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diction to smartphone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5초

스마트폰 중독의 금단 현상에 따른 음성 분석 연구 : 20대 남성 대학생을 대상으로 (A Study on Voice Analysis by Withdrawal Symptoms Identification of Smartphone Addiction : 20 Male College Students)

  • 김봉현;가민경;조동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3호
    • /
    • pp.233-23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중독에 따른 금단 현상을 정량적으로 제시하고자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음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일정 시간 스마트폰을 회수하고 실험 기간 전과 후의 음성을 수집하여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따른 금단 현상을 연구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에 의한 금단 현상에 따른 음성 분석 연구에 적용한 기술 요소로는 정신적 불안감을 분석하는데 사용하는 음성 분석 요소인 피치 및 강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피실험자 중 90%가 피치 분석값이 증가하였으며 95%가 강도 분석값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끝으로 통계 분석을 통해 추출된 실험 결과 자료들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른 패턴연구 (Pattern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group)

  • 김은엽;김석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207-1215
    • /
    • 2015
  • 스마트폰 중독에 따른 패턴을 파악하여 스마트폰 중독 경향을 파악한다. 총1429부를 배포하여 689개를 회수하여 회수율이 48.22%이였다. 최종 650명의 데이터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라 3그룹으로 스마트폰 중독 낮은그룹, 주의그룹, 심각그룹으로 구분하였다. 본인이 스마트폰 중독이 되었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하여 스마트폰 중독 심각그룹 135명 86.5%, 스마트폰 주의그룹 165명 50.2%, 스마트폰 중독 낮은 그룹 59명 35.5%가 '아니다'라고 응답하였다(p<0.001). 대화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는가에 대하여 스마트폰 중독 심각그룹과 주의그룹이 50%를 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이 심한 그룹일수록 취침시간이 자정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취침 시간에 대한 조사 결과 스마트폰 중독이 높을수록 자정을 넘겨 늦게 취침하는 경향을 보여 수면이 부족한 현상을 보였다.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른 개인의 요인들과의 패턴을 파악하여 패턴 유형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의 발생 정도를 사전에 예측하여 건전한 생활이 될 수 있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분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 addi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신숙;이영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627-634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적응 간에 스마트폰 중독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의 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사회적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다. 초등학생의 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 사회적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영향력의 정도가 높다. 즉 스트레스 정도가 지나친 경우에 스마트폰 사용 횟수나 빈도가 많을 수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 중독이나 학교 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서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여부는 궁극적으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규명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마음의 창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smartphone addiction and personality type)

  • 백현기;하태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239-24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가진 마음의 창 유형으로 개방형, 주장형, 신중형, 고립형의 네 기질들로 분류하고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북소재 3개 중학생 406명 이었으며, 측정도구로는 Luft(1970)의 '조해리 마음의 창' 검사와 한국정화진흥원이 개발한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성별에 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라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점은 크지 않으나 남학생의 경우 내성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크고, 여학생의 경우 일상생활장애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년에 따른 차이에 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요인인 일상생활장애, 내성은 통계적으로 매우 높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음의 창 유형과 스마트론 중독간의 분석결과 주장형과 고립형은 스마트혼 중독에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온 반면, 개방형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마음의 창 유형이 스마트폰 중독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지에 대하여 검증한 결과 마음의 창 유형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가장 심각한 유형은 신중형과 고립형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스마트폰 중독을 치료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신중형과 고립형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될 것이다.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불안이 업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Worker's Stress and Anxiety on Work Commitment: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 오예근;김경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487-495
    • /
    • 2017
  • 본 연구는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불안이 업무몰입 간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어떻게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적인 조직을 가지고 있는 K공기업의 직원 329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AMOS 구조모형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스트레스와 불안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은 업무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으로 유의한 부적 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은 스트레스와 불안, 업무몰입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와 불안이 높은 직장인일수록 스마트폰에 과도하게 의존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업무몰입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직장인의 스마트폰 중독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직장에서도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지침 마련이 필요하며, 중독수준에 따른 서비스 지원도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업무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잘 관리할 수 있도록 기업복지적인 측면에서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이르는 경로를 밝혔다는 점에서 정책적인 시사점을 갖는다.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Smartphone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 정봉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915-922
    • /
    • 2020
  • 본 연구는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이용성향과 중독에 관한 내용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자료로 사용한 도구는 설문지로 2019년 04월21일부터 05월31일까지 경남에 소재하는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총 330부를 배부하여 연구에 적합한 300부를 SPSS/PC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스마트폰 이용성향 요인으로는 의사소통, 정보, 여가, 편의성으로 하였으며, 중독요인으로는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 내성, 금단으로 총 37문항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대, 학력, 근무기관, 근무부서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스마트폰 관련 특성으로는 월평균요금, 사용시간, SNS사용시간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은 3.10±.55점으로 평균정도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은 2.34±.62점으로 평균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 및 중독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이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10.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에 따른 중독요인을 분석하여,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바람직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생활 스트레스, 가족 의사소통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Life Stress, and Family Communication in Nursing Students)

