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Perception of Emerging Adulthoo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성인진입기 인식의 매개 효과

  • 장희순 (용인대학교 교양교육원)
  • Received : 2020.09.11
  • Accepted : 2020.12.22
  • Published : 2020.12.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young adults was affected by the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how self-concept clarity and the perceptions of emerging adulthood mediated this causal relationship based on Arnett's the theory of emerging adulthood. We specially focused on affectionate or rejective types of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possibility or instability perceptions of emerging adulthood. We performed survey research with 358 university students from six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other cities in South Korea and analyzed collected data using SPSS 25.0 and SPSS Macro. As a result, we found correlational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of emerging adulthood and other variables. Also, we fou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ffectionate, rejective. However, we only fou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possibility perception of emerging adulthood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ffectionate parental rearing attitudes. Finally, we found a sequential mediation effect that the self-concept clarity and then perceived instability perception of emerging adulthood affe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jective parental rearing attitudes of emerging adulthood. Based on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counseling service and psychological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faced emerging adulthood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Arnett이 제안한 성인진입기에 해당하는 대학생들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애정적, 거부적)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명확성, 그리고 성인진입기 특성 중 '가능성'과 '불안정' 차원을 통해 평가한 성인진입기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지방(경북, 대전, 강원) 소재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58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에 대해 SPSS 25.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애정적, 거부적), 자기개념명확성, 성인진입기 인식(가능성, 불안정성)은 모두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애정적, 거부적) 각각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가 양쪽 모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진입기 인식의 매개효과는 애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성인진입기 '가능성' 인식의 매개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애정적)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성인진입기 인식(불안정)이 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하는 경로와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거부적)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성인진입기 인식(불안정)이 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하는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상담 및 교육에서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윤영, 정문자 (2010). 부모의 양육태도 및 대학생의 경제적 자립도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1(3), 121-141.
  2. 김은혜 (2014).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자율성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3. 김연화, 강문희 (2008).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9(6), 35-54.
  4. 김용희 (2012). 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정서경험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9(9), 231-256.
  5. 김종운, 이지혜 (2016).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예비 초등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 및 낙관성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9), 673-698.
  6. 문민정 (2008).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수용능력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문은식, 강승호 (2008).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에 관계되는 사회.동기적 변인들의 구조분석. 교육심리연구, 22(1), 1-15.
  8. 문상희, 서수균 (2015). 부모의 정서적 학대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상담학 연구, 16(6), 485-504.
  9. 박영신, 김의철 (2009).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3), 399-429. https://doi.org/10.16983/KJSP.2018.15.3.399
  10. 박지현, 이명조 (2012). 대학생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위로 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2), 1-19.
  11. 백수희 (2002). 자기존중감, 자기명확성과 타인의 평가에 따른 정서적 반응.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백승진 (2008). 대학생의 정체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변경란, 김은정 (2019).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행동억제 기질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자기개념과 타인인정추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5(1), 91-115.
  14. 안연옥, 김병석, 김재철 (2014). 대학생의 자기애와 공격성 간의 관계: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5(6), 2451-2470.
  15. 안선영, 김희진, 박현준 (2011).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II: 총괄보고서.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이기재, 최해림 (2009). 분리-개별화, 자기개념 명확성 및 비합리적 신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30(2),
  17. 이명조 (2013).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 양육 태도와 정서명확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4(1), 17-35.
  18. 이재원 (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낙관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은우 (2005).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 이정미, 이양희 (2007). 아동이 지각한 부모간의 갈등, 어머니의 양육행동, 사회적 지지 및 안녕감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4), 38-58.
  21. 이수현 (2005). 자기복잡성과 자기 개념 명료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효진 (2017).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몰입과 영성의 조절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유경자 (2005). 애착이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유영달, 이은지 (2010).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자기분화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복지연구, 12(4), 91-115.
  25. 서경현 (2012). 청소년의 삶에 대한 기대와 주관적 웰빙: 일반 성인과의 비교 연구. 청소년학연구, 19(12), 137-157.
  26. 서진숙, 이동혁 (2010).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안녕감을 매개하는 자아정체감. 상담학연구, 11(4), 1599-1622.
