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injection rate

검색결과 323건 처리시간 0.032초

고농도 질소폐수로부터 암모니아 회수를 위한 다단수직형 암모니아스트리핑조 개발(I) (Development of a Vertical Multi-stage Ammonia Stripping Reactor for Recovering Ammonia from wastewater with High Nitrogen Concentrations(I))

  • 이재명;최홍복
    • 유기물자원화
    • /
    • 제25권2호
    • /
    • pp.41-48
    • /
    • 2017
  • 기존 혐기성 및 호기성 처리에서 우수성이 입증된 E-PFR을 적용한 다단수직형 암모니아 스트리핑조를 개발하고 랩스케일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단수직형 암모니아스트리핑조의 단수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실험(pH 10, 온도 $35^{\circ}C$, 기액비 $3min^{-1}$의 동일 조건)에서 8시간 경과 후 단이 없는 반응기는 약 52.5%의 제거율을 나타났으며, 5단 반응기에서는 약 62.6%의 제거율이 나타나 약 10%의 효율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pH 변화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실험 (5단 반응기, 온도 $35^{\circ}C$, 기액비 $3min^{-1}$의 동일 조건)에서 8시간 경과 후 pH 9는 약 42.6%의 제거율을 나타났으며, pH 11에서 약 74.4%의 제거율이 나타났다. 온도 변화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실험 (5단 반응기, pH 10, 기액비 $3min^{-1}$의 동일 조건)에서 8시간 경과 후 $25^{\circ}C$에서 약 51%의 제거율을 나타났으며, $45^{\circ}C$에서 약 87.2%의 제거율이 나타났다. 공기주입량 변화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실험 (5단 반응기, pH 10, 온도 $35^{\circ}C$의 동일 조건)에서 8시간 경과 후 기액비 $2min^{-1}$에서 약 45.8%의 제거율을 나타났으며, 기액비 $4min^{-1}$에서 약 75%의 제거율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속 운전 평가를 통해 실증플랜트 설계를 위한 인자 도출에 활용하고자 한다.

서브 마이크론급 구리 입자의 은도금 공정에 따른 내산화성 강화 연구 (Antioxidation Behavior of Submicron-sized Cu Particles with Ag Coating)

  • 최은별;이종현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1-56
    • /
    • 2016
  • 내산화 특성을 가지는 구리(Cu) 기반의 미세 도전 필러를 제조하기 위하여 서브마이크론급의 은(Ag) 코팅 Cu 입자를 제조하고, 그 내산화 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균 크기 $0.705{\mu}m$의 Cu 입자들을 습식 합성법으로 제작한 후, 에틸렌글리콜 용매를 사용한 연속 공정으로 Ag 도금을 실시하여 Ag 도금 Cu 입자를 제조하였다. Ag 도금 공정에서 제어한 주요 변수는 환원제 아스코빅산의 첨가 농도, Ag 전구체 용액의 주입속도 및 혼합 용액의 교반속도였는데, 이들의 변화에 따른 Ag 도금의 특성과 미세한 순수 은Ag 입자의 생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공정변수들을 최적화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순수 Ag 입자들이 생성을 막고, Ag 도금 Cu 입자들간의 응집을 억제할 수 있었다. 최적 제조조건에서 제조된 Ag 도금 Cu 입자들은 다소간의 응집을 나타내었으나, 대기중에서 $10^{\circ}C/min$의 승온속도로 가열 시 약 $225^{\circ}C$에서야 0.1%의 무게 증가를 나타내었고, $150^{\circ}C$의 대기중에서는 75 분까지 무게 증가가 없는 우수한 내산화 특성을 나타내었다.

