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Sector Cooperativ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3초

대만의 양돈산업 (Pig Industry in Taiwan)

  • 최찬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3권1호
    • /
    • pp.95-106
    • /
    • 1996
  • Pig industry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sector in Taiwan since 1970s, and produce one fourth of the agricultural income. The industry has made great improvements in breeding, raising and quality production while marketing and processing have interrelated efficiently with production. As one of the mayor factor to the present success, cooperative research and extension has been institutionalized among the government agencies, farmer`s associations and research institutions, inter-linked with the farmer`s problem-solving process. At present, the industry is seeking an appropriate strategy and measures to upgrade the pollution control and cost efficiency in production. This paper reviewed an industry case historically in Taiwan in order to draw the implications to the emerging farm sector in whic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quality improvement are to be considered.

  • PDF

베트남 농업구조개혁과 협동조합의 계약영농: 중부베트남의 농촌을 사례로 (Contract Farming Through a Cooperative to Boost Agricultural Sector Restructuring: Evidence from a Rural Commune in Central Vietnam)

  • 드응 티 투 하;김두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9-130
    • /
    • 2022
  • 베트남 정부는 농업구조개혁을 위해 새로운 협동조합을 통한 계약농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베트남 농민은 정책에 따른 구조 전환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다. 따라서 정책 과정에 따른 농민들의 토지이용 및 생존전략을 이해하는 것은 이러한 농업개발정책에 있어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중부 베트남의 전형적인 농촌 마을 중 하나인 빈다오사(社)(Binh Dao commune)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GIS을 이용한 토지이용 변화 분석 및 190명의 농민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계약농업 도입 전후의 농촌 노동력 구조와 생업활동의 변화와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협동조합을 통한 계약농업은 농민-협동조합-농산물판매회사로 이어지는 수직적 가치사슬을 형성하고, 기계화를 통한 효율적 토지이용에 기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농산물 시장가격의 리스크로 부터 농민들을 보호하는 순효과를 가져왔다는 것이 밝혀졌다. 한편,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의 협동조합을 통한 계약농업은 애초에 의도했던 농촌 노동력을 비농업부문으로 재배치하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빈다오사(社)의 농민들은 농업구조개혁 과정에서 경작면적을 늘리려는 경향이 있었다. 즉, 베트남 농촌지역의 제한적인 농외 취업기회로 인해, 빈다오사(社)의 농민들은 기계화와 생산성 향상으로 생긴 잉여 가족노동력을 역설적으로 농업부문에 집중시키는 생존전략을 선택한 것으로 보여된다. 그 결과 빈다오사(社)의 농민들은 협동조합의 계약농업을 통한 농업구조개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족노동력에 의존한 소농체제에 머물러 있다.

협동조합기번법 시행과 농업법인 관련 법제 개선 방향 (Trends of Cooperatives Establishment in Rural Korea and Improvement of Legislation)

  • 김정섭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1호
    • /
    • pp.1-34
    • /
    • 2014
  •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되고 농업 부문에서 협동조합 법인들이 활발하게 설립되고 있다. 이들 '농업 분야 협동조합'은 법률적 의미의 농업법인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협업적 농업을 추구한다는 점과 1인 1표제로 대표되는 민주적 의사결정의 원칙을 따른다는 점에서, '농업 분야 협동조합'과 농업법인의 일종인 영농조합법인의 기원, 조직 구성 및 운영의 원리, 조직의 목적 등이 유사하거나 동일한 부분이 많다. 그럼에도 '농업 분야 협동조합'이 농업법인으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현실에서는 법률적 형평성 문제가 여럿 제기될 수 있다. 두 유형의 법인들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형평성 문제를 '농지 소유 및 이용에 관한 권리', '조세 감면 조치의 대상', '농업 정책의 대상 자격 및 규제 특례'라는 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농업 분야 협동조합' 법인을 농업법인의 일종으로 간주하여 형평성 문제를 완화하는 법제 개선이 필요하다. "농어업 농어촌 및 식품산업기본법"과 "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비롯하여 수십 종의 관련 법률과 그 하위 시행령, 시행규칙, 행정지침 등을 개정해야 한다.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가능성 탐색 (Feasibility Exploration of Social Cooperatives as a Community Social Work Practice Model)

