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diction Tendency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2초

예비유아교사의 성인애착, 정신건강, 회복탄력성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dult-Attachment, Mental-Health and Resilience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 김민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53-361
    • /
    • 2020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수준을 알아보고 그 수준에 따른 성인애착, 정신건강,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성인애착, 정신건강, 회복탄력성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지역 예비유아교사 28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친밀관계 경험척도 개정판(ECR-R), 성인용 정신건강문제 진단 척도,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21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t 검증,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일반사용자군은 228명(81%)이며, 위험사용자군은 55명(19%)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따른 성인애착, 정신건강, 회복탄력성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성인애착 중 불안애착과 정신건강은 정적 상관, 회복탄력성의 통제성, 긍정성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넷째, 성인애착, 정신건강, 회복탄력성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따른 잠재집단탐색 및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 (Identifying the Latent Group in the Patterns of Academic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ith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up Identification)

  • 이채연;엄정호;강한별;이상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21-235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중심으로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잠재집단구분에 영향을 주는 개인 및 학업성취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잠재계층분석 결과,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따른 잠재집단은 총 3개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집단은 '학업스트레스 없는 중간수준 스마트폰 몰입집단'으로 학업 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영역이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하위영역에서 평균 수준의 수치를 나타냈다. 두 번째 집단은 '중간수준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몰입집단'으로 학업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상대적으로 평균보다 약간 높은 점수를 보였다. 세 번째 집단은 '중간수준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비몰입집단'으로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영역에서 평균보다는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은 다른 집단보다 월등히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잠재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성별과 학년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두가지 다른 요소라고 볼 수 있는 학업 관련 변인인 학업 스트레스와 정신보건 관련 변인인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융합적으로 연관시켜 분석을 통해 집단의 특성을 분류하고 차별적 개입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젊은 성인(20-30대)의 ADHD 경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The Influence of Yong Adult ADHD Tendency on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 한여울;정은정;서경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98-408
    • /
    • 2021
  • 본 연구는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 30대 성인 남녀 34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반적인 기술통계분석을 하였고, 이후 AMOS와 Mplus를 사용하여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과 매개 효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ADHD 경향은 정서조절곤란과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은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이중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정서조절곤란이라는 것을 확인했으며, 정서조절곤란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사회적 지지를 증진 시켜 회피적인 대체활동인 스마트폰 중독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성인 ADHD 성향이 자아존중감과 알코올 중독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dult ADHD Tendency on Self-Esteem and Alcohol Addiction)

  • 조재철;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165-174
    • /
    • 2018
  • 본 연구는 성인 ADHD 성향이 자아존중감과 알코올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성인 433명을 대상으로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ADHD 성향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알코올 중독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과 알코올 중독의 하위요인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인 ADHD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의 상위집단의 점수가 낮았고, 알코올 중독은 상위집단의 점수가 높았다. 둘째, 성인 ADHD 성향과 자아존중감 및 알코올 중독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은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알코올 중독은 낮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하위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성인 ADHD 성향이 자아존중감과 알코올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하위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성인 ADHD 성향이 자아존중감과 알코올 중독의 이차적인 문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낮은 자아존중감과 알코올 중독의 원인이 ADHD가 될 수 있고 이는 다각적이고 통합적인 예방과 치료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성향 영향요인 (Influence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 김윤정;조혜은;김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89-95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단면연구이다. 2017년 3월 15일부터 5월 22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이용하여 370명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한 후 최종 354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정보윤리의식 도구의 구성개념 타당성 검증을 위해 구성요소의 하부항목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변수들이 인터넷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Pearson 상관분석으로 검증 후, 단계선택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 이용시간, 정보윤리의식의 하위요인인 인터넷 이용의 건전성, 자기통제력이 인터넷 중독성향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을 예방하기 위하여 정보윤리의식의 배양 및 인터넷 이용시간과 자기통제력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의 우울, 자아탄력성,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가 인터넷중독경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Depression, Ego-resilience, and Active Stress Coping on Internet Addiction Tendency among College Students)

