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stripping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초

상수원수 내 이취미 조기감지를 위한 조기경보장치의 최적운전인자 도출 (Determination of Optimum Operational Parameters on Early Warning Device for Early Detection of Taste and Odor in Drinking Water Supplies)

  • 김영일;배병욱;주대성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49-855
    • /
    • 2006
  • Taste and odor (T&O) problems in drinking water supplies caused by eutrophication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because aesthetic qualities are the primary measures by which consumers estimate the quality of their drinking water. In order to overcome T&O problem, it is necessary to early detection method for T&O compounds before these compounds enter to water treatment plant. In this background, a early waming device for T&O compounds was developed and its performance tested under different operating condition.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T&O compounds, when the raw water flowrate was 5 mL/min, the optimum stripping time and air flowrate were 5 hrs and 0.5 L/min, respectively. Comparison of activated carbon showed that foreign activated carbon was better than domestic activated carbon in terms of adsorption efficiency.

치간 법랑질 삭제방법에 따른 치아표면 거칠기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roughness of enamel surface to various interdental enamel stripping methods in vitro)

  • 노준;전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83-490
    • /
    • 1999
  • 다양한 부정교합의 원인 중에서 치아의 형태적 이상이나 크기의 부조화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치간 법랑질 삭제(interdental enamel stripping)가 임상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런 치간 법랑질 삭제술식은 특히 상하악의 전치부위에 서 적은 량의 치아밀집을 해결하거나, 교정치료 말기에 상하악 치아 크기의 부조화에 의한 견치 또는 구치의 바람직하지 못한 교합관계를 개선하는데 유용하지만 치아삭제가 비가역적인 술식이며, 삭제 후 남게 되는 거친 법랑질 표면으로 인한 치주적 부작용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법랑질 삭제 후 표면에 남게 되는 거칠기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치과용 마모기구를 이용한 방법들이 소개되었지만 그 결과에 대한 해석은 주사현미경 (SEM)상에서 관찰되는 표면소견을 통한 비교분석에 국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법랑질 삭제방법들의 결과를 주사현미경적 소견과 함께 표면조도측정기를 이용하여 표면의 거칠기를 정량화하므로서 좀 더 구체적인 임상적 결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함이다. 치간 법랑질 삭제방법은 기계적 방법 및 기계화학적인 방법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기계적 방법은 회전기계삭제와 치과용 마모지를 이용한 삭제로 구분하고, 기계화학적 방법을 위해 $37\%$ 인산이 사용되었다. 교정목적으로 발거된 소구치의 인접면을 이용하여 기계적 및 기계화학적인 법랑질 삭제방법에 따른 표면 거칠기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회전기계 및 치과용 마모지를 이용한 기계적 방법으로 1차 삭제한 군의 법랑질 표면이 다른군들에 비해 거칠게 나타났다. 2. 산 부식을 이용한 기계화학적 방법으로 1차 삭제한 군이 기계적 방법으로 1차 삭제한 군에 비해 양호한 표면을 보였다. 3. 기계적으로 1차 및 2차 삭제한 군의 표면은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로 표면이 양호하였다. 4. 표면 활택 목적으로 사용된 미세 연마제는 표면 거칠기나 표면의 연마 또는 가공정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Spent Sulfidic Casutic의 BNR 공정 적용을 위한 최적화 연구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Spent Sulfidic Caustic Applied for BNR Process)

  • 이재호;주동진;박정진;신춘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1617-1624
    • /
    • 2011
  • Caustic (NaOH) solution is used to remove $H_2S$ from hydrocarbon streams in petroleum refining industry, gradually being, so called, spent sulfidic caustic (SSC) which has high levels of $H_2S$ and alkalinity. Thus, SSC can be used as an electron donor and a buffering agent for autotrophic denitrification. As SSC, however, contains some non-biodegradable organics, air stripping was conducted to remove the non-biodegradable organics. As a result, over 93 % of the non-biodegradable organics was removed within 30 min of aeration. Then, $Na_2S_2O_3{\cdot}5H_2O$, methanol and organic matters, which are produced from a biodiesel production plant, were added to reform the air-stripped SSC and their products being referred to new sulfidic caustics (NSCs) I, II and III, respectively. Thereaft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se products on the removal of COD and TN, these products were injected to a biological nitrogen removal (BNR) process, resulting in additional 44 % TN removal without noticeable increase in the effluent COD level.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BNR process is a promising option to treat NSC as demonstrated in this study whose results can be useful for developing resource recovery technologies.

