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 Set Operation of Private Universities

사립대학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운영 개선 방안

  • 김현정 (한국사학진흥재단) ;
  • 배성중 (전북대학교 부설 기록관리학교육원)
  • Received : 2022.09.14
  • Accepted : 2022.10.11
  • Published : 2022.10.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s of private universities and present improvement plans. For the system of private universities, the generation, correction, and deletion of functions, development types, and data were analyzed political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has one or more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and uses the academic management system in common, and the system is often developed on its own through the university's infrastructure, and data is deleted by the person in charge, but the regulations are not clear. To solve these problems, it was proposed to revise the EA portal to properly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 of private universities, manage records centering on systems without data correction, and revise internal regulations to conduct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사립대학의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립대학 178개교의 총 820개 시스템에 대해 시스템의 기능, 개발 유형, 데이터의 생성·정정·삭제 시기 등의 정량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통상 1개이상의 행정정보시스템을 보유하고 학사관리시스템을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대학의 인프라를 통해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개발한 사례가 많고 데이터를 수시로 생성하고 정정하며 업무담당자에 의해 데이터가 삭제되고 있으나 데이터의 삭제나 정정에 대한 규정은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범정부 EA포털을 현행화하여 사립대학의 행정정보시스템에 대한 보유 현황을 제대로 파악하고, 데이터의 정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스템을 중심으로 기록관리하며 데이터의 임의 삭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내부 규정의 개정과 교육을 실시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고운비 (2022). 대학의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사학과.
  2. 김수영 (2022). 텍스트 자동화 분석을 통한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대상선정 유형구분 개선 방안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국어학.
  3. 김주연 (2020). SIARD를 활용한 행정정보데이터세트 장기 보존 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4. 신정엽 (2021). 행정정보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적용 사례 분석: 전자인사관리시스템 데이터세트 관리기준표 작성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1(3), 227-246.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3.227
  5. 윤성호 외 (2020). 공공기관 행정정보시스템 관련 단위과제 및 보존기간 책정 현황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31(2), 139-160.
  6. 이서윤 (2021).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환경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록학전공.
  7. 이정은 외 (2022).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의 관리기준표 개선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2(1), 177-200.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1.177
  8. 조은희 (2007).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의 기록식별과 품질요건.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9. 국가기록원 (2020). 행정정보데이터세트 시행령 개정안 안내서. 대전: 국가기록원.
  10. 국가기록원 (2020).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실행 매뉴얼. 대전: 국가기록원.
  11. 국가기록원 (2021). 2021년도 국가기록원 주요통계연보. 대전: 국가기록원.
  12. 국가기록원 (2021). 2021년도 대학 기록물 보존기간 책정기준 가이드. 대전: 국가기록원.
  13.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18740호.
  14.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32772호.
  15.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기준 : 관리기준표의 작성 및 이관 규격. NAK 35 2020(v1.0).
  16. 양동민 외 (2021).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정보 서비스 및 활용 모형 연구 (11-1741050-000077-01), 국가기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