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worthiness Certification Standard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3초

비행제어시스템 안정성 여유 감항인증 기준 재정립 방안 (Re-establishing Method of Stability Margin Airworthiness Certification Criteriafor Flight Control System)

  • 김동환;김종섭;임상수;고기옥;김병수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27
    • /
    • 2022
  • 실제와 모델간의 다양한 불확실성(uncertainties)에 대한 항공기의 강건성 확보를 위해 비행제어시스템은 일정 수준 이상의 안정성 여유(stability margin) 감항기준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미 국방 규격인 MIL-F-9490D와 감항인증 규격인 MIL-HDBK-516B에는 비행제어시스템이 만족해야 하는 이득여유(gain margin)와 위상여유(phase margin)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항공기의 개발 단계별 설계 성숙도를 고려하지 않고 전 개발단계에서 동일한 안정성 여유 기준이 적용되면서, 궁극적으로는 항공기 운용영역이 과도하게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조종성과 안정성 여유의 관계를 제시하고 개발 단계와 입증 방법에 따라 안정성 여유 기준을 재정립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결과는 현재 개발되고 있는 항공기뿐만 아니라 향후에 전개될 무인 비행체 개발 시에 적용하여 보다 유연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안정성 여유 기준을 입증하는데 기여하리라 판단한다.

민간 무인항공기시스템 인증체계 현황 및 관련규정 연구 동향 분석 (A study of the status of UAS Certification System and Airworthiness Standards)

  • 안효정;박종혁;유승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893-901
    • /
    • 2014
  • 무인항공기시스템 기술은 그동안 주로 군사용 목적으로 개발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무인기의 활용이 공공부문으로 확산되면서 민간분야에서도 여러 형태의 무인기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농약 살포를 위한 회전익 무인기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방송에서도 무인 멀티콥터를 이용한 촬영 영상을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민간의 다양한 분야에서 무인기 활용이 늘어나고 있으나 무인기 관련 안전규정은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 세계의 무인항공기시스템 기술 발전과 관련하여 국내외 민간 무인항공기시스템 관련 현행 규정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한 인증체계 개정 및 개발을 위한 연구동향을 조사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최근 몇 년간 여러 국가에서 무인항공기시스템 관련 규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연구조직(UASSG)을 결성하여 무인항공기시스템에 대한 매뉴얼 발행과 국제표준 및 권고를 개발해 오고 있다. 또한 세계 각국의 감항 당국 및 관계 기관, 업체 등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각국의 실정에 맞는 규정을 개발 및 개정하고자 준비하고 있다.

국내 비행시험 운영 매뉴얼 개발 기준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Flight Test Operation Manual)

  • 김무근;백승돈;송찬용;안대희;한정호;유병선;강자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281-288
    • /
    • 2019
  • 비행시험은 항공기 개발 및 인증을 비롯한 항공기 수명 주기에서 감항성 유지를 위해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중요한 절차로서 관련 표준에 대한 적합성을 입증 또는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비행시험 항공사고 분석 결과는 항공기 자체 요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복합 원인에 의해 발생되었음을 확인한다. 국제민간항공기구는 항공기 사고 방지를 위해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및 이행을 권고하고 있으나 비행시험의 특수성은 반영되어 있지 않다. 이에 항공선진국들은 이해관계자의 비행시험 안전관리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별도의 기준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국가종합비행성능시험장 구축에 맞춰 항공선진국의 관련 규정을 조사, 분석하고 조직 구성, 안전 및 리스크 관리, 비행 운영, 인력 관리, 행정 사항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비행시험 운영 매뉴얼 개발을 위한 정부차원의 기준 안을 제시한다.

적합성 입증을 위한 민항기 시험평가 절차 연구 (A Study on the Test & Evaluation Process of Civil Aircraft for Compliance)

  • 김광해;최낙선;고대우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6권1호
    • /
    • pp.25-32
    • /
    • 2010
  • The Test and Evaluation (T&E) process is an integral part of the Systems Engineering Process. The purpose of Test and Evaluation (T&E) in a system development is to identify the areas of risk to be reduced or eliminated. In this study, when develop aircraft of Civil Aviation with development experience of Military Aircraft, it is that establish Test and Evaluation process. Test and Evaluation for KC-100 small aircraft development can divide to certification test and development test. Certification test is proved compliance about Korea Airworthiness standard (KAS Part 23), through Development Test verify required performance of aircraft. These Test and Evaluation Process is more efficient and optimized.

  • PDF

국산 복합재료의 물성치 공유체계 수립을 위한 요구조건 (Requirements for Composite Material Property Sharing System to Korean Products)

  • 서장원;이승윤;이영대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2-38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 survey results on the material properties sharing system database on composite in USA. The requirements on management and database for Korean composite product that meet KAS (Korean Airworthiness Standard) are suggested. The certification policy on composite material qualification of also introduced. The benefits to material supplier, aircraft manufacturer and certification authority, which get through the database have been considered. The database managing process, composit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 properties and design allowable meeting KAS have been suggested.

