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olescent Media Addiction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7초

Exploring the Causal Structure of Adolescent Media Addiction and Policy Intervention

  • Hwang, In Young;Park, Jeong H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2권4호
    • /
    • pp.69-75
    • /
    • 2016
  • Adolescent media addictio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social agenda in Korea. However, there has not been enough discussion on the causal structure of media addiction and policy interven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ssess the mechanism of the existing and the revised Shutdown policy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approach. To achieve this purpose, we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age, flow, and addiction, and develop a causal loop diagram. Based on the causal loop diagram, we explore the causal structure of two policy scenarios: shutdown policy and deregulation. Our study suggests that policy interventions inducing direct parental control on children's media usage time are ineffective since the time control reduces children's autonomy, which helps alleviate media addic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y intervention should focus on alleviating addiction itself rather than on controlling media usage time.

부모의 양육 방식, 또래 및 교사 관계가 청소년 성인 매체 중독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Parents, peer, and teachers relations as predictor of adolescent adult media addiction and depression)

  • 김효정;나종연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6호
    • /
    • pp.567-580
    • /
    • 2017
  •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adolescent depression on adult media addiction by examining Bronfenbrenner's ecological perspective. The ecological perspective is a useful framework to identify the link between youths' interacting subjects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It can also be used to understand adolescent problems and addiction behavior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parents, peers, and teachers on adult media addiction and depression with a focus on micro-system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adolescents among various environmental systems. We analyzed 568 participants who reported exposure to adult media. SPSS 20.0 was used to conduct a descriptive analysis of the data; AMOS 19.0 was used to conduc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buse and peer alienation significantly increases depression. Second, peer communication significantly decreases depression. Third, parental monitoring and parental affe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adult media addiction. Fourth, parental abuse, peer alienation, and de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adult media addi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influence of parent,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on adult media addiction and depression. This study can be helpful to understand adult media addiction and depression among Korean adolescents.

미디어서비스 중독 변인의 종단적 추세변화 연구 - 2000~2021년 청소년 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ongitudinal Trend Changes in Media Service Addiction Variables - Focusing on Adolescents from 2000 to 2021)

  • 배승주;이상호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95-111
    • /
    • 2021
  • 본 연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디어서비스에 대한 중독이 어떻게 연구되었는지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중독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는 변인을 확인하였다. 연구자들은 특히 청소년의 미디어 서비스의 중독에 주목하였으며,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라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독 변인은 크게 청소년기 속성, 개인 속성, 매체 속성, 미디어 의존 속성 등 4가지 속성으로 취합되었다. 속성에 귀속되는 중독 변인은 주요 미디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4기로 나뉘었다. 연구대상 기간 동안 변인의 빈도는 개인 속성과 관련된 변인이 가장 많았고, 매체 속성, 청소년기 속성, 미디어 의존 속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속성 변인은 대상관계 요인에서 점차 개인의 심리적 요인으로 옮겨갔다. 매체 속성의 변인은 새로운 매체 도입과 확산으로 청소년의 중독 현상 연구가 증가하였다. 청소년기 속성과 미디어 의존 속성의 변인에 대하여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동기를 관찰하거나 중독 관련성을 띤 연구가 미약했으며 2020년부터 발표된 논문은 없었다. 미디어서비스 중독 연구는 산업적 측면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사회적 측면이 강조되는 면이 있었으나,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미디어서비스 개선과 이용자의 건전한 몰입의 측면에서 산업적으로 다양하고 구체적인 개별 미디어와 사회·문화적 차이에 따라 비교되는 중독 변인에 대한 후속연구가 기대된다.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그릿, 집행기능 곤란 및 미디어기기 과의존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Academic Stress, Grit,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Media Device Addiction)

  • 공영숙;임지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3호
    • /
    • pp.387-400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cademic stress, grit,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media device addiction. Data on 1,132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the 11th (2018)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Academic Stress Scale, Grit Scale-Children, Child-Adolescent Self-reporte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Screening Questionnaire, and K-Internet Addiction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program with Pearson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Children's academic str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ir grit. 2) Children's gri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ir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media device addiction. 3)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media device addiction. 4)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media device addiction was mediated by their grit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found protective factors and risk factors for children's addiction to media devices. We suggest that children's grit be improved, and their academic stress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be reduced to prevent and mediate children's media device addiction.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Cell 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 구현영;박현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56-65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ell 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548 adolescents in two middle schools and four high school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a cell phone addiction scale, an impulsiveness scale, media specific factors, and cell phone us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Of the adolescents, 88.7% reported being average users, 8.4%, heavy users, and 2.9%, cell phone addicted. Cell phone addi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mpulsiveness and media specific factors.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cell phone addiction were gender, sending and receiving text messages on weekends, monthly call charges, impulsiveness, recreational reasons, and cultural reasons.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at cell 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is influenced by gender, text message use, call charges, impulsiveness and media specific factor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 for cell 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should be based on these factors which influence cell phone addiction.

