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fectionate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2초

부모의 의도적 통제 및 양육행동과 영아의 의도적 통제 간의 관계 (Relations between Parents' Effortful Control,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s' Effortful Control)

  • 배윤진;임지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53-64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the associations between parents' effortful control (EC), their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s' EC.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55 infants and their parents.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plied to questionnaires, including ECBQ-SF, ATQ-SF and Parenting style scale.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arents' EC, affectionate parenting style and infants' EC by zero-order correlation. We also performed Mann-Whitney test on the acquired data and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fants' EC by their parents' EC and parenting behavior. More specifically, infants with more affectionate and permissive parents showed higher levels of EC. Finally, we performed a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nd its results reveal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arents' EC and the infants' EC decreased when the parenting style was controlled. These results are vital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n the developmental pathways to the EC.

영아기와 걸음마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ants' and Toddler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

  • 김미정;이경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3-271
    • /
    • 2011
  • 본 연구는 영아기와 걸음마기 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직 간접적 영향을 경로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대전시의 영아기와 걸음마기 유아의 어머니 232명이며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 양육효능감 척도, 유아의 기질 척도가 사용되었다. 예비조사를 거쳐 본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척도의 신뢰도를 산출하고 요인분석을 통하여 타당도를 검증한 후 연구문제에 따라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애정 및 허용 방임적 양육행동에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질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통제 양육행동에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아의 기질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애정과 허용 방임 양육행동의 경우 유아의 기질이, 권위주의적 통제 양육행동의 경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가장 큰 인과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써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어머니의 애정 및 권위주의적 통제 및 허용 방임 양육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가 있으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간에 매개역할도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의 기질은 어머니의 애정 및 허용 방임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어머니의 애정 및 허용 방임 양육행동의 경우 유아의 기질이 권위주적 통제 양육행동의 경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더 중요한 예측변인임을 알 수 있다.

취업모의 직장-가정 역할갈등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ing Mother's Work-Family Role Conflict on Child-Rearing Attitudes)

  • 박봉선;엄명용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4호
    • /
    • pp.7-39
    • /
    • 2016
  • 본 연구는 취업모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인 직장과 가정 사이의 역할갈등의 방향적(일${\rightarrow}$가정 역할갈등, 가정${\rightarrow}$일 역할갈등)측면과 유형적측면(시간, 긴장, 행동갈등)을 살펴보고, 취업모의 직장-가정 역할갈등(WFC)과 양육태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울산 지역의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 267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직장-가정 역할갈등(WFC)의 방향적 측면과 양육태도를 검증해본 결과, 취업모의 일${\rightarrow}$가정 역할갈등(WIF) 총합이 높을수록 애정적 양육태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거부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모의 가정${\rightarrow}$일 역할갈등(FIW) 총합이 높을수록 자율적 양육태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모의 직장-가정 역할갈등(WFC)의 유형적 측면(시간, 긴장, 행동갈등)과 양육태도를 검증해본 결과, 행동갈등과 시간갈등은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긴장갈등은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모의 일${\rightarrow}$가정 긴장갈등이 높을수록 애정적 양육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거부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모의 가정${\rightarrow}$일 긴장갈등이 높을수록 애정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언이 제시되었다.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al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ts on Self-esteem)

  • 김기승;함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40-450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등 220명을 대상으로 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답변이 불성실하거나 응답이 누락된 설문지 22부를 제외하고 총 18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 아동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배경에 다른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는 아버지에 비하여 어머니의가 더 높은 관계로 나타났다. 아동의 학년에 따라서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버지의 양육태도 중 애정적 태도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거부적 과잉보호적 태도가 낮게 나타나며 애정적 태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그리고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 중에서 애정적 태도와 과보호적 태도가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아버지양육태도의 애정적 태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성인진입기 인식의 매개 효과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Perception of Emerging Adulthoo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 장희순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3호
    • /
    • pp.307-332
    • /
    • 2020
  • 본 연구는 Arnett이 제안한 성인진입기에 해당하는 대학생들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애정적, 거부적)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명확성, 그리고 성인진입기 특성 중 '가능성'과 '불안정' 차원을 통해 평가한 성인진입기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지방(경북, 대전, 강원) 소재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58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에 대해 SPSS 25.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애정적, 거부적), 자기개념명확성, 성인진입기 인식(가능성, 불안정성)은 모두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애정적, 거부적) 각각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가 양쪽 모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진입기 인식의 매개효과는 애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성인진입기 '가능성' 인식의 매개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애정적)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성인진입기 인식(불안정)이 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하는 경로와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거부적)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성인진입기 인식(불안정)이 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하는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상담 및 교육에서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부모 가정의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정서적 문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Emotional Problems on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in Single Parent Families)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1호
    • /
    • pp.1-2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asure for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emotional problems on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in single parent families with the parent resource perspective. The study consisted of 230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single parent (living with either mother or father only) families in the 4th year panel (2013)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All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1.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wer level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were found among adolescents who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s more affectionate. On the contrary,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were detected among adolescents who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s more intrusiveness. The more the inconsistent parenting practices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higher the degree of depression. Second, a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found among adolescent who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including monitoring, affection and reasoning.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parenting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Third, a low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observed among adolescent who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emotion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Fourth,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and emotional problems on life satisfaction, affection parenting of all positive parenting styles and depression among emotional problems had an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e more affectionate a parent is with his/her children in parenting, the lower the degree of depression in adolescents, and the lower degree of depression in adolescents, the higher degree of life satisfaction was found among adolescents from single parent households.

