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aldehyde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35초

열플라즈마에 의한 TiO2-xNx의 합성 및 광촉매 특성 비교 (Synthesis of TiO2-xNx Using Thermal Plasma and Comparison of Photocatalytic Characteristics)

  • 김민희;박동화
    • 공업화학
    • /
    • 제19권3호
    • /
    • pp.270-276
    • /
    • 2008
  • $TiO_2$의 가장 큰 특징은 광촉매적 특성을 들 수 있으나 순수한 $TiO_2$는 자외선 영역에서만 활성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초고온, 고활성을 이용한 열플라즈마 공정으로 질소가 도핑된 $TiO_2$를 합성하여 $TiO_2$의 광촉매적 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직류 플라즈마 제트를 이용하여 비금속이온인 질소와 반응 가스인 산소를 $TiCl_4$와 함께 플라즈마 반응기 안에서 반응시켜 질소가 도핑된 $TiO_2$ 나노 분말을 합성하였다. 합성 조건으로 질소의 유량을 변화하였다. 합성 변수에 따른 입자의 상조성, 크기를 분석하였고 아세트알데히드와 곰팡이를 광분해하는 실험을 통해 광촉매 활성을 살펴보았다. 한편 $TiO_2$의 분말 상태와 코팅된 상태의 광촉매 특성을 비교하고자 합성한 분말의 스핀 코팅과 PLD (Pulsed Laser Deposition)을 통해 $TiO_2$를 코팅하였다.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실험의 결과 질소가 도핑된 $TiO_2$ 분말의 경우가 순수한 $TiO_2$ 분말에 비해 가시영역에서의 광촉매 활성이 두 배 이상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으며, 곰팡이 분해 실험 결과 역시 질소가 도핑된 $TiO_2$ 분말에 곰팡이가 분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말과 필름을 제조하여 메틸렌블루 광분해 실험한 결과 분말의 경우 100% $TiO_2$입자가 메틸렌블루 분해에 이용되며, 반면 스핀 코팅의 경우 바인더의 함량 때문에 20~30%의 $TiO_2$만이 분해에 이용되기 때문에, 분말의 경우 초기 30 mL 메틸렌블루를 한번에 분해할 수 있었다.

젖산 처리에 따른 천마의 불쾌취 감소 및 Gastrodin 함량 변화 (Decrease in Intrinsic Objectionable Odors and Change of Gastrodin Contents in Lactic acid Treated Gastrodia elate Blume)

  • 장영남;안병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056-5062
    • /
    • 2011
  • 전통적인 포제 방법을 이용하여 천마의 불쾌취 및 쓴맛, 비린맛 등을 제거하고, 천마의 주된 유효성분인 gastrodin과 p-hydroxybenzyl alcohol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포제법의 일환으로 생천마와 건천마를 쌀뜨물과 젖산발효액에 침지하였으며 유의적인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가 침지액 중의 유기산 등에 의한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어 대표적 유기산 10종을 선별하여 0.5%로 제조 한 후, 24시간동안 침지시켰다. 그 결과 젖산에 침지된 천마에서 가장 좋은 관능평가를 얻을 수 있었으며, 농도별로 젖산액 처리하였을 경우 1.0%에서 가장 좋은 관능평가를 얻었다. 또한 1.0% 젖산에 침지한 후 4시간 증자한 후 천마의 유효성분인 gastrodin, p-hydroxybenzyl alcohol의 함량이 약 20%가 증가되었으며, 기타 유효성분의 대부분 유의적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젖산 침지에 따른 천마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측정한 결과 천마 불쾌취의 주성분이라고 판단되는 4-methylphenol과 butanal 등 총 11종을 분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천마의 관능 및 유효성분의 향상을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 1.0% 젖산액에 생천마를 24시간 침지한 후 $98^{\circ}C$에서 4시간 증자 후 건조하는 방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나무(Camellia sinensis) 추출물이 아급성 알코올 투여 마우스의 항산화 및 알코올 분해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mellia sinensis Extracts on the Antioxidant System and Alcohol Down-Regulation Enzymes in Sub-Acute Ethanol Treated ICR Mice)