러시아 항공기 인증체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ussian Aircraft Certification System)

  • 양하영;박소라;도륜호;이지은;백운율;강태영;유창경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9호
    • /
    • pp.647-655
    • /
    • 2022
  • 러시아 정부는 세계 3위의 민간항공기 생산 강국을 목표로 민간항공기 제작기술 및 첨단 소재 확보를 위해 외국과 생산 제휴 등 전략적 협력을 확대하는 중이다. 또한 러시아 정부는 항공기 제작산업의 발전을 지원하고 항공 인증 조직을 개편하여 체계적인 항공안전 확보를 추구하고 항공제품 수출을 위한 국제협력과 인증활동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가 간에 민간항공기 안전 및 인증분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인증시스템에 대한 상호간의 이해와 신뢰를 구축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러시아의 항공기 인증조직, 법령체계, 인증절차를 분석하여 러시아의 항공기 인증체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고정익/회전익 인증기준 및 수직이착륙 특수기술기준 분석 기반의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인증기준 개발 방안 (A Study on Development of Certification Basis for VTOL UAS Based on Analysis of Certification Criteria for Fixed/Rotary Wing UAS and SC-VTOL)

  • 유민영;김수호;진경훈;오연경;이환;김우겸;공병호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16-23
    • /
    • 2021
  • 국내외 제조업체들은 미래 기술 수요에 발맞춰 여러 형상의 수직이착륙(VTOL) 무인항공기를 개발하고 있다. 그동안 무인항공기는 고정익/회전익으로 분류 가능한 형상으로 개발되고 그에 맞는 인증기준으로 검증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현재 VTOL 무인항공기는 VTOL에 특화된 인증기준의 부재로 인해 감항성 검증이 제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고정익/회전익 무인항공기 인증기준 STANAG-4671 및 STANAG-4702와 유럽항공안전청(EASA)의 수직이착륙 특수기술기준(SC-VTOL)을 분석하여 VTOL 무인항공기에 적용 가능한 인증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준 항목별로 일반/고정익/VTOL 특성 분류기준을 수립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항공기 배기가스 배출기준 개정 방안 연구 (New Requirements of Environmental Standard for Aircraft Engine Exhaust Emissions)

  • 노지섭;김경수;남영우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4권spc호
    • /
    • pp.7-1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인증 절차에 포함되는 형식증명을 위한 항공기 기술기준의 새로운 정립에 대한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기존 항공기 엔진의 연료 및 배기가스 배출기준(Part 34)은 관리 대상 항목을 매연과 불연소탄화수소(HC), 일산화탄소(CO) 그리고 질소산화물(NOx)로 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 항목들은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국제민간항공(ICAO)의 항공기 탄소배출 제한, 미국환경보호청(EPA)의 항공기 배기가스 규제 추진 등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시대 흐름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현대화된 국제기준에 맞도록 보완하기 위해서 미국, 유럽 등의 배출기준을 근거로 항공기 배출가스에 대한 기술기준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항공기 엔진제어시스템 인증기술 개발 (A Study on Certification of Electronic Engine Controls)

  • 이강이;한상호;진영권;이상준;김귀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4-109
    • /
    • 2005
  • 항공기용 가스터빈엔진에 사용되고 있는 전자식 엔진제어장치는 연료 절약 및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최근에는 엔진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고장진단 기능을 갖춘 전자동디지털식 엔진제어장치로 발전하였다. 이와 같은 기술의 발전으로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개념의 엔진제어장치에 대한 인증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전자식 엔진제어장치에 대한 설계 및 인증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전원 공급, 입력 데이터, 고장 모드, 소프트웨어 확인 및 검증, 그리고 낙뢰의 영향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식 엔진제어장치에 대한 설계 고려사항과 인증 기법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감항기술기준의 관련 요구조건을 정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항공기용 다목적 디스플레이의 기술표준품 인증 (TSO Authorization of Airborne Multipurpose Electronic Displays)

  • 천영호;이승필;박준현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765-776
    • /
    • 2013
  • 민수용 항공기 산업에서는 해당 제품의 성능이 우수 하더라도 항공기의 항행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안전성 요구사항에 대한 적합성을 인정을 받지 못하면 법적으로 항공기에 사용 될 수 없는 특성이 있다 [1]. 이와 같이 다양하게 적용되어 지고 있는 항공 전자장비의 항행 안전성을 위하여 민간용 항공기에는 기술표준품 인증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KTSO-C113은 항공기용 다목적 전자식 디스플레이의 기술표준품을 인증하는 최소성능표준을 포함하고 있다. 기술 표준품 형식승인은 설계 및 제조에 대한 승인을 의미하여 항공기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승인이 필요하다. 본 논문을 통하여 항공기용 다목적 디스플레이의 기술 표준품 형식승인 제도 및 인증 요구조건을 소개하고 적합성 입증을 위한 인증 사례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