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Engagement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9초

프로그래밍 언어의 조절효과 및 학습자의 학습특성과 성취도와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gramming languag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s)

  • 이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49-55
    • /
    • 2021
  • 본 연구는 컴퓨터 비전공생인 학습자가 프로그래밍 학습 진입에 사용하기 적정한 언어에 관한 연구를 위해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하는 언어에 따른 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특성은 성취동기, 상황적 흥미, 인지적 관여, 수행자기효능감으로 설정하였으며 사용하는 언어와 학습 성취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경로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흥미와 인지적 관여는 수행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수행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학습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가 학습성취도에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는 소프트웨어 비전공자 대상의 수업에서 학습하는 언어의 종류와 학습 순서가 중요하며 이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와 수업진행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언한다.

조직구성원의 학습민첩성, 직원몰입, 경력만족, 적응수행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Agility, Employee Engagement, Career Satisfaction, and Adaptive Performance of Employees Corporate Organizations)

  • 전혜지;김우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1_spc호
    • /
    • pp.79-97
    • /
    • 2024
  • 본 연구는 학습민첩성과 적응수행과의 관계에서 직원몰입과 경력만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고, 데이터 329부의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 학습민첩성이 직원몰입과 적응수행에 통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직원몰입은 경력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경력만족은 적응수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직원몰입과 경력만족은 학습민첩성과 적응수행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HRD분야의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실시간 화상강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Real-time Video Conferencing Using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이장석;양승현;송병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92-310
    • /
    • 2021
  • COVID 19의 영향이 교육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비대면 수업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상황에서 실시간 화상강의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과 이용의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상강의 특성으로서 학습자-교수자 간 상호작용성, 사회적 실재감, 이용가능성, 자기효능감, 참여정도가 인지된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 학습 만족과 화상강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지된 이용 용이성에는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성과 이용가능성, 자기효능감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유용성에는 이용가능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지된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은 학습 만족과 화상강의 이용의도를 높이는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학습 만족 역시 화상강의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향후 많은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게 될 실시간 화상강의에 대해 여러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조직지원인식, 업무몰입,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일학습병행 참여에 따른 조건부 직·간접 효과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Work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Workers in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Conditional Direct/Indirect Effects by Participating in Work and Learning Dual System)

  • 김우철;강원석;조현정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27-144
    • /
    • 2020
  • 본 연구는 일학습병행에 참여하는 중소기업과 일반 중소기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조직지원인식, 업무몰입, 이직의도 간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일학습병행의 효과성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학습병행 참여 중소기업과 일반 중소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2018년 8월부터 12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일학습병행 참여 중소기업 321부, 일반 중소기업 295부를 수집하여 총 61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일학습병행 참여 중소기업과 일반 중소기업 모두 조직지원인식이 업무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조직지원인식과 업무몰입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업무몰입은 조직지원인식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지원인식과 이직의도 사이의 조건부 간접효과는 일학습병행 참여 여부에 따라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일학습병행 참여에 따른 조직지원인식과 이직의도 사이의 조건부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실무적 논의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조직 내 업무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Work Engagement on Turnover Intention in Korean Organizations)

  • 강원석;김우철;조현정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49-163
    • /
    • 2022
  • 오늘날 기업을 둘러싼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우수한 인적자원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보유할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조직의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는데 필요한 대표적인 요인으로 업무몰입과 이직의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우수한 인적자원은 높은 역량과 고용가능성을 지니기 때문에 이들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것이 기업경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업무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지만, 그 결과가 연구별로 상이하게 도출되었다. 그러나 해당 관계에 대해 종합적이고 전체적인 관점에서 분석을 실시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으로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변인 간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내 맥락에서 조직 내에서 업무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업무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크기를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대학 서비스 품질 요소들의 대학 인게이지먼트에 관한 영향 -중국 유학생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University Service Quality Factors on University Engagements -Focusing on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 김문태
    • 서비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108-123
    • /
    • 2024
  • 현재 교육시장에서 많은 교육서비스 조직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기에 대학들은 서비스를 개선하여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대학의 생존 및 유학생 유치라는 현재의 당면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유학생들의 대학 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가가 대학 만족과 유학생들의 대학 서비스 중 인게이지먼트를 통해서 대학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수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대학 서비스 품질 차원들은 유학생들의 대학 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들로 확인되었다. 서비스 품질 차원 중에서 특히 유학생 관련 지원 서비스들이 대학 만족에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유학생들의 불편을 해결해주고 자국의 학생들이 느끼지 못하는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의 고충을 해결해주는 학교의 노력은 유학생들의 만족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둘째, 유학생들의 수업 인게이지먼트나 교우 관계 인게이지먼트는 학교에 대한 만족을 통해서 높아질 수 있고 결국 높아진 인게이지먼트는 학교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학생들에게는 수업 적인 부분보다 더 중요한 부분이 다양한 국가의 학생들과 교우 관계를 맺고 다양한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을 통해서 특히 학교의 충성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유학목적에 따라 모형을 따라 검증 결과 학문발전 및 더 나은 취업을 위해 유학하는 집단과 해외경험 및 이민 등을 목적으로 취업하는 집단에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해당 목적의 유학생을 표적시장으로 정한 대학교들은 서비스 관리에 다른 방법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학교육혁신기제로서의 K-MOOC 활용과 학습성과에 대한 학생인식조사 (Students' Perception on K-MOOC Utiliz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s a Higher Education Innovation Mechanism)

