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dministrative

검색결과 3,850건 처리시간 0.03초

A Decade of the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as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Institution

  • Kishi, Teruo;Takemura, Masahiro
    • STI Policy Review
    • /
    • 제3권2호
    • /
    • pp.152-171
    • /
    • 2012
  • In April 2001, many Japanese national institutes were reorganized as Independent Administrative Institutions (IAI) based on the General Act for Independent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nd the act for each institution.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MEXT), the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NIMS) was established by the merger of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Metals (NRIM)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Research in Inorganic Materials (NIRIM). One of the biggest changes was the expansion of autonomous administration. The nanotechnology and material R&D field was prioritized in the 2nd (2001-2005) and the 3rd (2006-2010) Science and Technology Basic Plans; subsequently, NIMS was assigned to take the initiative in nanotechnology as well as materials science. NIMS has proactively expanded research field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researchers from polymers, electronics, and biotechnology as well as member institutes of the World Materials Research Institute Forum (WMRIF). Globalization has been promoted through programs that include the International Center for Young Scientists (ICYS) and the International Center for Materials Nanoarchitectonics (MANA). The 4th Science and Technology Basic Plan (2011-2015) emphasizes outcomes-recovery and rebirth from the disaster, green innovation, and life innovation. The Midterm Plan for NIMS also follows it. R&D collaboration by multi-partners (that include industry, university, and GRI) should be strategically promoted where GRI are especially required to play a hub function for innovative R&D and open innovation. NIMS highlights are Tsukuba Innovation Arena (TIA) and the Nanotechnology Platform Project. On January 20, 2012, a new organization was decided on by the Japanese Government where several IAI from different science and technology areas will be merged to realize more effective R&D as well as administrative cost reductions. NIMS is also supposed to be merged with 4 other R&D IAI under MEXT by the end of 2013.

공공기관 행정정보시스템 관련 단위과제 및 보존기간 책정 현황분석 (Current Status Analysis of Business Units and Retention Period Estimation related to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of Public Institutions)

  • 윤성호;유신성;최기쁨;오효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9-160
    • /
    • 2020
  •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2007년부터 이미 행정정보시스템이 전자기록생산시스템에 포함되었으며, 행정정보 데이터세트는 전자기록물의 한 유형으로 관리 대상임이 명시되었다. 특히 최근 시행령의 개정으로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관리기준표를 기반으로 한 기록관리가 법제화된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행정정보시스템과 관련된 단위과제를 분석하고 유형별 보존기간 책정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기록원의 직접관리기관과 재난관리 책임기관 49개 기관으로부터 36개 공공기관의 기록물 분류체계를 수집하여 행정정보시스템과 관련된 단위과제를 판별하였다. 선별된 824개 단위과제를 유형에 따라 대·소분류로 구분하고 보존기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향후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관리기준표를 작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행정기관 인터넷전화 보안 대응 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ecurity Response Model for Administrative Agency)

  • 박대우;양종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7-240
    • /
    • 2011
  • 행정기관 인터넷전화를 구축하여 사용하는 국가정보통신서비스 'C'그룹 사업자에는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삼성SDS 4개 사업자가 있다. 행정기관 인터넷전화에 대한 공격을 대비하여 보안 대응 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행정기관 인터넷전화 사업자 별로 보안 대응 대책을 내용으로 조사 분석한다. 행정기관 인터넷전화 보안 침해 모델 개발 연구를 위해 국정원의 5가지 보안 위협에 대해 기밀성을 중심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1)불법 도청 (2)호 가로채기 (3)서비스 오용 (4)서비스거부 공격 (5)인터넷전화 스팸 공격에 대한 공격 시나리오 작성하여 분석한다. 행정기관 인터넷전화 보안 대응 모델 개발 연구는 보안 위협별 보호 기술 분석과 보안 침해 단계별 대응 체계 연구를 통해 단계별 대응 모델 개발 연구를 한다.