암모니아 탈기공정을 이용한 침출수의 암모니아성 질소제거(I) (Removal of Ammonia-Nitrogen Contained in Landfill Leachate by Ammonia Stripping(I))

  • 이병진;조순행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893-1904
    • /
    • 2000
  • 질소제거를 위한 처리기술은 아직까지는 주로 생물학적인 처리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생물학적인 처리기술은 하수 등과 같은 저농도 암모니아성 질소성분을 함유한 폐수에 대해서는 비교적 광범위하게 정립되어 있는 반면, 질소성분외에 난분해성 및 독성물질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침출수 및 산업폐수에 생물학적 처리기술을 적용하는 방법은 처리효율면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소 처리기술이 비교적 정립되어 있지 않은 고농도의 암모니아성 질소 성분을 함유한 침출수를 대상으로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이전에 질소제거를 위한 암모니아 탈기공정의 적용가능성을 타진하고 자원 재활용 측면을 고려하여 처리된 질소성분의 회수 가능성을 조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실험결과 암모니아 탈기공정을 위하여 pH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NaOH보다 $Ca(OH)_2$를 사용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암모니아 탈기에 적정한 pH는 10.5로 조사되었으며, 목표치인 500 mg/L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소요되는 반응시간은 $35^{\circ}C$, 10 L/L/min의 조건에서는 2시간, $55^{\circ}C$, 10.0 L/L/min의 조건에서는 1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전단에 air diffused system을 이용한 암모니아 탈기공정의 적용은 고농도의 암모니아성 질소를 함유한 침출수의 처리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지울 수 있었다. 그러나 생물학적 처리공정인 MLE 공정(T-N 최대 제거율: 78%,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율: 98~99%)과 혐기성 소화조, 폭기식 라군산화조에서 질소성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이들 공정전에 적용한 암모니아 탈기공정의 운전에 소요되는 약품비를 각각 산출하여 비교한 결과 암모니아 탈기공정이 MLE 공정에 비해 약품 소모비가 약 16% 정도 더 많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므로 암모니아 탈기공정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하여 슬러지를 재이용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에너지절약형 VSA MF Membrane 수처리 시스템 (Effective Water Treatment Process by Hollow Fiber MF Membranes; VAS(Vibrating & Stripping by Air ) Process)

  • 김정학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9년도 Energy Saving Membrane Separtion Systems 에너지 절약형 막분리 시스템
    • /
    • pp.93-116
    • /
    • 1999
  • MF membrane element was specially designed for water purification and VSA process which can solve the fouling problem. Especially VSA process is developed for the SK Chemicals' asymmetric microfiltration hollow fiber membranes. In case of outside-to-in filtration process, MF membrane element showed the excellent flux stability caused by cleaning ability of VSA process . Simultaneous back-washing with VSA consideratbly enhances cleaning efficiency. From the result the possibility of the replacement of chemical coagulation and sand filtration process with newly developed VSA process was revealed.

  • PDF

Novel Polypyrrole composite membrane with high gas selectivity and permeability

  • Son, Won-Il;Kim, Byoung-Sik;Hong, Jae-Min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4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47-152
    • /
    • 2004
  • Gas separation membrane technology is useful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1, 2]. such as hydrogen recovery from reactor purge gas, nitrogen and oxygen enrichment, water vapor removal from air, stripping of carbon dioxide from natural gas. etc. Although membrane separations are attractive because of low energy costs and simple operation, low permeabilities and/or selectivity often limit membrane applications [3, 4].(omitted)

  • PDF

EFFECTIVE WATER TREATMENT PROCESS BY HOLLOW FIBER MEMBRANES : VAS (VIBRATING & STRIPPING BY AIR) PROCESS

  • Kim, Jeong-Hak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9년도 The 7th Summer Workshop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 /
    • pp.63-66
    • /
    • 1999
  • MF membrane element was specially designed for water purification and VSA process which can solve the fouling problem. Especially VSA process is developed for the SK Chemical's asymmetric microfiltration hollow fiber membranes. In case of outside-to-in filtration process, MF membrane element showed the excellent flux stability caused by cleaning ability of VSA process. Simultaneous back- washing with VSA considerably enhances cleaning efficiency. Form the result, the possibility of the replacement of chemical coagulation and sand filtration process with newly developed VSA process was revealed.

