로라이드 (CH8C)와 반응시켜 전치환 또는 거의 전치환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 헵타노화 다당류 유도체들을 합성함과 동시에 이들의 열방성 액정의 거동들을 검토하였다. CH8C 의 경우와 같이, 아밀로펙틴 유도체를 제외한 모든 다당류 유도체들은 좌측방향의 나선구조를 지니며 온도상승에 의해 광학피치들 $({\lambda_m}'s)$이 감소하는 단방성 콜레스테릴 상들을 형성하였다. 아밀로펙틴 유도체도 좌측방향의 나선구조를 지닌 단방성 콜레스테릴 상을 형성하나 다른 다당류 유도체들과 달리 콜레스테릴 상의 전 범위에서 반사색깔들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콜레스테릴 그룹에 의한 나선의 비틀림력은 아밀로펙틴 중의 분기구조에 민감하게 의존함을 시사한다. 다당류 유도체들에서 관찰되는 액정 상의 열적 안정성과 질서도, 동일한 온도에서의 ${\lambda}_m$ 의 크기 그리고 ${\lambda}_m$의 온도 의존성은 콜레스테릴 그룹들을 유연한 스페이서들을 통하여 유연한 흑은 반강직한 골격들에 도입시켜 얻은 고분자들에 대해 보고된 결과와 전혀 다르다. 이들의 결과를 주사슬과 곁사슬의 화학구조 그리고 주사슬의 유연성의 차이와 관련하에서 검토하였다.

알긴산이 연골세포에서 연골 기질의 생성과 전십자 인대 절제술로 유발한 흰토끼의 골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ginate on the Production of Type II Collagen in Chondrocytes and on the Osteoarthritic Model of White Rabbits)

  • 강한샘;김광윤;정일;오성덕;김창훈;심봉섭;박근형;오석중
    • 생약학회지
    • /
    • 제38권2호통권149호
    • /
    • pp.101-107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in vitro effects of alginate (LVA) which is low viscosity alginic acid, on collagen type II synthesis of chondrocytes and the in vivo effect, orally administered, on cartilage degradatio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were cultured in 35 mm dishes and then LVA was treated. The effects of LVA of various viscosity (86.5 cP(LVA1),45.4 cP(LVA2), 21.2 cP(LVA3) and 9.6 cP(LVA4)) and various concentration (50, 100, 200 ${\mu}$g/ml of LVA4) on chondrocytes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ting assay for the detection of collagen type II production. In western blotting assay, collagen type II production in chondrocytes were 1.00 in control,0.95 in LVA1, 1.41 in LVA2, 1.57 in LVA3 and 1.58 in LVA4. Collagen type II production of various concentration of LVA4 were 1.00 in control, 1.24 in 50 ${\mu}$g/ml of LVA4, 1.52 in 100 ${\mu}$g/ml of LVA4 and 1.86 in 200 ${\mu}$g/ml of LVA4. Osteoarthritis (OA) was induced in 24 rabbits by unilateral anterior cruciate ligament transection (ACLT) and randomly divided into 6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oral administration of 0.5 ml/kg of saline(control), 12.5 mg/kg of LVA (A12.5), 25 mg/kg of LVA (A25), 50 mg/kg of LVA (A5O), 75 mg/kg of LVA (A75) and 20 mg/kg of aceclofenac (AC) for 6 weeks after ACLT. All knees were harvested at 6 weeks after surgery and cartilage degradation was evaluated. Cartilage degradation in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severe than that in the A25, A5O and A75 groups but AC group had no significant changes on the macroscopic grading scale.