  • PDF

도로점용허가 행정업무에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방안 (System Implementation Plan for Applying Spatial Information to Road Occupation Permit Administrative Works)

  • 윤준희;김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208-4215
    • /
    • 2015
  • 대부분의 행정업무는 주소를 기반으로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공간정보는 행정업무 수행에 핵심적인 요소이다. 행정업무에 공간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많은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나, 도로점용허가 업무에 공간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축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점용허가 행정업무에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시스템의 구축방안을 다룬다. 시스템 구축방안은 업무분석, 활용 시나리오 도출, 시스템의 기능도출, 그리고 데이터마트 구축방안을 포함한다. 첫째, 업무편람 분석을 기반으로 도로점용 업무의 프로세스 및 각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활동을 정의하고 도식화 한다. 둘째, 도출된 업무 활동 중 공간정보가 활용 될 수 있는 시나리오를 도출한다. 셋째, 도출된 업무 프로세스 및 공간정보 활용 시나리오를 시스템으로 만들기 위한 서비스의 기능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본 시스템에 사용될 공간정보의 데이터마트 구축방안을 수립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스템 구축방안은 응용 아키텍처 및 데이터 아키텍처의 일부를 포함한다. 추후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하드웨어 아키텍처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구성방안이 추가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요인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자치구/행정동의 지역균형지수 개발 (Development of Regional Balanced Index for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Dongs in Seoul using Factor Analysis)

  • 김동근;박귀원;하소미;김도현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75-392
    • /
    • 2021
  • Purpose: Regional gaps and conflicts between regions due to Korea's economic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have become important issues, and the issue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t regional level has been discussed as the size of the region has increased recently. Although evaluation of regional balance was attempted through various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ndexes, it is inappropriate as a standard for determining regional balance in Seou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objective evaluation methodologies and evaluation indicators for balanced develop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not existing city and national units. Methods: We looked at existing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ndexes, and suggested a new regional balanced index reflecting regional development, backwardnes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n Seoul using factor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ndex for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administrative dongs consists of two factors (regional revitalization, financial power) and three factors (commercial density, social security demand, regional retardness), respectively. Then the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ndex scores for 116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423 administrative dongs are calculated by multiplying each factor by a weight obtained through experts' survey. Conclusion: The proposed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ndex can be used as an objective and quantitative basis for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within a city. Further research may include continuously adding new indicators that reflect the direction and scale of development.

병원행정직의 감성지능과 융복합 요인들의 관련성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nvergence Factors in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s)

  • 김승희;배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185-19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행정직의 감성지능과 융복합 요인들의 관련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2019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조사기간에 J지역에서 임의로 선정된 19개 병원의 행정직원 212명의 무기명 자기기입식 응답이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조직충성도가 높을수록, 조직헌신이 높을수록 감성지능이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43.0%이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볼 때, 병원행정직의 감성지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을 높이고, 조직충성도를 증가시키고, 조직헌신을 상승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는 병원행정직의 감성지능을 높이기 위한 병원의 산업보건교육 및 직무관리에 향후 응용이 기대된다. 추후연구에서는 병원행정직의 감성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의 수립 및 분석이 필요하다.

사립대학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운영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 Set Operation of Private Universities)

  • 김현정;배성중
    • 기록학연구
    • /
    • 제74호
    • /
    • pp.187-22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립대학의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립대학 178개교의 총 820개 시스템에 대해 시스템의 기능, 개발 유형, 데이터의 생성·정정·삭제 시기 등의 정량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통상 1개이상의 행정정보시스템을 보유하고 학사관리시스템을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대학의 인프라를 통해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개발한 사례가 많고 데이터를 수시로 생성하고 정정하며 업무담당자에 의해 데이터가 삭제되고 있으나 데이터의 삭제나 정정에 대한 규정은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범정부 EA포털을 현행화하여 사립대학의 행정정보시스템에 대한 보유 현황을 제대로 파악하고, 데이터의 정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스템을 중심으로 기록관리하며 데이터의 임의 삭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내부 규정의 개정과 교육을 실시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Big Data Analysis on Daegu-Gyeongbuk Administrative Integration)

