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Long-term Education Program for Jeollabukdo Level 6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s |
Cho, Dong-Heon
(Asan Smart Factory Meister High School)
Kim, Huyn-Ju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Training Center) Kim, Min-Young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Lim, Sang-Ho (Soonchunhyang University) |
1 | 허점수(2011). 교육행정공무원의 전문성 제고 방안: 전라북도교육청 교육행정직 공무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2 | 경기도 인재개발원(2012). 핵심리더 역량교육 모의과제 개발. |
3 |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2018). 직급별 R&R기반 핵심역량 및 교육체계화 연구.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
4 | 김대옥, 금창호(2020). 지방자치단체 무보직 6급 공무원에 대한 탐색적 연구: 업무특성, 역량, 제도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24(1), 115-133 |
5 | 김춘호(2014). 지방공무원 역량평가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012 전남교육청 5급 승진심사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6 | 남현주(2014). 기업상담자 역량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7 | 대구광역시 공무원교육원(2018). 6급 역량개발 사이버콘텐츠 개발. |
8 | 박규운(2013).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
9 | 서재영 외(2016). 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 요구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4(3), 159-180. |
10 | 이은상(2015). 기술교사의 공학 교수역량 모델 개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1 | 이형국, 조동헌(2018).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중등진로전담교사들의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7(5), 55-78. |
12 | 전라북도교육청(2017). 지방공무원 교육훈련제도 개선. |
13 | 조해순(2020). 지방공무원 심사승진제도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14 | 최상근(2013). IP분석을 통한 공무원 장기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
15 | 이현우, 임규연(2012). 시도교육청 고급관리자의 역량 모델링에 따른 교육요구분석. 기업교육연구, 14(2), 25-44. |
16 | 강애선(2017). 지방공무원 장기교육 실태 및 인식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17 | 국립국어원(2021). 적극행정. https://dic.daum.net/search.do에서 2021.9.13. 자료얻음. |
18 | 나민주 외(2014). 지방교육 자치역량 강화방안 연구: 교육전문직원 및 교육행정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지방교육연구소. |
19 | 박경선(2012). 보건교사의 역량모형 개발.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 | 유기웅, 장덕호, 박용호(2012). 국립대학 6/7급 직원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연구. 교육과학기술부. |
21 | 정규남(2011). 교육행정공무원의 리더십 역량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 교육청 교육행정 5급 공무원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22 | 지방행정연수원(2010). 지방공무원 역량모델의 이해 및 활용을 위한 매뉴얼. |
23 | Lawshe(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DOI |
24 | Lee, Y(2009). Competencies Needed by Korean HRD Master's Graduates: A Comparison between the ASTD WLP Competency Model and the Korean Study.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20(1), 107-133. DOI |
25 | 이종승(2011). 교육심리 사회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
26 | 조동헌, 이형국, 배성근(2019).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진로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 용도.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4(1), 190-208. DOI |
27 | Williams, P., & Webb, C.(1994). The Delphi Technique: A Methodological Discuss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 180-186. DOI |
28 | OECD(2016). Survey on Strategic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Central/Federal Governments of OECD Countrial, deral Governments of OECD Countries, OECD, Paris. |
29 | Sork, T. J. (2001). Needs assessment. In D. H. Poomwassie & A. Poomwassie (Eds.), Fundamentals of adult education : Issues and practices for lifelong learning (101-115). Toronto: Thompson Educational Publishing. |
30 | Wexley, K. N., & Latham, G. P.(1991). Developing and Training Human Resources in Organizations. Glenview, IL: Scott, Foresm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