미역 및 다시마로부터 마이크로파 전처리와 열수로 추출된 알긴산의 물리적 특성 (Preparation of Water Soluble Alginic Acid Prepared from Sea mustard and Sea tangle by Microwave and Hot Water)

  • 조순영;주동식;김옥선;정인학;김상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79-783
    • /
    • 1999
  • 마이크로파 전처리와 열수 추출방법으로 알긴산을 추출하여 용해성, 점성 및 분자량을 비교$\cdot$검토하였다. 마이크로파 전처리 온도에 따른 수율은 미역이 다시마 보다 높았고, 온도가 높을수록 더욱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미역의 경우 처리 시간 90분 이상에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고, 다시마의 경우는 처리 시간 120분까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율의 측면에서 미역 및 다시마의 마이크로파 전처리 조건은 $100^{\circ}C$에서 90분과 $100^{\circ}C$에서 120분이 각각 적절하였다. 마이크로파 처리에 있어서 추출 온도는 용해도와 점도에 영향은 주었는데, $80^{\circ}C$에서는 미역과 다시마의 각각 용해도가 $69\%,\;77\%$였고, $100^{\circ}C$에서는 $86\%,\;94\%$였다. $100^{\circ}C$마이크로파 전처리 시료의 경우, 원료와 처리 시간에 관계없이 탄산나트륨으로 추출한 알긴산에 비해 $5\%$ 이하의 점도를 보였다 한편, 열수 추출 온도가 알긴산의 추출에 미치는 영향은 다시마보다 미역에서 컸으며, 추출 시간 경과로 수율이 증가하였다. 다시마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미역에 비해 그 폭은 작았다. 용해도는 추출 온도 $60^{\circ}C$를 제외하고는 추출 온도가 높아져도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자량은 기존의 탄산나트륨을 이용한 추출법으로 제조된 알긴산의 분자량은 80만이 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마이크로파 전처리 및 열수 추출한 알긴산의 경우는 분자량이 12,000$\~$45,000 정도로 매우 작았다.

  • PDF

미역귀에서 추출한 알긴산의 항산화 효과 및 항염증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ginic Acid from Sea Mustard Sporophyll)

  • 고영우;진성우;김경제;임승빈;하늘이;정희경;제해신;반승언;정상욱;서경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78-78
    • /
    • 2018
  • 미역은 갈조식물인 미역과에 속하는 1년생 바닷말로서 주로 어린 줄기와 잎부분을 식용으로 한다. 폐기부로 분류되는 미역귀 부분 또한 가식부 이상으로 풍부한 미네랄과 알긴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건강 친화적인 슬라이스 잼의 개발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품 개발의 소재화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미역귀 알긴산 추출, 알긴산의 항산화활성(DPPH, ABTS, SOD 유사활성, total polyphenol, 세포 독성, NO생성 억제능을 수행한 바는 아래와 같다. 미역귀 알긴산 추출물을 각각 10, 50, 100,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한 시험구들의 전자공여능을 확인한 결과 각각 2.8, 27.5, 35.9, 43.4%로 나타났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4.2, 21.6, 33.4, 67.4%로 나타났다. 동일한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SOD 유사활성은 각각 9.2, 12.4, 23.2, 30.8%로 나타났다. 미역귀 알긴산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은 $19.16{\pm}0.08mg%$로 확인되었다. 세포생존율은 10, 50, 100,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118.8%, 120.7%, 121.1%, 124.9%로 나타났다. NO생성 억제능을 동일한 농도에서 확인한 결과 각각 3.1, 5.1, 7.9, 9.6%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미역귀 알긴산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탁월하게 나타나 건강 친화적인 기능성 소재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알긴산 소다에의 MMA유화 그래프트 중합 : 메커니즘 및 용매효과 (Emulsion Graft Polymerization of MMA to Sodium Alginate : Mechanism and Solvent Effect)