  • 구성자;최일숙;공연희;최상윤;조연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34-1139
    • /
    • 2007
  • Mouse에 알코올을 투여한 결과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ADH 및 ALDH활성도 모두 감소하였다. 녹차, 홍차, 우롱차 및 보이차의 알코올 섭취 mouse에서의 항산화 및 알코올 분해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네 가지 차 모두에서 투여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항산화 및 알코올 분해 촉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 보이차가 간에서의 SOD 및 GR활성을 크게 증가시켰고 MDA함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우롱차는 혈액에서의 SOD 및 GSH-PX활성을 크게 증가시켰고 MDA함량을 감소시켰으며 녹차와 홍차의 항산화 효과는 이들에 비하여 비교적 낮았다. 또한 알코올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인 ADH, ALDH 활성은 녹차를 투여한 군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녹차 다음으로는 우롱차가 ADH 활성측정에서, 보이차가 ALDH 활성측정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고 홍차 투여 군에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네 가지 차 중 우롱차와 보이차를 섭취하였을 때 높은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알코올 분해에는 녹차의 섭취가 가장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Trehalose와 당류가 냉동요구르트의 저장 중 유산균 생존율과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halose and Sugar Alcohol on the Vi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Frozen Storage of Yoghurt)

  • 우성호;주진우;윤원병;김거유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1호
    • /
    • pp.14-2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냉동요구르트 제조 시 trehalose와 sorbitol 첨가가 유산균의 동결변성방지 및 향기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요구르트를 L. bulgaricus와 S. thermophilus 단독균주 및 혼합균주로 발효시켰을 때 처리구 모두 trehalose와 sorbitol 첨가에 의한 발효과정 중 유산균의 증식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요구르트를 6주간 냉동저장하는 동안 trehalose와 sorbitol 첨가에 의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산균수의 차이가 없었으며, MRS 액상배지에 trehalose와 sorbitol 을 각각 2%, 5% 첨가하여 6주간 냉동저장하였을 때는 5% trehalose 처리구의 동결변성방지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냉동저장 기간 동안 고형분 함량이 12%인 처리구와 20%인 처리구의 생균수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고형분 함량 차이에 의한 trehalose와 sorbitol 효과에는 차이가 없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요구르트의 동결과 해동을 반복하였을 경우 trehalose와 sorbitol 모두 2% 첨가구보다 5% 첨가구가 우수한 동결변성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Trehalose 첨가구가 sorbitol 첨가구보다 2%, 5% 모두 동결변성방지 효과가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Trehalose와 sorbitol을 첨가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하였을때 향미성분의 함량은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며 일반적인 요구르트의 향미를 나타내었다. 냉동저장 중 요구르트 향미성분은 손실되거나, 함량비율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요구르트의 풍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냉동저장에 의한 유산균의 동결변성방지제로서의 trehalose첨가가 냉동요구르트의 유산균 안정화에 효과가 있다고 하겠다.

Comparison of reducing sugar content, sensory traits, and fatty acids and volatile compound profiles of the longissimus thoracis among Korean cattle, Holsteins, and Angus steers

  • Piao, Min Yu;Lee, Hyun Jung;Yong, Hae In;Beak, Seok-Hyeon;Kim, Hyun Jin;Jo, Cheorun;Wiryawan, Komang Gede;Baik, Myungg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호
    • /
    • pp.126-136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fat content, reducing sugar contents, sensory traits, and fatty acid (FA) and volatile compound profiles in longissimus thoracis (LT) among Korean cattle (KC), Holstein (HO), and Angus (AN) steers. Methods: Twelve LT samples (about 500 g each) of KC with an average age of $31{\pm}0.42months$, an average carcass weight of $431{\pm}12.5kg$, and a quality grade (QG) of 1+ were obtained from the joint livestock products market. Twelve LT samples of HO cattle with an average age of $24{\pm}0.54months$, an average carcass weight of $402{\pm}7.81kg$, and a QG of 2 were also obtained from the same market. Twelve LT samples of AN steers with an average age of about 20 months and a QG of choice were purchased from a beef delivery company. After slaughter, samples were kept at $4^{\circ}C$ for 42 days and prepared for immediate analysis or stored at appropriate conditions. The chemical composition, color, pH, shear force, collagen content, reducing sugars, sensory evaluation, FA composition, and volatile compound content for each LT sample were analyzed. Results: The LT of KC had the highest (p<0.05) fat content, the highest reducing sugar content, and the highest scores in the sensory evaluation (flavor, tenderness,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nce). All the sensory trai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p<0.001) with intramuscular fat and reducing sugar content. Several FAs and volatile compound profiles varied among the breeds. KC LT had the highest (p<0.05) concentrations of acetaldehyde, 3-methyl butanal, and 3-hydroxy-2-butanone, and these volatile compounds were positively correlated (p<0.05) with all the sensory traits. Conclusion: Variations in fat content and reducing sugar contents and FA and volatile compound profiles may contribute to differences in the sensory quality of LT among breeds.