  • PDF

고농도 질소폐수로부터 암모니아 회수를 위한 다단수직형 암모니아스트리핑조 개발(I) (Development of a Vertical Multi-stage Ammonia Stripping Reactor for Recovering Ammonia from wastewater with High Nitrogen Concentrations(I))

  • 이재명;최홍복
    • 유기물자원화
    • /
    • 제25권2호
    • /
    • pp.41-48
    • /
    • 2017
  • 기존 혐기성 및 호기성 처리에서 우수성이 입증된 E-PFR을 적용한 다단수직형 암모니아 스트리핑조를 개발하고 랩스케일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단수직형 암모니아스트리핑조의 단수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실험(pH 10, 온도 $35^{\circ}C$, 기액비 $3min^{-1}$의 동일 조건)에서 8시간 경과 후 단이 없는 반응기는 약 52.5%의 제거율을 나타났으며, 5단 반응기에서는 약 62.6%의 제거율이 나타나 약 10%의 효율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pH 변화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실험 (5단 반응기, 온도 $35^{\circ}C$, 기액비 $3min^{-1}$의 동일 조건)에서 8시간 경과 후 pH 9는 약 42.6%의 제거율을 나타났으며, pH 11에서 약 74.4%의 제거율이 나타났다. 온도 변화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실험 (5단 반응기, pH 10, 기액비 $3min^{-1}$의 동일 조건)에서 8시간 경과 후 $25^{\circ}C$에서 약 51%의 제거율을 나타났으며, $45^{\circ}C$에서 약 87.2%의 제거율이 나타났다. 공기주입량 변화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실험 (5단 반응기, pH 10, 온도 $35^{\circ}C$의 동일 조건)에서 8시간 경과 후 기액비 $2min^{-1}$에서 약 45.8%의 제거율을 나타났으며, 기액비 $4min^{-1}$에서 약 75%의 제거율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속 운전 평가를 통해 실증플랜트 설계를 위한 인자 도출에 활용하고자 한다.

산성용액에서 전해액 조성에 따른 아연공기 이차전지의 성능변화 (Characterization for Performance of Zn-Air Recharegeable Batteries on Different Composition in Acidic Electrolyte)

  • 대관하;노립신;심중표;이홍기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2권5호
    • /
    • pp.401-409
    • /
    • 2021
  •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ZnSO4 in acidic solution as electrolyte in Zn-air batteries was investigated by Zn symmetrical cell test, half-cell and full cell tests. Using 1 M ZnSO4 + 0.05 M H2SO4 as electrolyte and MnO2 as air cathode catalyst with Zn foil anode, this combination had a satisfactory performance with balance of electrochemical activity and stability. Its electrochemical activity was matched to or even better than the PtRu catalyst in different current density. And its cycle life was improved (more than 100 cycles stable) by suppressing the growth of zinc dendrites on anode obviously. This electrolyte overcame the shortcomings of alkaline electrolyte that are easy to react with CO2 in the air, severely growth of Zn dendrites caused by uneven plating/stripping of Zn.

폐수의 악취측정을 위한 금속산화물 반도체 및 전기화학식 가스센서 어레이 특성 평가 (Evaluation of Metal Oxide Semiconductor and Electrochemical Gas Sensor Array Characterization for Measuring Wastewater Odor)

  • 임봉빈;이석준;김선태
    • 센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34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haracterization of a metal oxide semiconductor and electrochemical gas sensor array for measuring wastewater odor. The sensitivity of all gas sensors observed in sampling method by stripping was 6.7 to 20.6 times higher than that by no stripping, except sensor D (electrochemical gas sensor). The average reduction ratio of sensor signal as a function of initial dilution rate of wastewater was in the order of food plant > food waste reutilization facility > plating plant. The sensitivity of gas sensors was dependent on both the type of wastewater and the dilution rate. The sensor signals observed by the gas sensor array were correlated with the dilution factor (OU) calculated by the air dilution sensory test with several wastewater ($r^2=0.920{\sim}0.997$), except the sensor signals of sensor D measured in the plating plant wastewater. It seems likely that the gas sensor array plays a role in the evaluation of odor in wastewater and is useful tool for on-site odor monitoring in the wastewater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