  • 박환만
    • 접착 및 계면
    • /
    • 제2권4호
    • /
    • pp.10-23
    • /
    • 2001
  • 생성을 목적으로 하는 그라프트 중합체를 유화제로 하여 유화 그라프트중합을 실시하는 경우는 대체로 그라프트 효율 및 % 골격(backbone) 중합체의 전환율 값은 높으나, 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MMA) 전환율 및 % 그라프트율값 들이 낮다. 이와 같은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중합계에 비 수용성 용매 및 수용성 용매를 사용하여서 이들 용매의 각각의 효과 및 두종의 용매를 조합한 복합효과 그리고 용매 공존하에서의 교반속도의 영향을 고찰하는 한편, 고분자 유화제의 조성에 따른 MMA의 유화용량, 평균 입경 및 그라프트된 알긴산의 입자 표면 밀도 등을 조사하여 그 중합 메카니즘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고분자 유화제의 그라프트된 폴리메칠메타아클레이트(PMMA) 함량이 클수록 중합체 콜로이드의 MMA 유화용량 및 평균입경은 커지는 반면, 입자 표면의 그라프트된 알긴산의 밀도는 감소하였다. 비 수용성 용매를 MMA에 혼합시켜 중합시키는 경우는 그라프트 효율 및 골격 중합체의 전환율 값들의 저하없이 MMA 전환율 및 % 그라프트 값을 향상 시킬 수 있었으며, 그 효과는 PMMA에 대하여 침전제가 되는 용매가 양용매인 용매에 비하여 컸다. 수용성 용매는 그라프트 효율, 골격 중합체의 전환율을 다소 저하시키는 상태에서 MMA 전환율 및 % 그라프트 값을 보다 크게 향상시켰으며, 그 효과는 PMMA에 침전제인 메탄올에서 보다 현저하였다. 용매 첨가에서 교반속도의 변화에 용매 무첨가시의 MMA 전환율값은 2배 이상, % 그라프트값은 거의 3배로, SA 전환율과 그라프트 효율값은 95% 이상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Vibrio crassostreae PKA 1002의 알긴산 분해 조효소 생산 최적 조건과 조효소의 특성 (Optimization of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Alginate-degrading Crude Enzyme from Vibrio crassostreae PKA 1002)

  • 선우찬;김꽃봉우리;김동현;정슬아;김현지;정다현;정희예;임성미;홍용기;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3-249
    • /
    • 2012
  • 부산 송정 연안에서 해조류 및 해수로부터 알긴산 분해 미생물을 분리동정하고 미생물의 생육 조건 및 조효소액의 알긴산 분해 특성을 확인하였다. Sargassum thunbergii로부터 분리한 알긴산 분해균을 동정한 결과, Vibrio crassostreae strain로 확인 되었으며, V. crassostreae PKA 1002로 명명 하였다. V. crassostreae PKA 1002 최적 생육 조건을 확인한 결과, pH 9, 2% NaCl, $30^{\circ}C$ 및 배양 24 hr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적 생육 조건에서 7% 알긴산과 1:1 배양시 환원당이 가장 많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V. crassostreae PKA 1002를 최적 생육 조건으로 대량배양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조효소액으로 하였으며, V. crassostreae PKA 1002 유래 알긴산 분해 조효소액은 pH 9, $30^{\circ}C$에서 분해 활성이 최대이며, 4% 알긴산 용액에서 1 hr 반응시 3.035 g/L의 환원당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추후 효소를 정제하고 알긴산 분해 특성을 구명하여 알긴산 올리고당 제조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추출방법을 달리한 미역 및 다시마 과립차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Granule Tea Prepared with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and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Powder as Affected by Extraction Method)

  • 권유리;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25-53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하여 기호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킨 해조 과립차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미역, 다시마 미세분쇄분말을 열수 및 고압 추출한 후 동결건조하여 얻은 분말의 수율은 미역, 다시마 모두 열수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알긴산 함량은 고압 추출물에서 높았다. 추출방법에 따른 미역, 다시마 과립의 흡습특성 및 알긴산 함량은 고압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미역 과립차의 전자공여능을 비교분석한 결과 고압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다시마의 과립차에서는 열수추출에서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 미역 과립차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열수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고, 다시마 과립차의 경우 고압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Fe^{2+}$ chelating효과는 열수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TBARS에서는 고압추출에서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는 미역 다시마 모두 고압추출에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