흰쥐의 Carrageenin 유발 늑막염과 Croton oil 유발 육아종양에 미치는 Cyclobuxine D의 영향 (Effects of Cyclobuxine D on Carrageenin-induced Pleurisy and Croton Oil-induced Granuloma Pouch in Rats)

  • 이종화;박영현;조병헌;김유재;김종배;김정목;김천숙;차영덕;김영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1-157
    • /
    • 1987
  • Steroidal alkaloid인 cyclobuxine D의 carrageenin으로 유발한 늑막염과 croton oil로 유발한 육아종양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고 그 작용을 aspirin, dexamethasone과 hydrocortisone의 작용과 비교하였다. Carrageenin으로 유발한 늑막염에서 혈장 삼출정도는 pontamine sky blue을 정맥으로 투여하여 20분 동안 늑막염 삼출물로 삼출되어 나오는 양으로 측정하였다. Cyclobuxine D는 용량적으로 삼출물의 양과 20분 동안 삼출되는 pontamine sky blue의 양을 감소시켰다. Cyclooxygenase 억제제인 aspirin과 phospholipase $A_2$를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cyclooxygenase와 lipoxygenase의 생성물을 차단하는 dexamethasone은 현저하게 carrageenin으로 나타나는 염증현상을 억제하였다. Cyclobuxine D는 croton oil로 유발한 육아종양에서 종양 부위에 직접 투여하거나 근육내로 투여해도 pouch내 염증물 양과 pouch wall의 무게를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Dexamethasone과 hydrocortisone은 육아종양의 형성을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 dexamethasone은 근육내로 투여 하였을 때 육아종양 형성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나타난 cyclobuxine D의 항염증 작용은 prostaglandins의 생성억제 또는 polymorphonuclear cell (PMN)의 유주 억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 PDF

질벽의 실리콘 액 주사에 의한 폐색전종 및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1예 (A Case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ith Pulmonary Embolism Induced by Injection of Silicone at Vaginal Wall)

  • 강문보;김성태;이정구;서찬종;이화은;정종배;김성권;김철;박정웅;정성환;남귀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3호
    • /
    • pp.414-419
    • /
    • 1999
  • 실리콘 액은 미용 및 성형수술에 널리 사용되어지고 실리콘에 의한 불법적인 의료행위가 증가함에 따라 국소적 부작용 뿐만 아니라 폐 색전증에 의한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등의 치명적인 폐침범의 부작용을 일으킨다는 보고가 있으나 국내보고는 아직 없었다. 본 증례에서는 건강한 39세 젊은 여자 환자가 질벽에 실리콘액을 주사한 후에 발생한 폐 색전증을 동반한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1예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지르코니아의 소결 후 특성 (Surface Characteristics of Ground and Post-Sintered Zirconia)

  • 김민정;김임선;최병환;김원기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57-163
    • /
    • 2016
  • Purpose: It is to compare and evaluate the change of the wear rate and phase variation of the Zirconia before and after the sintering after the grinding by a high speed equipment manufactured for the Zirconia. Methods: The specimen of the sintered Zirconia was manufactured as size of $15mm{\times}15mm{\times}2mm$. The grinding has been applied to each of all pieces of each test groups for a minute fit for each condition at same speed of 50,000 rpm by a diamond bur at high speed handpiece with injection of the air and water. For the observation of the surface before and after the sintering of the each test piece, the cross section of it was observed as 100 magnification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fter it was coated by PT, and the diffract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XDR to compare the crystal phase of the Zirconia. The average surface roughness value of all specimens were evaluated. The wear test was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by applying a load of 1kg for 120,000 cycles for the chewing period 6 months. Wear was analyzed for the enamel cusps by measurement of the vertical substance loss with a laser scanner. Conclusion: The phase variation from the tetragonal phase to the monoclinic phase was confirmed in the test group of the pre-sintered Zirconia after the grinding, and the value of the surface roughness and the wear rate was increased in experimental group.