부모의 방임이 청소년의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성인용 매체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arental Neglect on Adolescent's Peer Attachment : Focusing the Mediating Effect of Adult Media Immersion)

  • 이동준;맹성준;최상설;김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06-41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방임이 청소년의 또래애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 둘 간에 성인용 매체몰입이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서 제6차(2015년) 한국 아동 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의 중1패널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563명을 대상으로 Hayes가 개발한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방임이 증가할수록 또래애착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성인용 매체몰입은 부모의 방임과 또래애착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건강한 또래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가정 내에서의 부모의 관심과 애정이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들이 성인용 매체몰입을 예방하기 위한 부모교육의 중요성이다. 셋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성인용 매체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청소년의 SNS 중독경향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ocial Network(SNS) Addiction Tendency on Personal Relations)

  • 박공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70-179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 중독 경향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경남 G시의 중 고등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t-test,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 점수는 성별(t=-2.25, p=.011), SNS사용기간(F=3.15, p=.015), 평균사용시간(F=15.87, p=.<001), SNS매체(F=3.12, p=.027), SNS매체 사용시간(F=6.58,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주요변수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SNS 중독경향성은 대인관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 영향요인은 SNS 중독경향성(${\beta}=-.64$, p=.<001)으로 37%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마약류 중독 치료를 위한 디지털치료제 예술치료 적용을 위한 문헌연구 (Literature Review on Applying Digital Therapeutic Art Therapy for Adolescent Substance Addiction Treatment)

  • 김지원;변혁
    • 트랜스-
    • /
    • 제16권
    • /
    • pp.1-31
    • /
    • 2024
  • 디지털 매체의 발전은 청소년들이 마약류 구매 환경에 쉽게 접근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와 메신저 서비스를 통한 마약류 구매 및 복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 노출된 청소년들은 마약류 중독으로 인한 신경학적 및 정신 건강 문제를 겪을 위험이 있으며, 이는 범죄에 노출될 위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국가 차원에서의 관리와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마약에 노출된 청소년들을 위한 지속 가능한 치료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중대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재발 위험이 높은 마약류 중독 치료를 위해선 비용이 효율적이며 사용자 친화적인 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청소년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치료 환경을 조성하고, 예술을 활용한 치료적 콘텐츠 개발을 목표로 하는 문헌 연구를 수행한다. 청소년 약물 중독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치료 현황을 검토하고, 마약류 중독이 청소년의 뇌 활동 및 인지 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중독된 뇌 기능의 재활을 촉진할 수 있는 디지털 치료제 개발에 관한 방안을 선행 연구 사례 분석을 통해 모색한다. 또한, 디지털 치료적 접근법과 예술치료의 통합이 치료 과정에 어떠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며, 연극 치료, 음악 치료, 미술치료 등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치료적 효과의 증대 가능성을 제안한다. 예술 치료 요법의 적용은 도구의 확장, 표현의 다양화, 데이터의 확보, 동기 부여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청소년 마약류 중독 치료의 효과성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종합적으로 볼 때, 본 연구는 청소년 마약류 중독에 대한 사회적 상황을 고려한 경제적이며 지속 가능한 치료 방안을 제공하는 디지털 치료제 및 관련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청소년의 인터넷 접촉 정도와 중독성향에 대한 조사 (The Survey on the Degree of Link with Internet Space and a Internet Addiction Disposition of Adolescents)

  • 한상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9권2호
    • /
    • pp.19-39
    • /
    • 2003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인터넷 이용현황과 인식도 그리고 중독성향을 조사하고,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과의 관계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지역 중학교와 인문·실업계 고등학교 남녀 학생 500명이며, 자료분석의 대상은 445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인터넷 이용에 관한 조사지"와 "인터넷 중독 평정척도"로써, 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되거나 재구성된 것이다. 인터넷 이용 조사지는 전체 16개 문항의 선다형 검사이며, 인터넷 중독척도는 20개 문항으로 된 5점 평정척도이다. 자료처리를 위해 chisqure 분석법과 ANOVA가 적용되었다. 연구의 결과 인터넷 이용현황과 인식도 대부분은 남녀간과 교급간에 각각 의미있는 차이가 있으며, 대체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인터넷의 부정적 환경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고, 실업고와 중학생의 부정적 반응이 많았다. 그러나, 음란물과 폭력물의 접촉 빈도는 인문고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응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인터넷 중독성향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으며, 교급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중독성향은 인터넷 일일 이용시간이 많을수록, 기록형 게임을 많이 할수록, 그리고 음란물 및 폭력물 접촉빈도가 높을수록 의미있게 더 높았다.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논의되었다.

  • PDF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급(초·중·고)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game over-flow in adolescents : Focusing on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school)

  • 곽은아;최진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33-46
    • /
    • 2020
  • 이 연구는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학교급(초·중·고)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게임이용자패널 데이터를 활용했으며, 내적요인(개인적 특성), 외적요인(환경적 특성), 게임이용 심리변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했다. 분석결과, 내적요인 중 고독감, 자기통제, 게임이용 심리변인 중 게임리더십, 게임규범성, 게임효능감은 모든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게임 과몰입에 영향을 주었으며, 학교급에 따라 게임 과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차별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거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