에탄올 농도별 당유자 잎의 최적추출조건 및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for Dangyuja (Citrus grandis) leaves and investigation of optimal concentrations extracted by alternative ethanol concentrations)

  • 나카무라 마사야;라종환;김주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45-55
    • /
    • 2019
  • 제주도 특산물로 알려진 당유자의 잎을 이용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용매 농도별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측정한 연구는 지금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 농도별로 추출된 당유자 잎에 대한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수율과 총 페놀 함량은 각각 20% 에탄올, 물 추출물이 가장높은 함량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수율을 보인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비교적 높은 페놀 함량이 나타나 수율에 비하여 많은 페놀 함량이 확인되었다. 환원력과 ABTS radical 소거능 실험 결과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80% 에탄올 추출물이 DPPH radical 소거능, ${\alpha}$-glucosidase, ${\text\tiny{L}}$-tyrosine을 기질로 한 tyrosinase 저해 활성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ext\tiny{L}}$-dopa를 기질로 한 tyrosinase 저해 활성과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는 ADH 및 ALDH 활성에서는 6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뛰어난 활성을 촉진시켰고 미생물 생육을 억제하는 능력이 60%, 80% 에탄올에서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에서 항산화 효과를 얻고자 할때는 물이나 80% 에탄올로, 그 외 생리활성(${\alpha}$-glucosidase 저해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항미생물 활성, ADH 및 ALDH 활성)에서는 60~80%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의 결과는 당유자 잎을 신소재 개발 원료로서 사용하는데 하나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통적인 발효 방법으로 제조한 황칠 식초의 항산화, 알코올 대사 효소 및 간보호 활성 (The Antioxidant,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nd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Dendropanax morbifera Vinegar with Traditional Fermentation Methods)

  • 정경임;정한나;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0-29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황칠 식초의 유기산 함량을 측정하고 항산화 효과와 항당뇨 효과,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 및 HepG2 세포에 대한 간보호 효과를 알아보았다. 황칠 식초의 유기산 분석결과 acetic acid가 91.72 mg/ml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lactic acid (7.31 mg/ml), malic acid (1.36 mg/ml), succinic acid (1.20 mg/ml) 순으로 나타났다. 황칠 식초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3.73 ㎍ TAE/ml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0% 농도에서 76.04%로 나타났고, SOD 활성은 60% 농도에서 95.14%로 나타났다. 황칠 식초 10% 농도에서의 α-glucosidase 저해 효과는 98.94%로 높게 나타났다. 알코올 분해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ADH 및 ALDH 활성을 측정한 결과, 두 가지 효소 모두 황칠 식초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0% 농도에서의 ADH 및 ALDH 활성은 각각 43.62% 및 60.39%로 나타났다. 황칠 식초 0.6% 농도에서는 tacrine으로 유도된 HepG2 세포주에 대하여 간보호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황칠 식초는 기능성 건강 음료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황칠나무 물 추출물의 항산화, 알코올 대사 효소 및 간 보호 활성 (Antioxidant,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nd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Dendropanax morbifera Water Extract)