테들러 백 샘플러의 대체 소재로서 폴리에스터 알루미늄 백에 대한 예비연구: 환원황화합물을 중심으로 (A Preliminary Study on Polyester Aluminum Bag as the Possible Substitute for Tedlar Bag Sampler in RSC Analysis)

  • 김기현;조상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54-459
    • /
    • 2011
  • In this study, the recovery rate of Tedlar bag (T) sampler was investigated in comparison to polyester aluminum bag (P) sampler. To derive the comparative data sets for the relative performance between different samplers, a series of calibr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by using 1 ppb standard of four offensive reduced sulfur compounds (RSC) odorants ($H_2S$, $CH_3SH$, DMS, and DMDS) along with $SO_2$ and $CS_2$. All the analysis was made by gas chromatography/pulsed flame photometric detector (GC/PFPD) combined with air server/thermal desorber (AS/TD). The measurement data were obtained by loading gaseous standards (1 ppb) at 3 injection volumes (250, 500 and 1,000 mL) at three intervals (0, 24 and 72 hrs). The recovery rates (RR) of P sampler were computed against the slope values of T sampler. According to our analysis, P sampler exhibits slightly enhanced loss relative to T, especially with light RSCs ($H_2S$ and $CH_3SH$). At day 0, RR for the two were 88 and 85%, respectively. Such reduction proceeded rather rapidly in the case of $H_2S$ through time. However, P sampler was more stable to store $SO_2$ unlike others. Despite slightly reduced recovery, P sampler appears as a good replacement of T sampler.

임파유통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실험적 연구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oracic Duct Lymph Flow in the Dogs)

  • 김기환;엄융의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9권1호
    • /
    • pp.45-56
    • /
    • 1975
  •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lymph flow from thoracic duct were investigated in an attempt to evaluate their contributing degree and the mechanisms. Sixteen mongrel dogs weighing between 10 and 16 kg were anesthetized and polyethylene catheters were inserted into the thoracic duct and femoral veins. Arterial blood pressure, heart rate, central venous pressure, lymph pressure and lymph flow were measured under various conditions. Electrical stimulation of left sciatic nerve, stepwise increase of central venous pressure, manual application of rhythmical depressions onto abdomen, injection of hypertonic saline solution and histamine infusion were employed. Measurement of cental venous pressure was performed through the recording catheter inserted into abdominal inferior vena cava. Changes in central venous pressure were made by an air-ballooning catheter located higher than the tip of the recording catheter in the inferior vena cava. Lymph flow from thoracic duct was measured directly with a graduated centrifuge tube allowing the lymph to flow freely outward through the inserted cannula. The average side pressure of thoracic lymph was $1.1\;cmH_2O$ and lymph flow was 0.40 ml/min or 1.9 ml/kg-hr. Hemodynamic parameters including lymph flow were measure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or during) applying a condition. Stimulation of left sciatic nerve with a square wave (5/sec, 2 msec, 10V) caused the lymph flow to increase 1.4 times. The pattern of lymph flow from thoracic duct was not continuous throughout the respiratory cycle, but was continuous only during Inspiration. Slow and deep respiration appeared to increase the lymph flow than a rapid and shallow respiration. Relationship between central venous pressure and the lymph flow revealed a relatively direct proportionality; Regression equation was Lymph Flow (ml/kg-hr)=0.09 CVP$(cmH_2O)$+0.55, r=0.67. Manual depressions onto the abdomen in accordance with the respiratory cycle caused the lymph flow to increase most remarkably, e.g,. 5.5 times. The application of manual depressions showed a fluctuation of central venous pressure superimposed on the respiratory fluctuation. Hypertonic saline solution (2% NaCl) administered Intravenously by the amount of 10 m1/kg increased the lymph flow 4.6 times. The injection also increased arterial blood pressure, especially systolic Pressure, and the central venous pressure. Slow intravenous infusion of histamine with a rate of 14-32 ${\mu}g/min$ resulted in a remarkable increase in the lymph flow (4.7 times), in spite of much decrease in the blood pressure and a slight decrease in the central venous pressure.