  • 송화영;박한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39-148
    • /
    • 2021
  • 이 연구는 온라인 데이터를 활용해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대한 태도와 반응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기사와 유튜브 영상의 댓글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2020년 1월 1일부터 10월 18일까지 수집한 데이터는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 출범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분석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했다. 첫째, 댓글 유형을 시기별로 비교했을 때 공론화위원회 이후 회의론자는 줄어들었고 신념주의자는 증가했다. 둘째, 행정통합에 대해 낙관적 태도를 보여주는 단어를 공론화위원회 출범 이후 확인했다. 셋째, 하위집단분석 결과 이전과 이후 모두 행정통합에 대한 구체적 절차나 방향을 언급하는 단어군이 보이지 않았다. 이는 아직까지 행정통합과 관련한 충분한 정보나 토론논제가 제공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정책당국이 놓칠 수 있는 숨겨진 여론을 찾도록 도와주고, 필요시 즉각적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지능형 정부 행정서비스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Intelligent Government Administrative Services)

  • 이세호;한승조;박경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85-93
    • /
    • 2021
  • 정부는 새로운 영역의 전자정부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한 계획을 추진 중이다. 업무절차 개선 측면에서 dBrain과 e-사람, 전자결재 및 업무관리를 위한 온나라 등은 상당한 성과를 이루었으며, 현재는 새로이 부각된 정보기술을 도입하여 기존의 행정서비스를 개선하고 지능형 전자정부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그중 자가학습기반의 지능형 행정서비스 구축이 실제 업무를 추진하는 공무원들의 업무프로세스에 효율적인지, 지속사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의 발전된 정보기술에 대한 개인의 인식 및 태도를 바탕으로 개인 혁신성을 선행변수로 하여 UTAUT 변수들이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공무원 대상 설문 결과를 이용하여 지능형 정부서비스를 대상으로 검증하여 행정서비스에 대한 영향요소를 파악하였다. 정부행정서비스 사용자들은 혁신적인 행정서비스의 구축 및 도입이 국민에게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믿으며, 정보기술 발전에 따라 서비스의 활용 및 제공에 대한 기대감을 높게 가지고 있다고 파악되었다. 향후 전자정부 서비스를 활용하는 국민을 대상으로도 모형을 적용하여 연구할 예정이다.

전라북도 6급 교육행정공무원 장기교육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Long-term Education Program for Jeollabukdo Level 6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s)

  • 조동헌;김현주;김민영;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3호
    • /
    • pp.27-42
    • /
    • 2022
  • 지방교육자치는 지역 주민의 삶에 대한 질을 높이고 지역 특성에 맞도록 교육 실현과 함께 지방 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 연구는 지방 교육행정공무원의 중심 역할을 해야 하는 6급 공무원의 역량을 도출하고 장기교육프로그램의 교과군과 교과목을 구안하여 추후 6급 교육행정공무원 장기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할 수 있도록 기초 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수 대상의 특수성을 고려해 교육행정공무원, 교육프로그램 개발 전문가 등 20명으로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고, 6급 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 장기교육프로그램의 교과군과 교과목에 대한 의견을 구하기 위해 3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6급 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은 델파이 1차 조사에서 기초자료의 타당도 평가와 델파이 2차 조사에서 수정 자료의 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6급 교육행정공무원 장기교육프로그램의 교과군과 교과목은 델파이 2차 조사와 델파이 3차 조사에서 수정 자료의 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6급 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은 조정통합역량을 포함하여 9개의 역량으로 추출되었고 6급 교육행정공무원 장기교육프로그램은 13개 교과군과 43개 교과목으로 구안할 수 있었다. 그리고 6급 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과 장기교육프로그램의 교과군과 교과목의 관계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교육프로그램의 유연한 교육과정 운영과 연수 결과물을 실제 교육현장에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