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협동조합기번법 시행과 농업법인 관련 법제 개선 방향

Trends of Cooperatives Establishment in Rural Korea and Improvement of Legislation

  • 투고 : 2014.02.11
  • 심사 : 2014.03.10
  • 발행 : 2014.03.30

초록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되고 농업 부문에서 협동조합 법인들이 활발하게 설립되고 있다. 이들 '농업 분야 협동조합'은 법률적 의미의 농업법인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협업적 농업을 추구한다는 점과 1인 1표제로 대표되는 민주적 의사결정의 원칙을 따른다는 점에서, '농업 분야 협동조합'과 농업법인의 일종인 영농조합법인의 기원, 조직 구성 및 운영의 원리, 조직의 목적 등이 유사하거나 동일한 부분이 많다. 그럼에도 '농업 분야 협동조합'이 농업법인으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현실에서는 법률적 형평성 문제가 여럿 제기될 수 있다. 두 유형의 법인들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형평성 문제를 '농지 소유 및 이용에 관한 권리', '조세 감면 조치의 대상', '농업 정책의 대상 자격 및 규제 특례'라는 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농업 분야 협동조합' 법인을 농업법인의 일종으로 간주하여 형평성 문제를 완화하는 법제 개선이 필요하다. "농어업 농어촌 및 식품산업기본법"과 "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비롯하여 수십 종의 관련 법률과 그 하위 시행령, 시행규칙, 행정지침 등을 개정해야 한다.

In urban as well as rural areas, there is a vigorous movement to establish cooperatives which are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Eight months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law, more than 600 cooperatives reported their articles of association to the competent Mayor/Governor in rural areas. Considering the population distribution in urban and rural areas, this is not a small number. Though recently established rural cooperatives are acting throughout diverse business sectors, cooperatives in agricultural sector, which engage in agricultural production, processing and sales, occupy the largest portion of all the rural cooperatives. There are two types of juridical person that are allowed to engage i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processing and sales by the laws. They are Farm Association and Agricultural Business Corporation. Now in rural Korea, farmers tend to establish cooperatives by the Framwork Act On Cooperatives which are in the same business sector with Farm Association or Agricultural Business Corporation. There are many needs to improve legislation regarding cooperatives. Above all, the laws about Farm Association and Agricultural Business Corporation are in urgent need of improvement for the emerging rural cooperatives to be treated fairl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철, 박광동, 차현숙, 김종천, & 류창호. (2012). 협동조합기본법 제정에 따른 법체계 분석 연구. 기획재정부.
  2. 기획재정부. (2012). 협동조합기본법 시행령(안) 및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관계정부부처 합동회의 자료.
  3. 김기태. (2013). 협동조합법이 새로운 희망이 될 수 있을 것인가(1). 시선집중 GSnJ, 제154호, GS&J 인스티튜트.
  4. 김기태, 김연민, 김원경, 박주희, & 신동욱. (2012). 농업분야 협동조합기본법 시행영향 및 제도 정비에 관한 연구. 농림축산식품부.
  5. 김미복 & 김수석. (2011). 농업부문 조세체계와 개선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 김수석. (2007). 농업법인의 실태와 제도 개선방안. 농촌경제, 30(4), 105-126.
  7. 김영미. (2009). 그들의 새마을운동. 푸른역사.
  8. 김정섭. (2013). 농촌 지역사회의 자율성과 협동조합: 홍동면 사례 연구. 농촌사회, 23(2), 173-223.
  9. 김정섭 & 김미복. (2013). 농촌 지역의 협동조합 설립 동향과 제도 개선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김정섭, 김미복 & 마상진. (2013). 협동조합기본법 제정 및 시행의 시사점과 농촌정책의 과제. 농촌지도와 개발, 20(1), 1-40.
  11. 김정섭, 마상진 & 김미복. (2012). 협동조합기본법 제정의 시사점과 농업.농촌 정책의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김정호 & 박문호. (1994). 영농조합법인의 실태와 육성방안: 농업법인제도의 재정립을 위한 접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 서울시 협동조합 상담센터. (2012). 협동조합 이해하기. 서울시 협동조합 상담센터.
  14. 안전행정부. (2014). 2014년 마을기업 육성사업 시행지침. 안전행정부.
  15.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www.law.go.kr).
  16. 국회. 정보시스템 홈페이지(www.assembly.go.kr).
  17. 기획재정부. 협동조합 홈페이지(www.cooperatives.go.kr).
  18.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홈페이지(www.iros.go.kr).

피인용 문헌

  1. 농업분야 소규모 협동조합 유통체계 구축을 위한 우선순위 평가 vol.13, pp.12, 2014, https://doi.org/10.15722/jds.13.12.20151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