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sing media

검색결과 504건 처리시간 0.022초

인공지능과 메타버스 발전에 따른 미래 광고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future advertising chang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averse)

  • 안종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873-879
    • /
    • 2022
  • 미래는 인공지능과 메타버스가 세상을 삼킬 정도로 활용 영역과 영향력이 강력해지고 있다. 광고 분야도 예외가 아니어서 이러한 미래 변화를 예측하고 분석하여 전략화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인공지능과 메타버스 발전에 따른 광고의 미래 변화 연구를 위해 인공지능과 메타버스 기술 발전과 이에 따른 광고 환경 변화 관련한 문헌연구와 미래 및 광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와 델파이 기법 연구 방법을 통해 광고 변화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먼저 포스트코로나 문명대변혁시대에 인공지능과 메타버스 기술 발전과 이에 따른 광고부문의 변화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심층 인터뷰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델파이 기법으로 미래광고 기술영역, 미래광고 미디어영역, 미래광고 형태영역, 미래광고 효과영역, 미래광고 적용영역, 미래광고 프로세스영역별로 변화가 어느 정도 중요하며 미래 어느 시점에 주요하게 변화할 것인지를 파악하고 또한 미래광고 형태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화할 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근거로 광고업계의 대응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계량적 통계분석을 통한 매체별 광고비 예측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Advertising Expenditure)

  • 한상필;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111-121
    • /
    • 2014
  • 본 연구는 지난 20여년 간의 시계열 광고비 자료를 근거로 향후 5년 간 우리나라의 연도별 총 광고비와 6대 광고매체의 광고비를 계량적 통계 분석을 통하여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제일기획에서 발간한 광고연감 자료를 사용하여 계량적 분석을 통해 추정한 결과, 2018년 우리나라의 총 광고비는 10조 873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6대 매체별 광고비는 단순회귀법, 지수평활법, SUR회귀법 등 3가지 방법으로 예측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광고학계와 광고실무계에 어떤 시사점이 있는 가를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 이용자의 광고 회의주의와 광고 회피 현상에 대한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dvertising Skepticism and Avoiding of Youtube Users based on Media Platform)

  • 선민재;김준석;나운봉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61-76
    • /
    • 2020
  • 미디어 환경이 급변하면서 온라인 광고 시장의 규모가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성장세에 비해 소비자들의 온라인 광고에 대한 신뢰도는 기존 매체보다 매우 낮은 편이며 광고 회피 현상도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광고 회피의 요인에는 매체, 광고의 유형, 소비자의 특성 등이 있으며 그중에서도 소비자의 광고 회의주의에 대한 영향력이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장 큰 규모의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와 광고주에게 광고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광고 회의주의를 중심으로 광고 소구, 관여도, FCB Grid 이론을 적용했으며 소비자의 광고 회피를 낮출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Kobaco의 2차 자료를 활용했으며 연구 2에서는 1차 자료의 Process macro 조절 회귀분석을 통해 광고 회의주의가 광고 태도 형성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또, FCB Grid 모델에서 ANOVA 분석을 통해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에게 어떤 광고 유형이 긍정적인 광고 태도를 나타내는지 측정하였다. 연구 1의 결과 광고 회피도가 높은 소비자는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제품에 대한 태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지는 않았지만 연령이 높아지고, 온라인 동영상 시청시간이 낮아질수록 광고 회피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의 결과 감전전이 소구가 정보 소구보다 광고 태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고 회의주의와 관여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관여도가 낮고, 감정전이 소구가 높은 상황일 때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의 광고 태도가 낮은 소비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FCB Grid 모델에서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은 저관여와 고관여 제품에서 감정전이 소구 방식의 광고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와 광고주들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광고 회피 현상의 요인인 광고 회의주의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며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에게 제품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광고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I기반 디지털 광고효과 연구 : 맞춤화광고와 개인화광고를 중심으로 (AI-based Digital Advertising Effects : focus on Customization Advertising and Personalization Advertising)