  • PDF

축소모형실험을 통한 터널 내 급속침수 차폐자동화 시스템 작동형태에 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operation mode of rapid flooding protection system in tunnel)

  • 김연덕;공민택;황병현;김상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1147-1159
    • /
    • 2018
  • 본 연구는 팽창구조체를 이용한 급속차폐 자동화 시스템 검증에 중점을 두었다. 팽창구조체는 해저터널의 침수사고 발생시 막대한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발생하는데 이를 대비한 자동 급속차폐시스템이다. 특히 해저터널의 시공 및 운영에 있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고안된 팽창구조체를 이용한 급속차폐 자동화 시스템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검증을 하기 위해 모형터널을 40:1 축소율을 적용한 실내모형을 제작하여 0.1 bar, 0.15 bar의 공기압을 주입하여 10 sec, 20 sec로 팽창속도에 따라 나누어 4 case로 실험을 진행하여 누수량, 수압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팽창구조체의 팽창 시 0.1 bar 보다 0.15 bar일 때 차폐효율이 좋았으며 팽창구조체의 공기압 주입 시간에 따른 차폐효율 및 유입수 제어효율의 차이도 나타났다. 본 연구 진행 결과 팽창구조체가 완벽하게 팽창한다는 가정조건에서는 팽창구조체의 내부공기압이 높고 팽창속도가 빠를수록 더욱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향후 추가적인 팽창구조체의 보관방법, 형상과 팽창유도체 및 차폐시 팽창구조체의 이동억제와 유입수 제어에 도움이 되는 쐐기형 구조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호소수 탁도변화 대응을 위한 고플럭스 막여과공정의 Pilot 연구 (A pilot study of high flux membrane process for responding to influent turbidity changes in reservoir water)

  • 강준석;성자영;유제완;김형수;이재규;전민혁;천지훈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93-402
    • /
    • 2020
  • In the membrane process, it is important to improve water treatment efficiency to ensure water quality and minimize membrane fouling. In this study, a pilot study of membrane process using reservoir water was conducted for a long time to secure high flux operation technology capable of responding to influent turbidity changes. The raw water and DAF(Dissolved Air Flotation) treated water were used for influent water of membrane to analyze the effect of water quality on the TMP (Trans Membrane Pressure) and to optimize the membrane operation. When the membrane flux were operated at 70 LMH and 80 LMH under stable water quality conditions with an inlet turbidity of 10 NTU or less, the TMP increase rates were 0.28 and 0.24 kPa/d, respectively, with minor difference. When the membrane with high flux of 80 LMH was operated for a long time under inlet turbidity of 10 NTU or more, the TMP increase rate showed the maximum of 43.5 kPa/d. However, when the CEB(Chemically Enhanced Backwash) cycle was changed from 7 to 1 day, it was confirmed that the TMP increase rate was stable to 0.23 kPa/d. As a result of applying pre-treatment process(DAF) on unstability water quality condi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TMP rise rates differed by 0.17 and 0.64 kPa/d according to the optimization of the coagulant injection. When combined with coagulation pretreatment, it was thought that the balance with the membrane process was more important than the emphasis on efficiency of the pretreatment process. It was considered that stable TMP can be maintained by optimizing the cleaning conditions when the stable or unstable water quality even in the high flux operation on membrane process.

미세기포 세척장비를 이용한 도로시설물 염화칼슘의 제거 (Removal of calcium chloride in road structure using ultra-fine bubble washing machine)

  • 박일건;이준형;박형준;김현진;김흥래;조일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281-1289
    • /
    • 2019
  • 본 연구는 도로시설물의 염화칼슘 제거를 위한 미세기포 세척장비의 최적 운용조건에 대하여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미세기포의 직경은 196.6±100.6nm에 1.36×108개/ml의 농도를 나타낸다. 세척장비의 분사장치에 대한 실험 성능결과, 100bar의 분사압력에서 100cm, 150cm 분사거리에 약 93%, 91%의 세척효율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세기포 생성(순환)횟수를 2-6회로 증가시킴에 따라 최소 1%에서 7%까지 염화물 제거율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미세기포 생성 공기유량을 4 ml/min에서 0.5 ml/min으로 낮춤에 따라 세척효율이 최대 30%까지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일반 상수도와 미세기포의 세척효율은 미세기포가 일반상수도 보다 세척효율이 25%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