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ievement standards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7초

과학사 과목의 전통 천문의기 학습을 위해 필요한 학습 요소 및 관련 성취기준 위계성 분석 (Hierarchy Analysis of Learning Elements and 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for Traditional Astronomy in the History of Science Subject)

  • 이종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49-65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과 진로선택과목 중 하나인 과학사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선택률이 낮은 문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과학사 과목의 한국의 전통 과학 단원에서 다루는 전통 천문의기 9종과 관련한 학습 요소 및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내용의 적합성과 위계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년군을 달리한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각각의 천문의기를 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출발점으로 하여, 전통 천문의기와 관련된 구체적인 성취기준 또는 탐구 활동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면 한국의 전통 과학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제고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과학사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선택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차원 인공지능 융합 교육 모형 (4D AI Convergence Education Model)

  • 김갑수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349-35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교육이 필수화되어 각 교과에서 인공지능과 융합할 수 있는 교육 모형을 제안한다. 제안한 인공지능 융합 교육 모형은 교과 내용(성취기준+주제)을 한 축으로 한다. 두 번째 축은 인공지능 도구이고, 세 번째 축은 인공지능 기술이고, 네 번째 축은 생활 속 적용 데이터이다. 인공지능을 각 교과에 적용하기 위해서 각 교과의 성취기준과 교과 내용에 인공지능 도구, 인공지능 기술, 생활 속 데이터 적용을 하여야 한다. 이렇게 성취기준과 교과 내용을 구성하면 각 교과와의 융합이 잘 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성취기준과 주제별로 교과서를 구성할 때에 인공지능 도구, 인공지능 기술, 생활속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실태 분석 (Analysis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umber and operations domain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 박지현;성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4호
    • /
    • pp.515-52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3~6학년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실태를 분석하고,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교사들에게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학년 단위로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도록 하고, 개발된 문항에서 나타나는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실태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수집된 문항 중 약 25%에 해당하는 문항에서 성취기준을 잘못 해석한 부분이 있었으며, 대표적으로 교과서를 기준으로 볼 때 각 학년에서 다루는 내용을 혼동하거나, 두 개의 성취기준에서 다루는 내용의 차이를 완전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 등이 나타났다.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 분석 -TIMSS 인지적 영역 평가틀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Verb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from the Viewpoint of Cognitive Domain of TIMSS Assessment Framework)

  • 송은정;제민경;차경미;유준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07-616
    • /
    • 2016
  •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서 사용되고 있는 서술어는 '안다(38%)'와 '이해한다(46%)'가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많은 독자들은 '안다', '이해한다'와 같이 포괄적 의미의 서술어로 진술된 문장의 의미를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가진다. 한편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에서는 인지적 영역을 다양하고 구체적인 수준의 동사를 사용하여 서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TIMSS 인지적 영역 평가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3인의 교사가 분석에 참여하였으며, 분석자별 해석 차이가 발생한 경우에는 연구자와의 면담을 통해 그 이유를 알아보았다. 교사 3인의 분석 결과 구체적 의미의 서술어를 사용할수록 공통된 해석을 얻었고, 포괄적 의미의 서술어를 사용한 경우 각기 다양한 인지적 영역으로 해석되었다. 특히 '안다'라는 서술어로 진술된 성취기준은 '기술하기(Describe)(27%)', '회상하기/인식하기(Recall/Recognize)(25%)', '관련짓기(Relate)(17%)' 등으로 해석되었고, '이해한다'라는 서술어로 진술된 성취기준은 '설명하기(Explain)(37%)', '관련짓기(Relate)(27%)', '기술하기(Describe) (21%)'등으로 해석되었다. 교사들이 성취기준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의견이 불일치한 경우는 '안다', '이해한다'와 같이 포괄적인 서술어가 사용된 동시에 해당 학년에서 가르칠 개념의 수준과 범위를 모호하게 진술한 경우로 해석된다. 성취기준이 뜻하는 바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성취기준 문장의 서술어 진술 방식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 탐색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및 성취기준 개정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xperts' Perception of Scienc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Focus on the Revision of the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of Curriculum)

