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Vertical Multi-stage Ammonia Stripping Reactor for Recovering Ammonia from wastewater with High Nitrogen Concentrations(I)

고농도 질소폐수로부터 암모니아 회수를 위한 다단수직형 암모니아스트리핑조 개발(I)

  • Received : 2017.04.07
  • Accepted : 2017.05.25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A vertical multi-stage ammonia stripping reactor using E-PFR, which has been proved to be superior in anaerobic and aerobic treatment, was developed and a lab scale experimen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stage number condition, the removal rate of the ammonia nitrogen in the reactor with 0-stage was about 52.5% after 8 hours (pH 10, temperature $35^{\circ}C$, and the air/liquid ratio $3min^{-1}$) However, in the reactor with 5-stage, the removal efficiency was about 62.6%. According to the change of pH condition, the removal rate of ammonia nitrogen was about 42.6% at pH 9 after 8 hours, and was about 74.4% at pH 11 (5-stage reactor, temperature $35^{\circ}C$, and the air/liquid ratio $3min^{-1}$). According to the change of temperature condition, the removal rate of the ammonia nitrogen was about 51% at $25^{\circ}C$ after 8 hours (5-stage reactor, pH 10, and the air/liquid ratio $3min^{-1}$), and was about 87.2% at $45^{\circ}C$. According to the change of air injection volume condition, the removal rate of the ammonia nitrogen was about 45.8% at $2min^{-1}$ after 8 hours (5-stage reactor, pH 10, and at $35^{\circ}C$). and was about 75% at $4min^{-1}$. Based on these results, we will follow up the applicability of the actual plant in the future through continuous operation evaluation.

기존 혐기성 및 호기성 처리에서 우수성이 입증된 E-PFR을 적용한 다단수직형 암모니아 스트리핑조를 개발하고 랩스케일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단수직형 암모니아스트리핑조의 단수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실험(pH 10, 온도 $35^{\circ}C$, 기액비 $3min^{-1}$의 동일 조건)에서 8시간 경과 후 단이 없는 반응기는 약 52.5%의 제거율을 나타났으며, 5단 반응기에서는 약 62.6%의 제거율이 나타나 약 10%의 효율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pH 변화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실험 (5단 반응기, 온도 $35^{\circ}C$, 기액비 $3min^{-1}$의 동일 조건)에서 8시간 경과 후 pH 9는 약 42.6%의 제거율을 나타났으며, pH 11에서 약 74.4%의 제거율이 나타났다. 온도 변화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실험 (5단 반응기, pH 10, 기액비 $3min^{-1}$의 동일 조건)에서 8시간 경과 후 $25^{\circ}C$에서 약 51%의 제거율을 나타났으며, $45^{\circ}C$에서 약 87.2%의 제거율이 나타났다. 공기주입량 변화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실험 (5단 반응기, pH 10, 온도 $35^{\circ}C$의 동일 조건)에서 8시간 경과 후 기액비 $2min^{-1}$에서 약 45.8%의 제거율을 나타났으며, 기액비 $4min^{-1}$에서 약 75%의 제거율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속 운전 평가를 통해 실증플랜트 설계를 위한 인자 도출에 활용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승헌, "가축분뇨 정화방류 현황 및 시설개선 비용조사", 대한한돈협회] Jung, S. H., "Survey on the status of the livestock manure discharge and the facility improvement", Korea Pork association, (2013).
  2. [손보균, 강성구, 조은주, 김신도, 이창주, 김정호, "돈분뇨의 적합한 호기성 액비화를 위한 암모니아 탈기조건 설정", 한국토양비료학회지] Sohn, B. K., Kang, S. G., Cho, E. J., Kim, S. D., Lee, C. J., and Kim, J. H., "Estimation of Ammonia Stripping Condition for Adequate Aerobic Liquid-Composting of Swine Manure", Korean K. Soil Sci. Fert., 39(2), pp. 73-79. (2006)
  3. [안주석, 임지혜, 백예지, 정태영, 정형근, "반응조의 물리적 인자와 알칼리도가 암모니아 탈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 An, J. S., Lim, Y. J., Chung, T. Y., and Chung, H. K., "Effect of the Physical Parameters and Alkalinity in the Ammonia Stripp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3(8), pp. 583-590. (2011). https://doi.org/10.4491/KSEE.2011.33.8.583
  4. [황규대, 조영무, "축산폐수 전처리를 위한 암모니아 탈기공정의 운전조건이 암모니아 제거에 미치는 영향", 한국물환경학회] Hwang, G. D., and Cho, Y. M., "Effect of Operating Condition of Stripping Process on Ammonia Removal for Pre-treatment of Swine Wastewa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0(1), pp. 86-92. (2004).
  5. [이재기, 최홍복, 신응배, 박주형, 최은주, 김정래, 박영숙, "다단수직형 호기성반응기(ER-1)를 이용한 음식물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기술", 유기물자원화] Lee, J. K., Choi, H. B., Shin, E. B., Park, J. H., Choi, E. J., Kim, J. R., and Park, Y. S.,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for Food wastewater Using ER-1 bioreactor", J. of KORRA, 14(4), pp. 113-120. (2006).
  6. [김범식, 최홍복, 이재기, 박주형, 지덕기, 최은주, "E-PFR 반응기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처리와 재생에너지 생산에 관한 연구", 유기물자원화] Kim, B. S., Choi, H. B., Lee, J. K., Park, J. H., Ji, D. G., and Choi, E. J., "Anaerobic Organic Wastewater Treatment and Energy Regeneration by Utilizing E-PFR system, J. of KORRA, 16(2), pp. 57-65. (2008).
  7. [석종혁, 최홍복, "마개흐름형 다단식 혐기성 반응기의 교반특성 및 음식물 폐기물 처리 시 충격부하 영향",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Seok, J. H., and Choi, H. B., "Mixing Characteristics in a Plug-flow Multi-stage Anaerobic Reactor and Effects of Shok Loads in Food Waste Treatment,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28(6), pp. 621-631. (2011).
  8. [이병진, 조순행, "암모니아 탈기공정을 이용한 침출수의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I)", 대한환경공학회] Lee, B. J., and Cho, S. H., "Removal of Ammonia-Nitrogen Contained in Landfill Leachate by Ammonia Strripng(I)",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2(10), pp. 1893-1904. (2000).
  9. [허남효, 박순철, 이진석, 이준표, 강호, "암모니아 탈기공정을 이용한 혐기소화 슬러지 탈수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질소 제거 및 회수", 대한환경공학회] Heo, N. H., Park, S. C., Lee, J. S., Lee, J. P., and Kang, H., "Removal and Recovery of High Strength Ammonia-Nitrogen from Dewatering of Anaerobic Digested Sludge using Ammonia Stripp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3(4), pp. 601-612. (2001).
  10. [이병진, 조순행, "암모니아 탈기공정을 이용한 침출수의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II)", 대한환경공학회] Lee, B. J., and Cho, S. H., "Removal of Ammonia-Nitrogen Contained in Landfill Leachate by Ammonia Strripng(II)",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4(2), pp. 219-229.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