  • 서기순;방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98-407
    • /
    • 2017
  • 간호대학생은 교육과정의 특성상 스트레스가 심하고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부족하며 스마트폰 중독률이 높게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생활 스트레스, 가족 의사소통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D시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학과 재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위험 사용자군 24명(14.0%),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50명(29.0%), 일반 사용자군 98명(57.0%)으로, 74명(43.0%)이 스마트폰 중독 위험 사용자군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 중 스마트폰 중독 위험 사용자군은 일반 사용자군보다 생활 스트레스가 높고(t=3.15, p=.002), 가족의사소통이 좋지 않으며(t=-2.53, p=.012), 스마트폰 중독은 생활 스트레스(r=.27, p<.001) 및 가족 의사소통(r=-.26,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마트폰 이용시간, 생활 스트레스, 일상에서 스마트폰이 중요한 정도, 가족 의사소통이며, 이 요인들에 의한 설명력은 31.3%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스마트폰 이용방법, 스트레스 관리, 가족 의사소통에 초점을 맞춘 개인적 및 집단적 차원의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Research trends related to problematic smartphone use among school-age children including parental factors: a text network analysis

  • Eun Jee Lee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128-136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ain keywords and research topics used in research on problematic smartphone use (PSU) among children (6-12 years old), including parental factors. Methods: The publication period for the literature was set from January 2007 to January 2022, as smartphones were first released in 2007. In total, 395 articles were identified, 230 of which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ext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NetMiner 4.5. Results: Research on this topic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2007, with 40 papers published in 2021. Eight main research topics were derived: group 1, parental attitudes; group 2, children's PSU behavior and parental support; group 3, family environment and behavioral addiction; group 4, social relationships; group 5, seeking solutions; group 6, parent-child relationships; group 7, children's mental health and school adaptation; and group 8, PSU in adolescents. Conclusion: Parental factors related to PSU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aspects. However, more active research on school-age children's PSU needs to be conducted due to the paucity of research in this population compared to studies conducted among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data for selecting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PSU.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의 비교 (A Comparison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Depending on the Smartphone Usage of Toddlers in the "Smartphone Addiction" Risk Group)

  • 김윤경;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4-43
    • /
    • 2020
  • 목적 :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감각처리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유아 124명이었고, 연구 기간은 2019년 9월부터 동년 12월까지이었다.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로 일반적 특성, 유·아동 스마트폰 중독 관찰자 척도, 단축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와 중독군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사용 하였다. 결과 :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집단 간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는 스마트폰 중독합계(p=.000)와 현저성(p=.027), 충동·강박적 사용(p=.019), 금단(p=.046), 내성(p=.003), 대인 간 갈등(p=.046)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집단 간 감각처리능력의 차이는 SSP 총점(p=.000)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42). 결론 :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능력의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 박순주;권민아;백민주;한나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89-297
    • /
    • 2014
  •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통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정도와 대인관계능력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6개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02명이며, 2012년 5월부터 6월 사이에 성인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척도와 대인관계능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와 ${\chi}^2$-tes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SNS 이용자의 스마트폰 중독정도는 중독군이 24.8%, 일반군이 75.2%였다. SNS 이용자 가운데 스마트폰 중독집단과 일반집단의 대인관계능력은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영역 중 자기노출 능력은 중독집단이 일반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하위영역 중 가상세계지향성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낮았고,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 하위영역 중 대인갈등 다루기 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예방 및 대인관계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