  • 천주영;이경건;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83-499
    • /
    • 2021
  • 교육과정의 '지역화' 정책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한 방향인 '분권화·자율화' 정책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이러한 교육과정 정책의 변화는 학생들이 지능 정보 사회 도래, 그린 혁명, 저출산 시대라는 미래사회의 뉴노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회변화 대처 역량 함양을 꾀한다. 특히 끝없이 확대되고 변화하는 과학과 교육환경과 컨텐츠를 고려하면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역화는 다양성을 통한 전문성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 정책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통해 과학과 교육과정 '시·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이하 '지침')'과 성취기준 개정 중심으로 교육과정 개정 시점의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과학과 고유의 특성에 기인하여 교육과정 지역화 확장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고, 17개 시·도교육청을 의미하는 지역 수준 지역화와 학교 수준 지역화 사이에 위치하는 시·도내 지역교육청 또는 마을 단위의 지역화 수준을 인식하였으며, 향후 학교 수준까지 지역화가 도달했을 때 교사의 수준이 지역화의 수준이 될 수 있음에 주목하여 교사 역량 등 교원 정책과의 연계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과학과 교육과정 '지침'의 지역화가 이루어지려면, 이와 병행하여 17개 시·도에 일부 성취기준을 자율적으로 구성할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는 공통적인 인식이 나타났다. 그리고 이와 연계되는 과학과 '성취기준의 지역화'를 위해서는 '성취기준의 재구조화 또는 대강화'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한편, 교육과정 지역화 정책에 의해 과학과 교육과정의 다양화·자율화 측면이 제고될 것으로 예측하면서도, 성취기준의 설정은 평가와 직결되기에 과학과 '지침' 내 평가 항목의 기술이 새롭게 이루어지는 등의 정책의 정교화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과학과 특성을 고려할 때, 수업 소재의 지역화를 넘어서서 지침 자체에 지역별 중점 과학교육 정책을 명시해 담을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는 추후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있어서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의 구체적 거버넌스 구축과 과학과 교육과정 '지침' 및 성취기준 개선에 관한 실질적인 정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교사연수 성과평가를 통한 2015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정착 방안 탐색 (Exploration of Support Plans for 2015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Implemen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97-20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의 현장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부에서 실시한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통합과학 교육과정 지원 방안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2017년도 통합과학 선도교원연수를 중심으로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개발한 연수 산출물, 연수강사로 참여한 과학교사들과의 심층면담 등을 분석하여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서 드러난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특성과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안착을 위한 지원 방안을 도출하였다. 2017년도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연수를 통해 통합과학 교수 학습 및 평가 계획을 개발하였는데, 교사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성취기준은 [10통과08-03]과 [10통과 09-04]였다. 이들 성취기준에 대해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해 성취기준 재해석, 교수학습 방법, 학습소재, 평가방법, 교과역량 등의 구현 실태를 탐색하였다. 또한 2015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재구성 모델 사례를 통합 우수 사례, 학생 참여형 수업 우수 사례, 교과역량 신장 우수 사례 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안착을 위한 연수 지원방안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성취평가제로 인한 교수 실행 변화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인식 탐색 -내신 석차등급 미반영 전후를 중심으로- (Exploring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Changes Due to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Focusing on the Impact of No Longer Indicating Course Ranking)