  27. 정주희 (2019). 대학생의 성인애착, 자기자비, 탈중심화, 반추,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8). 제57회 대학교육정책포럼: 대학생의 심리적 위기 극복 및 인성계발 지원 방안. 서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9. Arnett, J. J. (2000). Emerging adulthood: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American Psychologist, 55, 469-480. https://doi.org/10.1037/0003-066X.55.5.469
  30. Arnett, J. J. (2004a). Adolescence and emerging adulthood: A cultural approach(2nd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31. Arnett, J. J. (2004b). Emerging adulthood: The winding road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2. Arnett, J. J. (2014). Emerging adulthood: The winding road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33. Arrindell, W. A. & Engebretsen, A. A. (2000). Convergent validity of the Short-EMBU and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 (PBI): Dutch findings.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7, 262-266. https://doi.org/10.1002/1099-0879(200010)7:4<262::AID-CPP257>3.0.CO;2-9
  34. Bigler, M., Neimeyer, G. J., & Brown, E. (2001). The divided self revisited: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self-concept differentiation on psychological adjustment.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0, 396-415. https://doi.org/10.1521/jscp.20.3.396.22302
  35. Campbell, J. D. (1990). Self-esteem and clarity of the self-concep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538-549. https://doi.org/10.1037/0022-3514.59.3.538
  36. Campbell, J. D., Trapnell, P. D., Heine, S. J., Katz, I. M., Lavallee, L. F., & Lehman, D. R. (1996). Self-concept clarity: Measurement, personality correlates, and cultural boundaries. J 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141-156. https://doi.org/10.1037/0022-3514.70.1.141
  37. Campbell, J. D., & Lavallee, L. F. (1993). Who am I? The role of self-concept confusion in understanding the behavior of people with low self-esteem. In R. F. Baumeister (Ed.), Plenum series in social/clinical psychology. Self-esteem: The puzzle of low self-regard (p. 3-20). Plenum Press. https://doi.org/10.1007/978-1-4684-8956-9_1
  38. Deci, E. L., & Ryan, R. M. (2008). Self-determination theory: A macrotheory of human motivation, development, and health. Canadian Psychology/Psychologie canadienne, 49(3),182-185. https://doi.org/10.1037/a001280.
  39.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W. W. Norton.
  40. Francis, A. Pai, M.. S., & Badagabettu, S. (2020).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rceived Parenting Style among Adolescents. Comprehensive Child and Adolescent Nursing. DOI: 10.1080/24694193.2020.1743796.
  41. Lanctot, J., & Poulin, F. (2018). Emerging adulthood features and adjustment: A person-centered approach. Emerging Adulthood, 6, 91-103. https://doi.org/10.1177/2167696817706024
  42. Lane, J. A. (2020). Attachment, ego resilience, emerging adulthood, social resources, and well-being among traditional-aged college students. The Proffessional Counselor, 10(2), 157-169, https://doi.org/10.15241/jal.10.2.157
  43. Leite, C., & Kuiper, N. A. (2008). Differences in Self-concept Clarity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therapy, 38, 55-64. https://doi.org/10.1007/s10879-007-9068-7
  44. Luyckx, K., De Witte, H., & Goossens, L. (2011). Perceived instability in emerging adulthood: The protective role of identity capital.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32, 137-145. https://doi.org/10.1016/j.appdev.2011.02.002
  45. Morales-Rodriguez, F. M. Espigares-Lopez, I., Brown, T. Jose, & Perez-Marmol, J. M.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social Factors in University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13), 4778; https://doi.org/10.3390/ijerph17134778.
  46. Monica, B., & Greg J. (2001). The divided self revisted: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self-concept differentiation on psychological adjustment.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0, 396-415. https://doi.org/10.1521/jscp.20.3.396.22302
  47. Morrison, K., & Wheeler, S. (2010). Nonconformity defines the self: The role of minority opinion status in self-concept clar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6, 297-308. https://doi.org/10.1177/0146167209358075
  48. Negru, O. (2012). The time of your life: Emerging adulthood characteristics in a sample of Romanian high-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Cognition, Brain, Behavior: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16(3), 357-367. https://bit.ly/2xhZkgG
  49. Nelson, L. J., Willoughby, B. J., Rogers, A. A., & Padilla-Walker, L. M. (2015). "What a view!" Associations between young people's views of the late teens and twenties and indices of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22, 125-137. https://doi.org/10.1007/s10804-015-9206-5
  50. Nezlek, J. B., & Plesko, R. M. (2001). Day-to-Day Relationships Among Self-Concept Clarity, Self-Esteem, Daily Events, and Mood.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7(2). 201-211. https://doi.org/10.1177/0146167201272006
  51. Reifman, A., Cowell, M. J., & Arnett, J. J. (2007). Emerging adulthood: Theory, assessment, and application. Journal of Youth Development, 2(1), DOI: https://doi.org/10.5195/jyd.2007.359
  52.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53. Schnyders, C. M. & Lane, J. A. (2018). Gender, parent and peer relationships, and identification with emerging adulthood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oge Counseling, 21(3), 239-251. https://doi.org/10.1002/jocc.12106
  54. Stallman, H. M. (2010). Psychological distress in university students: A comparison with general population data. Australian Psychologist. 45, 249-257. https://doi.org/10.1080/00050067.2010.48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