  • 진홍근;김민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15-122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AI 기반의 프로그래매틱 광고 전략 중 개인화 광고와 맞춤화 광고전략이 소비자의 광고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광고 전략을 선행변인으로 설정하여 행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총체적 감정 경험인 트랜스포테이션을 거쳐 광고태도에 이르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일반인 1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개인화 광고는 소비자의 트랜스포테이션에 영향력이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맞춤화 광고 전략이 정(+)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트렌스포테이션은 광고태도에 정(+)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적극적 선택으로 만들어진 맞춤화 광고 상황은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 경험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기업의 기계적인 분석과 노출 중심의 광고 전략보다는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광고 선택 상황 즉, 맞춤화 광고상황으로 유도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소켓통신 기반의 Kinect를 이용한 표정인식 및 영상제어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System Using Kinect an Expression of Recognition and Advertising Media Control System)

  • 이호재;윤철준;임유혁;김현식;서정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04-90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광고 홍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Kincet를 이용한 표정인식 및 미디어제어 시스템을 구현한다. 기존에는 소비자에게 일방적으로 광고를 전달하는 방식 이였다면, 현재는 인터렉티브 광고를 지향한다. 즉,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양방향 광고 서비스를 의미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Kincet를 활용하여 표정인식을 하였고, 눈썹, 눈, 입, 턱으로 얼굴을 인식 한다. 현재 사용한 Kinect버전은 표정인식이 불안정하여 눈썹, 눈, 턱의 3가지의 부분을 정확히 구분하기가 어려워 제일 구분이 쉬운 입모양만을 활용하여 웃음, 무표정을 구분하여 미디어 제어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소비자들의 표정인식을 하여 미디어제어와 동시에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한 사진전송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광고에 대한 각인을 시켜줌으로써 광고의 효율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차세대 디지털 사이니지의 발전방향 (Future Directions on the Next Generation of Digital Signage)

  • 김창훈;박광석
    • 산업클러스터
    • /
    • 제4권1호
    • /
    • pp.51-61
    • /
    • 2010
  •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란 길가나 점포, 공공시설 등에 표시되어 있는 포스터나 안내표시, 간판 등 기존의 하드웨어 매체가 아닌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해 각종 콘텐츠와 메시지를 제공하는 옥외 미디어를 말한다. 최근 LCD, LED 등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영상장치의 급속한 발전으로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보편화되고 있으며, 기존의 단방향 광고 매체가 아닌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특징으로 인해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수요 및 시장은 급속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디지털 광고시장은 전반적인 글로벌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융합(Convergence)미디어 관점에서도 간판이 디지털화됨에 따라 정보와 예술, 콘텐츠, 기업 마케팅 니즈가 결합되면서 점차 TV 등 기존 매체광고를 대체하는 새로운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PDF

가상광고 규제의 문제점 및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ssues and Direction of Virtual Advertising Regulation)

  • 최민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103-112
    • /
    • 2014
  • 새로운 기술 환경과 광고 환경을 바탕으로 탄생한 새로운 광고형태인 가상광고가 최근 본격적으로 집행되고 있다. 가상광고는 이전에 없었던 형태의 광고이며, 쉽게 프로그램 콘텐츠에 변화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규제는 가상광고의 성장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시기적으로도 그 동안의 운용 결과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보완이 필요할 시점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2010년 이후 본격 진행되고 있는 가상광고의 규제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가상광고의 성장과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외의 가상광고 규제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가상광고 규제 관련 주요 쟁점들을 도출하여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바람직한 가상광고 규제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가상광고 시장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새로운 도약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장기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중간광고에 대한 시청자 반응 연구 (A Study on the Viewers' Reponses to In-Program Advertising According to TV Program Genre)

  • 이현선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3권
    • /
    • pp.282-313
    • /
    • 2008
  • 본 연구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중간광고에 관해 고찰하였다. 지상파 TV의 중간광고 재도입 논쟁과 관련된 문제의 핵심을 시청자들에 맞추어 시청자들의 입장에서 중간광고에 관한 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중간광고에 대한 반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른 반응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중간광고를 집행하는 경우 프로그램 전, 후 광고만을 집행하는 경우보다 시청자 반응, 방송사에 대한 태도, 그리고 중간광고를 집행하는 광고주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중간광고의 도입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제안된 뉴스와 교양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에 중간광고를 도입하여 그 반응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이들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른 반응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중간광고를 실시하는 경우 실시하지 않는 경우보다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이 전체적으로 모두 낮게 나타났다.