  • 조미형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3호
    • /
    • pp.91-119
    • /
    • 2014
  • 본 연구는 사람들 간의 관계를 토대로 하는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에서 사회적 배제와의 투쟁 전략으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사회적협동조합은 사회복지법인이나 사회적기업과 더불어 새로운 형태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기관일 뿐인가? 사회복지부문은 협동조합의 속성에서 비롯되는 효과를 사회통합의 기제로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기존의 사회복지기관은 정부와 이용자 사이의 중간 매체로서 기능했다면, 사회적협동조합은 지역사회 안에서 다양한 이해당사자와 협동의 관계 속에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런 관점에서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농촌 청소년 교육의 과제와 발전방향 (A Study on the Issues and Alternatives of Rural Youth Education)

  • 오해섭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1권2호
    • /
    • pp.225-240
    • /
    • 2004
  • This study sought to search for the new alternatives and direction to develop and strengthening rural youth education in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articles, proceedings and other sources relevant to the pending issues and difficulties of rural youth education in Korea. Some of the critical needs for improving rural youth education in Korea included the following aspects or alternatives; 1) Strengthening the partnership between rural adult and youth would be necessary to gain broader support and to establish the increased awareness of adults for rural youth education. 2) Better coordination and cooperative efforts should be emphasized among various programs and institutions in implementing rural youth education policies and programs. 3) Developing a strong link between the agribusiness sector and the rural youth education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to produce the effective results. Further activities to develop and implement diverse programs and projects to cope with new trends In farming and agriculture as well as changing trends in marketing sector of agribusiness and rural communities in Korea. The rural leadership and community networks should be established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rural youth educational activities.

  • PDF

농업분야 신생 협동조합의 현황과 유형별 특징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Established Cooperatives in Agricultural Sector)

  • 최경식;남기포;황대용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4호
    • /
    • pp.967-1006
    • /
    • 2014
  • 본 연구는 협동조합기본법에 의해 설립된 농업분야 협동조합의 운영현황과 유형별 특징을 파악하여 시사점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하여 195개의 협동조합을 설문조사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농업분야 협동조합은 설립목적에 따라서 사업자협동조합, 소비자협동조합, 사회적 협동조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업자협동조합은 조합원의 소득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생산자협동조합과 직원협동조합으로 나누어지지만, 생산자 협동조합 비율이 매우 높다. 사업자 협동조합은 조합규모가 30명 내외 규모가 많고 1인당 출자금은 모든 협동조합 유형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또한, 생산과 가공 그리고 유통업을 겸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영업방식은 온라인을 활용하거나 안정적인 계약관계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소비자 협동조합은 소비자 협동조합과 이해관계자 협동조합으로 나누어지며 조합원의 복지를 설립목적으로 한다. 조합규모는 30명이상의 규모가 많지만 1인당 출자금 액수는 낮은편이다. 유통업을 주업종으로 영위하며 판매방식은 인적 네트워크와 고정점포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사회적 협동조합은 공익목적으로 설립되고 10명이하 소규모인 경우가 많으며 1인당 출자금 또한 가장 적다. 운영 및 사업내용은 소비자 협동조합과 유사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협동조합의 유형별 사업모델에 따라 적정규모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설립과정에서의 지원정책보다는 사업개발 및 경영안정화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데 있다. 또한 농협과 연계한 지원정책도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다만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심층적인 사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未完工干拓地의 定住生活 實態分析 (III) - 部落의 生活環境 - (Analysis on the Settlement Conditions in the Troubled Reclaimed Areas Under State Control (III) - Living Conditions in Rural communities -)