  • 정경임;정한나;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48-35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황칠나무 잎과 줄기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 및 간 보호 효과를 알아보았다. 황칠나무 잎과 줄기 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49.56 mg TAE/g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황칠나무 잎과 줄기 물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1,000 ㎍/ml 농도에서 84.09%로 높게 나타났다. 알코올 분해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ADH 및 ALDH 활성을 측정한 결과, 두 가지 효소 모두 황칠나무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000 ㎍/ml 농도에서의 ADH 및 ALDH 활성은 각각 37.68% 및 41.67%로 나타났다. 황칠나무 잎과 줄기 물 추출물은 tacrine으로 유도된 HepG2 세포주의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 활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황칠나무 잎과 줄기 물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알코올 숙취해소 효과 및 간세포 보호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서울시 관악구 도림천 복개 정도에 따른 환경 악취 요인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al Odor Factors for Dorim Stream in Gwanak-gu, Seoul)

  • 박소영;;김희원;윤형기;권태홍;김성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83-92
    • /
    • 2024
  • Backgroun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rapid increase in environmental odors and notable rise in civil complaints near Dorim Stream in the Gwanak-gu area of Seoul.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ausal compounds responsible for environmental odors in the Dorim Stream and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that influence odor generation. Method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setting up 41 sampling points, selecting panels for direct sensory evaluation to assess odor intensity, measuring dissolved oxygen and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s, and using all-in-one low-temperature desorption gas chromatography (ATD-GC) and thermal desorp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D-GC/MS) analysis to identify odor-causing compounds. Results: The evaluation of Dorim Stream revealed that in areas with complete meandering, there were lower dissolved oxygen levels (4.5±2.67 mg/L) and higher odor intensity (4.0±0.92), while in partially meandering sections, higher dissolved oxygen levels (7.8±1.15 mg/L) and lower odor intensity (2.8±1.06) were observed. Hydrogen sulfide levels measured with sensors increased with higher temperatures, especially in the afternoon hours (12:00~14:00). Acetaldehyde was the dominant odor compound detected in both the Bonglim Bridge (0.4 ppm) area and Guro Bridge area (0.867 ppm), with concentrations more than twice as high near Guro Bridge. Odor-causing compounds identified by TD-GC/MS indicated a pungent, sulfurous odor in the Guro Bridge area and a musty odor in the Bonglim Bridge area. Conclusions: This study categorizes and analyzes the sources of odor in Dorim Stream in Seoul based on meandering patterns and the distribution of sewage facilities, highlighting the potential odor issues associated with combined sewage systems and sewer junctions and suggesting policy improvements.

깻잎의 active MA 소포장이 유통기간 중 신선도 유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tive MA Mini-packaging on Shelf-life Maintenance during Marketing of Perilla Leaves)

  • 정천순;엄기증;박종남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980-984
    • /
    • 2010
  • 깻잎을 active MA 소포장 후 실온(약 $27^{\circ}C$)에서 호흡, 이취 관련 물질 및 신선도 유지효과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장기간 중 호흡율은 무처리 및 저산소 처리구($CO_2:O_2:N_2$=6:2:92, 0:10:90) 보다 고산소 처리구(0:30:70 및 0:50:50)에서 높게 유지되었고, 에틸렌 발생도 다소 높았다. 그러나 이취관련 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 발생은 고산소 처리구에서 현저하게 낮았다. 중량감소율은 무처리 및 저산소 처리구에서 약 1.8%, 고산소 처리구에서는 1.4%로 낮았지만, 저장 5일째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Ascorbic acid 함량은 저장 1일에 13.3mg/100g F.W.이었고, 저장 3일에 무처리구에서 8.8mg/100g F.W.으로 가장 낮았으나, active MA 처리구에서는 커다란 차이 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엽록소 함량은 저장 5일째는 무처리구에서 47.5(SPAD-502 unit)로 가장 낮았고, active MA 처리구에서는 약 53.0 수준으로 높게 유지되었다. 관능 평가(시각)에서 저장기간 동안 서서히 감소되어 고산소 처리구(0:30:70 및 0:50:50)에서 저장 5일에 2.8로 상품성을 유지하였지만, 무처리 및 저산소 처리구에서는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이취발생은 저장 5일에 무처리구에서는 2.6으로 매우 낮았고, 고산소 처리구에서는 3.4 수준으로 높았다. 따라서 깻잎을 active MA 포장할 경우 실온에서(약 $27^{\circ}C$) 일반 MA포장 보다는 2일정도 더 신선도 유지효과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