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Development by Parents'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Basic Habits and Parenting Styles  

Kim, Song Yee (한양여자대학 아동복지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7, no.3, 2011 , pp. 101-12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children's basic habits formation by their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style and their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basic habi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0 three and four-year-old children's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arental features on children's basic habits formation were significant different by children's sex. Girls' basic habits were significant different by their mother's and father's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basic habits. On the other hand, boy's basic habits were significant different by mother's and father's affectionate parenting and their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basic habits. Especially, boys whose parents did not consider important their children's basic habits formed higher level of basic habits in case that their mothers showed affectionate parenting. Also,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basic habits by autonomous parenting.
Keywords
basic habits; parenting style; parents' recognition; childre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영미. (1996).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가족변인과 성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규수. (2000).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그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평가.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1), 229-252.
3 김민선, 김진선. (2010). 부모의 양육태도 일치여부가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9(2), 29-38.
4 김양호. (2005).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의 관계. 조선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재은. (1984). 유아의 발달심리. 서울: 창지사.
6 김재은, 이성진. (1980). 한국 가족의 심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7 김재은, 이영자. (1993). 유아사회교육. 서울: 교문사.
8 김정신. (2000). 아버지 양육태도와 양육참여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정아. (1990).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제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 석사학위논문.
10 김해영. (2001).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의 관계. 숙명여대 석사학위논문.
11 김현숙. (1997).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현정. (2009). 부모의 훈육태도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남궁달화. (1999). 기본생활규칙의 도덕적 습관형성을 위한 지도방법. 사회과학교육연구, 3, 1-18.
14 노현미. (1999).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생활능력과의 관계. 영남대 석사학위논문.
15 민영기. (1999). 유아의 기본생활교육에 관한 연구: 부모와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박두미. (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또래 유능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분례. (1996). 부모참여 및 교육을 통한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증진 효과.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옥희. (2000). 유아의 발달수준과 기본생활습관과의 관계. 원광대 석사학위논문.
19 박정환. (1998). 유치원과 초등 1년 및 2년 아동의 기본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변형선, 김송이. (2011). 기본생활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유아의 기본 생활습관 형성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20(1), 133-141.
21 송세정. (1999).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 한양대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송효숙. (2009).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안현정. (2003).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기본생활습관과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양득주. (1988).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와 취학전 아동의 성특성 고정관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5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유치원. (1995). 기본생활습관 평가도구 개발. 서울: 이화여대사범대학 부속유치원.
26 이미향. (2004).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언어능력 및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전남대 석사학위논몬.
27 이영일. (1999).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관한 연구: 몬테소리 프로그램과 일반 프로그램 유치원을 중심으로.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28 이은화, 이경우. (1987). 한국 어머니의 유아 사회성 교육. 서울: 이화여자대학 출판부.
29 전제아. (2001). 도덕교육에 있어서 습관과 자율성의 관계: Locke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4(1), 209-221.
30 정현진. (2003).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31 최경순. (1995).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2 황인옥. (2004). 유치원 교육경험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 석사학위논문.
33 Elkin, D. (1978). Miseducation influen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Y: Alfred A. Knopt.
34 Lamb, M. E. (1981). Fathers and child development: An integrative overview, In M. E. Lamb(Eds.),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NY: Wiley.
35 Putallaz, M., & Heflin, A. H. (1990). Parent-child interaction, In S. R. Asher & J. D. Coie(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pp.189-216).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36 Richard, M., & Light, P. (1986). Children of a social world. Harvard University Press.
37 Schaefer, E. S. (1959). A circump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9, 226-384.   DOI
38 Sharpe, P. (1994). A study of some and school factors which influence the social behavior of some pre-schoolers in Singapor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04, 23-39.   DOI   ScienceOn
39 Symonds, P. M. (1949). The dynamics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NY: Teachers Colle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