  • PDF

의류광고에 대한 평가, 유행몰입 및 사회적 태도에 관한 연구 (Evaluations of Apparel Advertising, Fashion Involvement, and Social Attitudes)

  • 김효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3-43
    • /
    • 199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1)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s of apparel advertising, fashion involvement, and social attitudes, (2) examine how evaluation of apparel advertising, fashion involvement, and social attitudes vary according to gender, and (3) investigate the possible differences in purchase attitudes toward the advertised apparels according to gender and advertisement slogan. Questionnaire for evaluations of apparel advertising was comprised of four sections;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evaluation of advertisement slogan, purchas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d apparels, and perception of effective media for apparel advertising. For evaluation of advertisement slogan, 5 sets of apparel advertisements were selected. Each set had two advertisements; one advertisement contained an image-oriented slogan, while the other had a quality-oriented slogan. "The Social Attitude Scale' by Kerlinger and 'Fashion Involvement Index' by Tigert, Ring & King were used. All the items were selected on the Cronbach's alpha reliability. The subjects were 217 college male and famale students in Seoul; 60 were asked about purchase attitude toward the image-oriented slogan, 60 purchase attitude toward the quality-oriented slogan, and 97 all the items included in evaluation of the two sloga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X2-test, t-test, two-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e followings. 1. Fashion involvement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The higher the level of conservative attitude males had, the more positive attitude they had in fashion involvement and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Subjects high in conservative attitude, fashion involvement, and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Subjects high in conservative attitude, fashion involvement, and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had more positive in purchase of the advertised apparels. 2. Females high in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were more favorable toward image-oriented advertisements. 3. Fashion involvement and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Liberal attitu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Evaluation of advertisement slogan did not differ according to gender. 4. Males perceived 'TV' was the most effective media for apparel advertising while females perceived 'display' was the most effective. 5.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advertisement slogan and gender were found in purchase attitude of the advertising apparels. 6.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was influenced by fashion involvement, social attitude, and sex.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hree variables was 17%.

  • PDF

신문.잡지광고에 있어서 헤드라인 서체의 활용에 따른 비교 연구 (A Study on Headline Typography in Newspaper & Magazine Advertisement)

  • 문영만
    • 디자인학연구
    • /
    • 제21권
    • /
    • pp.77-86
    • /
    • 1997
  • 현대사회는 매스미디어에 의한 이미지의 시대이다. 광고매체는 이러한 현대사회의 일상생활에서의 각종 시각정보전달 매체 물을 통한 수용자의 이미지의 접촉과 반도에 지대한 자극과 영향을 준다. 신문, 잡지광고 텍스트 제작에 있어서 서체(typeface)선택의 활용에 따른 시각이미지(시심상, visual image)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볼 때, 헤드라인 서체의 선택은 광고카피의 중요성 못지 않게, 광고 컨셉에 맞는 발신자(광고주, client)와 수용자(소비자, consumer)의 관계에서 보다 효율적인 대 소비자를 향한 광고효과의 증대를 위해 중시되어져야 한다. 한편 이러한 헤드라인 서체의 시각이미지(시심상, visual image)는 다른 시각화상정보 전달요소(그림, 시진 등)들과 '심리적 조화의 일치' 라는 관점에서 행하여져야 한다. 이는 모든 인간들이 각자의 얼굴을 지니고, 각기 맡은바 역할에 맞추어 살아가는 것과 같이, 서체(typeface)도 각기 서체가 갖는 이미지의 '심리적 조화의 일치'하에 활용될 때 서체의 개성과 역할이 배가되어지기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