  • 전소현;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5-207
    • /
    • 2024
  • 우리나라는 학습결과를 상대평가 방식으로 평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해소하고자 교과목별 학업성취 도달 수준을 평가하는 절대평가 형태의 성취평가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성취평가제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및 구현 방식 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 구에는 고등학교 과학교사 20명이 면담에 참여하였으며, 성취평가제에 관한 인식, 성취평가제가 교사의 평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취평가제 운영으로 인해 변화되거나 개선된 점 등에 대한 본인의 의견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참여 교사들은 내신 석차 등급 미표기 이후 성취평가제가 기대하는 교육적 의미가 현장에 반영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성취평가제로 인해 변별에서 벗어난 과학수업을 실현할 수 있었으며, 학생의 성취에 주목함에 따라 과학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결과 위주의 평가에서 벗어남으로써 과학과 교과역량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과학 교과의 본질적 목표에 집중할 수 있게 된 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 활동에 대한 피드백 제공의 질적인 향상이 이루어진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부 교사들은 적정 성취수준을 교사 스스로 설정하는 데 어려움을 경험하거나, 학생 활동에 대한 질적인 차이를 평정하는 과정의 난해함으로 인하여 성취평가제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또한, 내신 석차 등급이 산출되지 않은 이후, 학생들이 수업에서 보이는 의욕과 열의가 현저히 떨어지는 현 상황에서 수업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데 혼란스러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중등 NCS 직업교육의 학업성취도와 취업만족도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NCS Vocational Education)

  • 최수호
    • 서비스연구
    • /
    • 제8권1호
    • /
    • pp.41-5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NCS 직업교육의 학업성취도와 취업만족도 관계를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 있는 실업계 고등학생과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 250여명을 대상으로 약 2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연구가설을 5개로 구분하여 "첫째 NCS 교육 이해, 둘째 교육서비스 품질, 셋째 직업교육 필요성, 넷째 학업성취도, 다섯째 직업만족도"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중요도와 신뢰도, 타당성, 연관성 분석 등을 살펴보기 위해 SPSS WIN 18.0 등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독립변수에서는 교육서비스 품질과 직업교육의 필요성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채택되었으나 NCS 교육 이해는 채택되지 못하였다. 매개변수에서 학업성취도는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교육기관에서 직업교육 서비스품질과 직업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향상시켜 나간다면 학업성취도는 높아질 것이고 학업성취도는 취업 후 직업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Teacher's Perception for Korean's Achievement Standards-Based Testing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of Learners' Academic Ability

  • Yoon, Mabyong;Baek, Kwa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5권1호
    • /
    • pp.52-5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eachers' perception of Korean's achievement standard-based testing system (ASTS) and its process of implementation, and to propose a method of evaluating students' academic aptitude based o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The core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asserted by changes in classroom instruction, specifically encouraging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based on a new method to evaluate student achievement. A total of 124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 career counseling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Jeonbuk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chools implementing the new method of ASTS were using 61.6% for unit school cut-off point, as opposed to the existing fixed cut-off point of 38.4%.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method was rated 3.54 on the 5-point Likert scale, implying that they had a relatively good understanding of the method. Some of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reflecting the scores from the new student ASTS include difficulty of comparing scores across schools; grade inflatio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the type of high school; and the increased importance of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In the ASTS, the fairness during the evaluation of the high school grades and the consequently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prove worrying. As an ultimate result, selecting students based on university admissions data became untrustworthy. There should be further discussions on how students' achievement obtained from the new ASTS should be applied during the university admission process and how students' academic aptitude can be assessed in order to set a direction for secondary school education.

고등학생들의 섭식행동 통제가 심리적 성취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ting Behavior Control on Psychological Achievement Change in High School Students)

  • 오성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25-731
    • /
    • 2011
  • In this study, a survey was carried out on 300 students in Korea Culinary Arts Science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from August 1 to August 30, 2011 to figure out how the control of high school students' eating behavior affects the change of their psychological achievement. Analysis showed that attitude toward eating behavior, and perceived behavior that recognize this and act, as eating habits for control of their eating behavior, are the most control factors of eating behavior. It says that the right perception of customary attitude and the correction of habits according to the exposure and performance of repetitive eating behaviors are important. Consequently, an ordinarily regular norm as a social norm, or a rule around it won't act as big positive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