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2653/jecd.2011.18.4.825

A Study 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and Tourism Business Plan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ector for Basic Settlement Area Development Plan  

Lee, Kyung-Jin (공주대학교 조경학과)
Kim, Nam-Hyun (공주대학교 조경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v.18, no.4, 2011 , pp. 825-86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For the first time basic settlement area development plan was established in 2010, in order to promote cooperative coexisting development among regions, as time that regional competitiveness determines national competitiveness started. Basic settlement area development plan is composed of 7 sectors and 24 general subsidy projects. It was judged that experience and tourism business as the center is required to be analyzed, which may have effect on activation of farm village, fishing village and mountain village, and inflow of city people,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ector in order that added value of agriculture and fishery is increased, and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are applied, and pur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is developed. And currently farm village, mountain village and fishing village of our country faces desperate crisis situation that they cannot help groping for substitutive to create new revenue model, and agriculture and fishery of primary industry has limit of increasing income of farmer and fisherma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experience and tourism business was classified by types, and then standard of 12 categories and 48 sections was prepared, for searching method to supplement and develop it. Trend of experience and tourism business was understood, and problem was found, and then it may be used as indicator material to carry out creative and differentiated business plan establishment and business operation, and may be opportunity to reject overlapped business among regions, and to promot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Keywords
Basic Settlement Area Development Pla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ector; Farm Village, Mountain Village and Fishing Village; Classification by Typ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선영. (2008). 농촌체험관광마을의 장소자산과 유형: 경기도 농촌체험관광마을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4).
2 고영길. (2007). 농촌관광사업 지원제도 연구: 강원도 신활력지역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관광경영학과 박사학위논문.
3 김경래. (2009). 농촌의 생태자원이 관광지 선택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농촌체험 관광을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대학원 관광경영학과 박사학위논문.
4 김선기. (2009). 지역발전 계획수립의 절차와 방법.
5 김현철. (2009). 기초생활권 연계.협력사업 추진방향. 리전인포, 제176호.
6 김현호, 김선기, 한경원, & 최정석. (2010). 기초생활권 발전정책의 특성과 과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340.
7 김현호. (2009). 기초생활권 발전을 위한 전략. 2009한국도시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8 문선희, 박덕병, & 김경희. (2009). 제주 농촌관광 방문객의 체험프로그램 선호 및 만족도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농촌지도와 개발, 16(4), 795-835.
9 박시현. (2003). 농촌관광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월간국토, 263.
10 박영일. (2007). 체험유형 선호에 따른 농촌체험관광마을 태도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마케팅전공 박사학위논문.
11 성주인, & 송미령. (2003). 지역유형 구분과 농촌지역의 유형별 특성. 농촌경제, 26(2).
12 손호기, & 김상범. (2010). 농촌체험마을 경관의 보전가치평가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농촌지도와 개발, 17(4), 897-918.
13 송미령. (2009). 기초생활권 유형별 발전전략과 정책과제. 지역발전위원회.
14 송미령. (2009). 기초생활권 유형별 계획수립 매뉴얼 개발. 국가균형발전위원회.
15 오순환. (2000). 관광의 지역경제적 역할과 파급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원융희. (2002). 한국전통문화의 체험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산업학회, 16, 51-63.
17 이광희, & 김영준. (1999). 체험관광 상품개발 활성화 방안. 한국관광연구원.
18 이성재. (2009). 기초생활권 발전구상: 구체적 가이드라인 제시 시점. 행정공제회.
19 이을규. (2006). 농촌 활성화사업 유형에 관한 연구: 일본 관동지방 그린투어리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8(3), 통권 24호, 67-74.
20 장화숙. (2005). 체험관광을 통한 농촌지역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정대영. (2011). 체험유형별 농촌체험마을 계획에 관한 연구: 체험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전북발전연구원. (2009). 전라북도 기초생활권 유형 및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대응 연구.
23 조소현. (2009). 지방재정조정제도 포괄보조금 운영방법에 대한 연구: 국가균형발전 특별회계 지역개발계정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정책대학원 공공정책전공 석사학위논문.
24 조영숙, 이문주, & 조록환. (2009). 농촌체험마을의 관광자원 해설인력의 행태분석. 한국농촌지도학회, 농촌지도와 개발, 16(3), 587-614.
25 조항원. (2009).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유형별 저탄소 농촌계획요소 정립연구. 협성대학교 대학원 도시건축공학과 도시계계획전공 공학석사학위논문.
26 지역발전위원회. (2009). 기초생활권발전계획 수립 매뉴얼 요약집. 지역발전위원회.
27 지역발전위원회. (2010). 한눈에 보는 기초생활권 발전계획(2010-2014).
28 지역발전위원회. http://www.region.go.kr/
29 최영창, 박은식, & 이은영. (2007). 청소년 농촌체험관광의 서비스품질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농촌지도와 개발, 14(1), 149-170.
30 최효영. (2009). 농촌관광 지원요소가 농촌관광사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관광경영학과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