  • 오원옥;신현정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6-69
    • /
    • 2016
  • Purpose: The prevalence of problematic internet usage among college students is a cause for concern. There is a lack of study examining influences of cognitive protecting or buffering factors on internet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fluences of depression, ego-resilience, and active stress coping on internet addiction tendency (IAT)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and December 2013. A convenience sample of 244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Ego-resiliency Scale, Ways of Coping Checklist,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and Self-report Scale for Internet Us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data analysis. Results: We found that higher levels of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IAT. However, an inverse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active stress coping and IAT. Students who mainly used the internet for chatting showed lower levels of IAT than those who used the internet for games or blogs. These factors explained 15.1% of the variance in IAT of college students.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depression are important factors for evaluation when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targeting college students with problematic internet use.

초.중.고생의 인터넷 중독과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기조절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nternet Addiction, Attachment to Parents and Self Control)

  • 한유진;최나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3호
    • /
    • pp.171-180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students' attachment to parents and their self control to Internet addic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338 elementary students, 371 junior high students, and 342 high school students of Kyunggi province. They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by their aptitude to Internet addiction: serious addicts, potential addicts, and non-addicts. According to the results, older students showed higher tendency toward Internet addiction, and more insecure attachment to their parents. More than 20% of participants were disposed to addiction to the Internet, indicating that immediate intervention should be applied. Significant variables to explain students' Internet addiction were differentiated along their developmental levels. Attachment to parents was related to the Internet addiction of elementary and junior high students, while self control was more critical for high school students' addiction.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분노표현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The Factors of Self-esteem, Anger Expression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 김지현;김향수;김건희;김민주;김윤선;김정원;남경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57-167
    • /
    • 2021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분노표현, SNS중독경향성의 정도 및 그들 변수 간의 관계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2020년 5월 18일~28일까지 총 10일 간 S시, G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며 SNS을 이용하고 있는 대상자에게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총 100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SNS중독경향성과 자아존중감(r=-.385, p<.001), 분노조절(r=-.354, p<.001)과는 보통의 역 상관관계, 분노표출(r=.321, p=.001), 분노억압(r=.308, p=.002)과는 보통의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자아존중감(β=-.297, p=.001), 성별(β=.266, p=.003), 분노표출(β=.247, p=.007) 순으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7.7%로 나타났다(F=12.279, p<.001). 따라서 SNS중독경향성을 낮추기 위해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분노표출을 낮추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성별에서 여자 고등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낮추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디지털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게임중독치료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Game Addiction Treatment Program using Digital Storytelling)

  • 한선관;조은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71-178
    • /
    • 2011
  • 이 연구는 게임중독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접근으로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전략을 제안하였다. 우선 디지털스토리텔링 수업을 위한 교육내용을 5가지 멀티미디어 요소로 선정하고 게임중독 치료를 위한 교육전략과 절차를 마련하였다. 5명의 게임중독 위험군 학생을 선발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게임중독 검사, 게임이용시간 검사, 회기별 관찰과 면담, 제안된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 제안된 프로그램이 게임중독 경향성의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고, 디지털 스토리텔링 전략의 효과 분석에서 디지털스토리텔링 과정을 통해 느끼는 몰입감, 참여와 도전, 사회적 상호작용,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된 디지털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은 게임중독 치료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초등학교 3.4학년 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Internet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3rd and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 이경숙;조복희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7-57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of 3rd and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Methods: The subjects were 689 graders from five schools in five districts, located in G, Korea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icxn April 18 to May 15, 2005. A scale consisting of 25 questions were developed as an instrument for testing internet addiction and a further 25 questions were developed for examining school Adjustment. The data was analyzed by testing frequency, percentage, means,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PC 10.0.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tendency were 6.0% of addiction, 24.2% of borderline and 69.8% of non-addi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in terms of 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F=39.88, p< .05)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and the school adjustment; the more they used to the internet, the lower school adjustment they have(r=- .376, p< .05). Conclusion: Those graders who started using the internet at an earlier age, were found to have increased levels of internet addi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intemet addiction and a school adjustment education program is recommended for t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