  • 조진숙;전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32-24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혁신기제로서의 K-MOOC 활용과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한 대학에서 K-MOOC을 활용한 교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 379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은 개별적 학습활동의 참여가 높았으며, 강좌를 학습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성과로는 정의적 영역에서 수용, 가치화, 반응이 높게 나타났고. 인지적 영역에서는 종합 및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긍정적 인식으로는 학점부담이 없다는 점, 타학교 수업 수강과 자기계발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점 등이 있었고, 개선사항으로는 플랫폼의 불안정, 동영상 분절, 수업활동의 과중, 퀴즈의 변별력 및 내용 수준이 낮은 점, 과제물의 피드백 부족 등이 제시되었다. 또한 집단별 차이 분석에서 전공관련 수강생들의 토론참여활동과 학습성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교양뿐만 아니라 전공교육과정으로의 K-MOOC 활용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주제의 교과목 개발, 다양한 유형의 활용 방안, 상호작용 활성화와 수업설계전략의 운영 파악 및 관리, 그리고 콘텐츠의 수준이나 수업방식의 설계 지원을 통한 질 관리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K-MOOC이 대학교육혁신기제로서 활용되기 위한 학사제도수립 및 운영방안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간호활동 참여도,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의 관계 (Association of nursing activity participation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with career maturity during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한서영;곽수진;최보경;전형주;이명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7-34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association of nursing activity participation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with career maturity during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01 nursing college students located in nationwide regions.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between July 18 and August 8, 2019.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through an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5.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We ra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see which critical factors influenced career maturit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were preference for clinical nursing, admission to nursing college due to belief, time off, and being satisfied with clinical practice. Regarding clinical practice stress, clinic environ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nflict, inappropriate role model and conflict with patient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improve nursing students' career maturity, nursing colleges and training fields should collaboratively make an efforts to reduce students' stress by building educational clinic environments including managing conflic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patients, caregivers, and medical and non-medical personnel, and improving inappropriate role models in nursing.

대학교 신입생의 성지식과 성태도 및 성교육 만족도 (University Freshman's Sexual Knowledge, Attitudes, and Satisfaction of Sex Education)

  • 민혜영;이정민;민혜영;정여원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38-250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sex education in university freshma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75 freshman students under the age of 20 years old. Data were collected in 2017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Results: The average scores of participants'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sex education were $24.22{\pm}4.94$ out of 38 points, $90.81{\pm}15.86$ out of 168 points, and $11.05{\pm}3.08$ out of 20 points,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ual knowledge according to chances of relationship engagement (F=6.19, p=.002) and residence type (F=3.67, p=.013). Both sexual attitudes and satisfaction of sex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major (t=3.20, p=.002; t=2.65, p=.009), types of high school (F=3.39, p=.019; F=3.53, p=.015), and interest in previous sex education during teenage years (F=2.88, p=.015; F= 6.22, p<.001). Sexual knowledg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ttitudes (r=.153, p=.011). Conclusion: There is insufficient sex information available for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in the future to develop sex education programs that are matched to college students' needs.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of Nursing Students: Focused on Nursing Theoretical Courses

  • Park, Mi-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127-136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학전공 이론교과목을 온라인으로 수강한 간호대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 17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만족도, 학습자 변인, 교수자 변인, 대인 상호작용 변인과 학습지원 변인에 대해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온라인 학습 만족도의 평균은 3.99점(1점부터 5점까지 분포)이며, 온라인 학습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은 온라인 학습의 지속적 이용 의도, 학업성적, 교수자 변인, 학습지원 변인 중 학습평가 및 관리였으며, 이들 변수가 온라인 학습 만족도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50.2%였다. 온라인 학습 운영의 주된 문제점으로 교수자 관련 내용이, 그리고 기술상의 문제로 안정적인 서버 구축과 음향 개선이 요구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온라인 학습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해 온라인 학습의 지속적 이용 의도와 학업 성취도를 높일 방안 마련과 교수자의 노력, 대학의 학습지원을 위한 세부적인 계획 및 적용이 필요하다.