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Established Cooperatives in Agricultural Sector

농업분야 신생 협동조합의 현황과 유형별 특징

  • Choi, Kyung Sik (Agricultural Cooperative University) ;
  • Nam, Gi Pou (Agricultural Cooperative University) ;
  • Hwang, Dae Yong (Farm Management Division, Technology Cooperation Burea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Received : 2014.09.27
  • Accepted : 2014.11.11
  • Published : 2014.12.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policy recommendations in promoting new cooperatives established in agriculture based on the 2012 Cooperative Act.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195 newly established cooperatives as the policy target of this study. The new cooperatives were classified as three kinds namely as 'Business' Cooperatives', 'Consumers' Cooperatives', 'Social Cooperatives' based on their member attributes and objectives. Interesting to note that, all of these new cooperatives born by the new Act has taken the marketing business as their main stream business. Among the three types, 'Business Cooperatives' are ranked the highest amount of capital shares per person in average, having about 30 members in size. In categorization, 'Business Cooperatives' include farmer cooperatives as majority and employee cooperatives. They are usually involved in both production and marketing and even in processing activities, and have tried to secure their business performance by e-commerce and stable business contracts. Their diverse activities are highly associated with their local community. Consumers' Cooperatives include consumer cooperatives and stakeholder cooperatives in achieving welfare of members. This type has lower share in capital but has over 30 members in a cooperative, taking marketing (distribution) business as main and often take advantage of their social network and physical store. Regional relationships are less than producer cooperatives. 'Social Cooperatives' are established by public interest and have around 10 members and lowest per capital. their business and community activity is similar to the consumer cooperatives. This study recommends the needs of designing suitable business models by these three types of cooperatives in the future, while appropriating their membership size for their tangible business operations. The government policy direction should aim to develop their new business opportunities and its management stabilization, especially in conjunction with the existing agricultural cooperatives (Nonghyup). It must be rather than to provide simply policy supports for establishment. An in-depth study is recommended in this regard.

본 연구는 협동조합기본법에 의해 설립된 농업분야 협동조합의 운영현황과 유형별 특징을 파악하여 시사점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하여 195개의 협동조합을 설문조사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농업분야 협동조합은 설립목적에 따라서 사업자협동조합, 소비자협동조합, 사회적 협동조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업자협동조합은 조합원의 소득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생산자협동조합과 직원협동조합으로 나누어지지만, 생산자 협동조합 비율이 매우 높다. 사업자 협동조합은 조합규모가 30명 내외 규모가 많고 1인당 출자금은 모든 협동조합 유형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또한, 생산과 가공 그리고 유통업을 겸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영업방식은 온라인을 활용하거나 안정적인 계약관계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소비자 협동조합은 소비자 협동조합과 이해관계자 협동조합으로 나누어지며 조합원의 복지를 설립목적으로 한다. 조합규모는 30명이상의 규모가 많지만 1인당 출자금 액수는 낮은편이다. 유통업을 주업종으로 영위하며 판매방식은 인적 네트워크와 고정점포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사회적 협동조합은 공익목적으로 설립되고 10명이하 소규모인 경우가 많으며 1인당 출자금 또한 가장 적다. 운영 및 사업내용은 소비자 협동조합과 유사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협동조합의 유형별 사업모델에 따라 적정규모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설립과정에서의 지원정책보다는 사업개발 및 경영안정화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데 있다. 또한 농협과 연계한 지원정책도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다만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심층적인 사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태. (2012a). 농식품 생산.유통.가공영역의 새로운 협동조합 전망과 농협과의 관계. 농정연구, 42, 15-34.
  2. 김기태. (2012b). 농업인생산자조직의 협동조합화를 위한 과제, 제21차 지역리더포럼: 협동조합기본법의 제정과 농업.농촌의 대응과제. 지역재단, 37-62.
  3. 김두년. (2012). 협동조합기본법 제정의 의미와 과제. 한국협동조합연구, 30(2), 1-21.
  4. 김정섭, 마상진, & 김미복. (2012). 협동조합기본법 제정의 시사점과 농업.농촌 정책의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 김정섭, & 김미복. (2013). 농촌 지역의 협동조합 설립 동향과 제도 개선 과제. 한 국농촌경제연구원.
  6. 김종선, 김정호, 박문호, & 김창호. (2013). 지역농업 활성화를 위한 협동조합의 역할과 발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박범용. (2012). 협동조합간 지역연대 전략의 모색. 농정연구, 42, 49-70.
  8. 설광언, & 김동석. (2012). '협동조합기본법'이 경제에 미칠 영향. 한국개발연구원.
  9. 오은주, & 김선기. (2012).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KRILA Focus, 51,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0. 오은진, 김복태, & 감난주. (2012). 협동조합법 시행에 따른 여성일자리 확대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1. 원종욱, 김태완, 김문길, 윤문구, 엄형식, 윤시몬, 임완섭, & 정은영. (2012). 협동조합기본법 도입이 시장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2. 이철선, 권소일, 남상호, 김미숙, 오영호, 윤강재, 김현식, & 이상림. (2012). 협동조합기본법 관련 현황조사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 이철선, 노대명, 김태완, & 권소일. (2013). 2013년 협동조합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정승주, 이태형, & 신민성. (2013). 화물운송협동조합 도입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통연구원.
  15. 조우석. (2013). 2013 서울시 일반 협동조합 실태조사 보고서. 희망제작소.
  16. 채종헌. (2013). 지역 사회통합과 발전을 위한 협동조합의 활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17. 최양부. (2012). 협동조합기본법시대의 새로운 협동조합운동의 방향과 농업.농촌의 실천 과제. 제21차 지역리더포럼 - 협동조합기본법의 제정과 농업.농촌의 대응과제. 지역재단, 3-35.
  18. 한창용. (2014). 중소기업으로서 협동조합의 가능성과 정책과제. 산업연구원.
  19. 허은영. (2012). 문화예술 분야 협동조합 제도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 협동조합 홈페이지, www.coop.go.kr.

Cited by

  1. 농업분야 소규모 협동조합 유통체계 구축을 위한 우선순위 평가 vol.13, pp.12, 2014, https://doi.org/10.15722/jds.13.12.201512.65
  2. Exploratory Study on Determinant Factor for Sustainability of the New Cooperatives in Agricultural Sector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Turnover and Business Network- vol.33, pp.2, 2015, https://doi.org/10.35412/kjcs.2015.33.2.002
  3. 농촌의 사회적 경제 조직, 실태와 과제 vol.23, pp.1, 2016, https://doi.org/10.12653/jecd.2016.23.1.0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