  • 최수명;황한철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73-80
    • /
    • 1991
  • In Korea, small-scale reclaimed areas have been suffering from many problems because of the lack of comprehensive developing strategy although considerable investments have been inputed by the public sector since 1970's. For 3 reclaimed sites in Chonnam Province chosen as case study areas, the analysis, the third attempt of widely-spanned studies on areal conditions, concentrated on their living conditions. Its results were as follows : 1. Although rural residents have increased their concern on health and medical services, the public sector can only serve basic and emergent level of them, and therefore, the private sector, which is mostly placed in urban areas and costed much higher than public one, has the dominant share of those services. So, because those costs are a great expense to rural residents, their supplying system should be planned with special reference to lightening the economic burden of them. 2. By the development of locally fitted programs and innovative systems, the rural education should be qualitatively improved to deal successfully with its small scale. That will result in increasing the schooling rate to schools in rural communities, lightening the economic burden of rural residents on education services and finally activating them to contribute the betterment of rural education. 3. Servicing level of water supply, sewerage and garbage disposal in the reclaimed areas has been remaining at the lower order even in other rural areas. In the design of rural water supply, average daily consumption per capita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e of fishing households and variety of the source of water supply. 4. Most of rural residents in the reclaimed areas want to establish the welfare facilites for the infant, youth, aged and public bath However in the long-term basis, the cooperative production and processing facilities should be considered for modernized efficient farming.

  • PDF

기초생활권 발전계획 농림수산부문의 체험 및 관광사업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and Tourism Business Plan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ector for Basic Settlement Area Development Plan)

  • 이경진;김남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8권4호
    • /
    • pp.825-860
    • /
    • 2011
  • For the first time basic settlement area development plan was established in 2010, in order to promote cooperative coexisting development among regions, as time that regional competitiveness determines national competitiveness started. Basic settlement area development plan is composed of 7 sectors and 24 general subsidy projects. It was judged that experience and tourism business as the center is required to be analyzed, which may have effect on activation of farm village, fishing village and mountain village, and inflow of city people,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ector in order that added value of agriculture and fishery is increased, and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are applied, and pur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is developed. And currently farm village, mountain village and fishing village of our country faces desperate crisis situation that they cannot help groping for substitutive to create new revenue model, and agriculture and fishery of primary industry has limit of increasing income of farmer and fisherma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experience and tourism business was classified by types, and then standard of 12 categories and 48 sections was prepared, for searching method to supplement and develop it. Trend of experience and tourism business was understood, and problem was found, and then it may be used as indicator material to carry out creative and differentiated business plan establishment and business operation, and may be opportunity to reject overlapped business among regions, and to promot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농산물 통합유통정보관리시스템 표준화 추진 방향 (The standardization directions on integrated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agricultural products)

  • 민재홍;허미영;박주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17-620
    • /
    • 2016
  • 국내 농산물 유통분야는 농산물의 유통효율성 제고와 수급 및 가격의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농산물 유통 단계별 주체별 기능별로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유통 및 물류관리 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체 공급 사슬의 참여주체 간 상품 물류 정보 자금흐름 등에서 통합 연계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수급안정과 물류효율성 제고를 실현할 수 있는 방안 제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방안제시의 일환으로 농산물 유통 프로세스 상의 정보 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농산물 유통 정보를 통합 연계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농산물 통합유통정보시스템 구조에 대한 참조 표준 모델 및 정보 구조의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농촌지역 개발정책의 지방화 방향 (Localization of the Rural Development Policy)

  • 최찬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4권1호
    • /
    • pp.57-72
    • /
    • 1997
  • Korean agriculture and rural sector has undergone a wide range of reform after the Uruguay Round. Major policy measure is to put finances of huge budget from tax payers since 1994 in preparation of the Rural Development Strategy and Reform Program. Both in the total amount and individual size of the subsidy and loan for eligible farmers and farmers group are large and drastically enormous than any other programs in the past. The strategy adopted was a bottom-up approach, Particularly in selecting the project with local autonomy. However, it has been still criticized as the form of centralized control of budget and decsion. In terms of the program effectiveness too, it is doubtful to judge that Korean agriculture is in a road to getting the international competetiveness as targeted. Since the local autonomy was started in 1995, the political structure has been settling in a way to be more locally institutionalized. Rural development policy, as the key point of economic and industrial dimension of local autonomy, should be initiated and practiced in real term by the local government. This paper, in this concern, in reviewing the past rural development prolicy and programs, discussed the necessary issues relevant to legal bases of land uses in Korea. Further, the direction of increasing local automous power of local government was discussed in the senses of budgetary control and decision. The power and budget should be allocated more to the rural development plans of local government in order to fulfilize integrated rural spatial development in this new era of global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