수학 학습 부진아와 교사의 유관 조절식 상호작용의 효과 - Vygotsky 이론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interaction based on contingent regulation between teacher and underachiever in elementary mathematics - Based on Vygotsky theory -)

  • 류성림;정윤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371-38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teraction based on contingent regulation between teacher and underachiever in elementary mathematics.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contingent regulation and natural regulation in mathematics achievement\ulcorner (2)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contingent regulation and natural regulation in affectionate perspective\ulcorner (3)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contingent regulation and natural regulation in adult regulation\ulcorner Two classes of fifth grade Children(10 children) were sampled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city of Daegu. One of them was assigned to the contingent regulation group and the other to natural regulation group.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7 weeks. Two kinds of test instruments were used : pre-test and post-test. The pre-test scores guaranteed that both groups were homogeneous. Post-test was used to identify two effects(research questions (1) & (2)) and the post-test scores were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ingent regulation and natural regulation in mathematics achievement. This means that experiment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contingent regulation was higher in post-test. The self-control indicated in experiment group. (2) There was slight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ingent regulation and natural regulation in affectionate perspective. This means that experiment group turned to slightly positioner in post-test.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ingent regulation and natural regulation in adult regulation. In other words, level of contingent regulation changed depending on underachievers' ability but level of natural regulation didn't change. Therefore, I suggest that contingent regulation based on Vygotsky theory would provide effective mathematics education for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mathematics.

  • PDF

기본생활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Development by Parents'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Basic Habits and Parenting Styles)

  • 김송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01-124
    • /
    • 2011
  • 본 연구는 유아의 바람직한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어린이집에 다니는 3, 4세 유아를 둔 어머니와 아버지의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와 기본생활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따라 남아와 여아의 기본생활습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7곳의 3, 4세 유아 160명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화여대 부속유치원(1995)의 기본생활습관 질문지와 Schaefer에 기초한 박두미(2004)의 부모양육태도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특성은 유아의 성에 따라 차이가 났다. 여아의 경우에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자녀의 기본생활습관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인식이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반면, 남아의 경우에는 기본생활습관에 대한 부모의 인식도 중요했지만 이는 부모의 애정적인 양육태도에 따라 차이가 나서, 부모가 기본생활습관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집단이라도 특히 어머니가 애정적인 양육태도를 사용한 경우에는 바람직한 기본 생활습관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부모의 자율적인 양육태도와 관련해서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공동양육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불안 및 과잉행동 간의 관계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mong Co-Parent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reschoolers' Anxiety and Hyperactivity)

  • 최미경;도현심;김민정;신나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2호
    • /
    • pp.25-39
    • /
    • 2013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parent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reschoolers' anxiety and hyperactivity with a sample of 155 mothers with 3 to 4 year old children (83 boys and 72 girls) living in Seoul. They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co-parent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reschoolers' anxiety and hyperactivity.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means of correlations and regressions. Co-parent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ers' anxiety and hyperactivity but affectionate, integrated co-parent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ers' anxiety and hyperactivity. Maternal stress of parental suffering, dysfunctional interaction, and difficult temperament were posi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anxiety and hyperactivity. Conflicting co-parent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stress of parental suffering, but affectionate and integrated co-parent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stress of parental suffering and difficult temperament. Furthermore, maternal parenting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parenting and preschoolers' anxiety and hyperactivity. Especially, maternal stress of parental suffering tended to play a perfectly mediating role between conflicting and integrated co-parenting and preschoolers' anxiety, between conflicting co-parenting and preschoolers' hyperactivity. Maternal stress of difficult temperament tended to play a perfectly mediating role between integrated co-parenting and preschoolers' anxiety and between conflicting co-parenting and preschoolers' hyperactivity.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maternal parenting stress plays a crucial role in the levels of preschoolers' anxiety and hyperactivity.

노인 불면증 환자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t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Sleep among Elderly Insomnia Patients)

  • 한은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41-15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불면증 환자를 대상으로 우울 및 사회적 지지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DSM-IV 진단기준에 의거하여 진단받은 불면증 환자 1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서 수면의 질, 우울,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였고, 대상자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질병특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수면의 질은 우울정도가 높을수록(r=.255, p<.05),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r=-.270, p<.001) 저하되었다.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정보적지지(${\beta}=-0.406$, p<.05)와 정서적지지(${\beta}=-0.525$, p<.05)로 나타났으며, 모형 설명력은 13.2%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불면증 환자들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정보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를 고려한 간호중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